수계(水禊)에 대한 用語 정리 앞서 올린 블로그 글들 중에서 수계(水禊) 또는 수계도권(水禊圖券)이라는 한자를 읽고 간혹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있을런지 모르겠다. 한문에 문외한이면 전혀 개의치 않았을 것이고, 한문이나 고전을 제대로 배운 사람이라면 작가의 탁월한 한자 선택을 보며 고개를 크게 주억.. 카테고리 없음 2013.04.30
두보 詩 5, 홀로 꽃을 찾다... 江畔獨步尋花 (강변을 홀로 걸으며 꽃을 찾다) 江上被花惱不徹 강위에는 꽃잎이 덮혀 번뇌도 못 뚫겠다 無處告訴只顛狂 이를 알릴 곳도 없으니 그저 미치겠네 走覓南鄰愛酒伴 걸음 달려 남쪽동네 사랑하는 술친구 찾았지만 經旬出飲獨空床 열흘 전 술 마시러 나가 상만 홀로 .. 카테고리 없음 2013.04.30
유숙(劉淑)의 그림들... * 유숙(劉淑)은 블로그 앞 글, 수계도권(水禊圖卷)을 그린 철종 代의 도화서 화원이다.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박물관에서 그의 그림을 콜렉션 했을 정도로 인기 있는 화가이다. 또 장승업의 스승으로도 유명하다. (유숙에 대한 정보는 '수계도권' 하단에 설명했으니 참고하기 바람.) <.. 카테고리 없음 2013.04.29
수계도권(水禊圖卷) * 왕희지의 난정집서(蘭亭集序)가 우리나라에 알려진 이후, 특히 성리학의 영향을 받은 조선시대에는 사대부들 사이에 수계(水禊)와 시회(詩會)가 대유행했다. 아래 그림은 철종 代의 화가 '유숙(劉淑)'이 그린 수계도권(水禊圖卷)이다. 조선시대에 어떻게 수계와 시회를 통해 풍류.. 카테고리 없음 2013.04.29
내가 가장 좋아하는 詩... 여승(女僧) 어느해 봄날 이던가, 밖에서는 살구꽃 그림자에 뿌여니 흙바람이 끼고 나는 하루종일 방안에 누워서 고뿔을 앓았다 문을 열면 도진다 하여 손가락에 침을 발라가며 장지문에 구멍을 뚫어 토방 아래 고깔을 쓴 여승이 서서 염불 외는 것을 내다보았다 그 고랑이 깊은 음색, 설.. 카테고리 없음 2013.04.29
물꽃 물꽃 세월이 이처럼 흘렀으니 그대를 잊어도 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나는 오늘도 채석강 가에 나와 돌 하나 던집니다 강은 온몸으로 경련을 일으킵니다 상처가 너무 깊은 까닭입니다 상처가 너무 큰 까닭입니다 돌 하나가 떠서 물 위에 꽃 한 송이 그립니다 인제는 향기도 빛깔도 냄.. 카테고리 없음 2013.04.28
난정집서(蘭亭集序) 해설 * 그 유명한 왕희지의 난정집서(蘭亭集序)... 매우 철학적인 내용입니다. 자세히 되뇌어 읽어보세요. 蘭亭集序 (난정집서) 永和九年 영화 9년 歲在癸丑 暮春之初 해는 계축년 3월 초 會於會稽山陰之蘭亭 회계 산음현의 난정에 모여 修禊事也 계제사를 거행한다. 群賢畢至 少長咸集 여.. 카테고리 없음 2013.04.28
왕희지의 난정집서(蘭亭集序) * '천하 제1 행서'로 불리는 그 유명한 왕희지의 난정집서(蘭亭集序)... 난정서는 서예에서 자연을 얻었고, 겸하여 아름다움을 갖추었다. 써내려 감이 점잖고 핍박하지 않으며, 정신은 한가롭고 유창하며, 마음이 손에 응했다. 글자의 크기는 서로 도와주고, 길고 짧은 배합이 체(體)를 얻었.. 카테고리 없음 2013.04.28
왕희지의 쾌설시청첩(快雪時晴帖) <왕희지의 쾌설시청첩, 대만고궁박물관 소장품> 羲之頓首 왕희지 절합니다. 快雪時晴 佳 많은 눈 내리더니 지금은 맑아져 좋습니다. 想安善 편히 잘 지내시리라 생각합니다. 未果爲結力 일에 성과가 없어 공연히 힘만 든 셈입니다. 不次 이만 줄입니다. 王羲之頓首 왕희지 절함 山陰.. 카테고리 없음 2013.04.27
조선시대 고지도(古地圖) <조선시대 한양 지도> ① 1592년 임진왜란 후 당시 최고 지도제작자 정상기가 만든 동국대전도 전체. 일본이 오른쪽 밑에 작게 그려져 있다. ② '동국대전도' 동해 부분. 울릉도와 그 동쪽의 독도가 상세하게 그려져 있다. 왜란 이후 적극적인 해양조사 결과다. 조선 전기엔 독도가 울릉.. 카테고리 없음 201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