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正祖) 3, 왕과 풍속화 조선의 풍속화(風俗畵)는 정조(正祖) 代에서 가장 발달하고 빛을 발했다. 이는 문예에 대한 정조의 심중이나 지침과 연관이 있다. ​ 그중에서도 조선 후기 풍속화를 대표하는 화가로 단원 김홍도, 긍재 김득신과 함께 꼽히는 사람이 바로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이다. 당신은 혜원.. 카테고리 없음 2015.09.21
요즘 읽고 있는 책들... <내 서양사(西洋史) 공부 선생님이 추천한 책, 장- 바티스트 뒤로젤 著> ​ <삼국지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古代朝鮮과 日本의 歷史> ​ ​ <의식혁명(Power VS Force), 데이비드 호킨스 著> ​ <宇宙 變化의 原理> 카테고리 없음 2015.09.20
정조(正祖) 1, 왕이 그린 그림과 글씨 <정조(正祖)가 그린 국화도(菊花圖 ), 보물 744호> * 정조는 시문(詩文)에 능했을 뿐만 아니라 그림에도 재능이 뛰어났다. 가로 51.3cm, 세로 86.5cm의 이 그림은 화면 왼쪽에 치우쳐 그린 바위와, 풀 위에 세 방향으로​ 나 있는 세 송이의 들국화를 그렸다. 돌과 꽃잎은 묽은 먹으로, 국.. 카테고리 없음 2015.09.18
사도세자(思悼世子)5 (아버지와 아들) 조선 제 22대 왕 정조(正祖)는 사도세자가 10년을 길렀고, 할아버지 영조가 14년을 길렀다. 때문에 할아버지 영조(英祖)의 영향을 훨씬 더 많이 받았다. 역사학자들은 만약 정조가 사도세자의 양육만 받고 자랐거나 또는 영조가 세손(世孫)을 관엄(寬嚴)함을 가지고 극진히 손자 교육을 시키.. 카테고리 없음 2015.09.16
사도세자(思悼世子) 1, 왕세자의 광증 ​ 사도세자는 영조(英祖)에게 귀하디 귀한 아들이었다. ​ 사도세자의 생모인 영빈 이씨는 영조가 가장 총애하던 후궁이다. 6세 때 아기 나인으로 입궁한 것을 볼 때, 미모가 출중했던 것으로 보인다. 5~6세의 어린 나이로 입궁하는 궁녀들은 대개 고위직 궁녀들의 친인척들 중에서 .. 카테고리 없음 2015.09.10
생각의 균형(均衡) ​ ​ 난 정조(正祖)를 좋아한다. 조선의 왕 중 가장 애틋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 독자나 블로그 방문자들은 이미 다 알고 있다. 내가 정조를 좋아하는 이유는 왕의 장난기 있는 소탈한 성격과, 평생 검소한 생활을 했고 또 인내심을 발휘해 위기와 난관을 잘 돌파해서 즉위한 왕이기.. 카테고리 없음 2015.09.08
서점에 다녀오다 *일요일... 책을 구입하러 대형 서점이 있는 백화점에 다녀오다. 백화점은 완연히 가을이다... * 절판된 책은 도서관에서 빌려 복사해 제본한다. 카테고리 없음 2015.09.07
명성황후 사진의 진실4 (왕비 사진은 누가 찍었을까?) 명성황후와 사진... 이 두가지를 생각하면, 난 자동적으로 한 일본인이 떠오른다. 일본의 사진작가 무라카미 덴신(村上天眞)!​ 을미사변이 일어난 1895년 당시, 이 자의 직책은 조선 왕실의 '촉탁 사진사'였다. 명성황후의 사진을 찍었던 유일한 인물이다. ​ 1894년부터 1895년 을미사.. 카테고리 없음 2015.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