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정조(正祖)를 좋아한다.
조선의 왕 중 가장 애틋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
독자나 블로그 방문자들은 이미 다 알고 있다.
내가 정조를 좋아하는 이유는 왕의 장난기 있는 소탈한 성격과, 평생 검소한
생활을 했고 또 인내심을 발휘해 위기와 난관을 잘 돌파해서 즉위한 왕이기
때문이다.
정조는 조정 일에는 매우 부지런했고, 사적인 일에는 검약(儉約)했다.
또 하나는 정조 주위에 있던 학자들 때문이다.
훌륭한 학식과 인품을 지닌 이덕무와 박제가, 서이수 등 서얼 출신 훌륭한
인재들을 발굴해 등용하고, 정약용과 박지원 등 훌륭한 학자들과 당대를 함께
한 왕이다.
정조의 총신(寵臣)에 대한 깊은 배려와 사랑, 총신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갖가지
일화들을 문집이나 기록들을 통해 읽으면 절로 입가에 미소가 번진다.
특히 유명한 활자중독자이자 공부중독자였던 간서치 이덕무는 호학황(好學王)이던
왕의 총애를 받았다.
이들 모두 '활자중독자'와 '공부중독자'라는 공통점이 있어 호감이 간다.
1776년, 정조는 즉위하자마자 청나라로 사신을 파견하며 사은정사(謝恩正使)
이은과 부사(副使) 서호수에게 북경에서 <사고전서(四庫全書)>를 구매해오라고
지시를 내렸다.
<사고전서>는 1773년에 착수하여 1782년에 완성된 청나라 백과사전이다.
이은과 서호수는 <사고전서>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왕은 <사고전서>의 원본인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을 대신 구입하라고
명했다.
무려 5,020권에 모두 502 상자나 됐다.
이들은 책 값으로 은자 2,150냥을 지불한 뒤 책을 한양으로 실어보냈다.
책을 받은 정조는 몹시 기뻐했다.
그래서 책 안쪽에 극(極), 만기지가(萬機之暇), 홍재(弘齋)가 새겨진 자신의
인장을 찍은 뒤, 개유와(皆有窩)에 보관하게 했다.
極은 하늘의 중심자리인 '북극성'을 가리키며 임금을 상징한다.
萬機之暇는 만가지도 넘는 임금의 일 중, '잠시의 겨를'이란 뜻으로 역시 임금을
뜻한다.
弘齋는 정조의 호(號)이다.
책을 좋아하는 내가 정조나 이덕무를 좋아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정조(正祖)에 대한 나의 호의(好意)는 결코 무조건적이지 않다.
사료를 통해 정조에 대해 너무 많은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다혈질적 성격은 물론이요, 어의(御醫)들을 믿지 않을만큼 의심이 많았으며, 차마
왕의 입에서 나왔다고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을만큼 욕설을 잘하고 빈정거리기를
좋아했다.
강골(强骨) 중 강골이었으며, 골초에다가 독주를 즐겨 마시고 트라우마도 심했다.
담배를 예찬하는 글을 보면 그의 성격적인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다.
또 노론인 심환지를 조종해 공작정치를 일삼았고, 자신의 생각은 무엇이든 옳다고
생각해 끝까지 밀어붙이고, 신하들에게도 잔소리가 심했다.
무엇이든 직접 해야만 직성이 풀려, 친림시강(親臨施講)과 만기친람(萬機親覽)을
행했다.
이런 일련의 일들로 인해 정조는 일찍 건강을 해쳤다.
이처럼 기록으로 모두 확인되는 사실을, 단지 내가 좋아하는 왕이라고 해서 전부
'아니다'라고 주장할 수는 없다.
... 이게 바로 '생각의 균형'이다.
내가 앞서 정조(正朝)에 관해 언급한 것은 '생각의 균형'을 말하기 위함이다.
아무리 많은 책을 읽고, 지식과 학식을 알고 있다 해도, 만일 '생각의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면, 그들의 주장은 진실이나 정의와는 거리가 멀다.
단지 패거리들에게만 먹혀들 뿐이다.
영성을 다루는 전문가들이 영적인 성장 단계를 파악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 게 바로 '생각의 균형'이다.
생각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쳤다는 것은 판단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 성격적 결함이 있다는 걸 뜻한다.
요즘 <사도세자>에 관한 영화나 드라마가 나오면서 또다시 사도세자를
무조건적으로 영웅시하는 행태가 나타나고 있다.
역사(歷史)는 생각하고 싶은 대로 제멋대로 생각하거나, 주장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역사는 기록을 읽고, 기록으로 해석하며, 기록을 통해 말해야 한다.
사료를 통해 전후 맥락을 파악해야 하고, 기록을 해석함에 있어 개인적인
감정을 최대한 절제시켜 객관적으로 평가해야만 한다.
정사(正史)가 '승자의 기록'이라 믿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이들의 가장 큰 함정은,
자신이 막상 필요할 때는 말을 바꿔 온갖 '기록'들을 인용해 논거를 펴면서 주장
한다는 점이다.
그러다 자신의 생각과 맞지 않을 때는 바로 거품을 물며, 사관(史官)들이 목숨을
걸고 지킨 기록을 '승자의 기록'이라 믿을 수 없다고 억지를 부린다.
이는 '생각의 균형'을 갖추기 못 했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사도세자에 대해 애틋한 심정을 가지고 있다 해도 관련 기록과 성격, 질병,
행적, 공과(功過)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그래도 좋아해야' 그게 진짜 좋아하는
것이다.
근거없는 엉뚱하고 무모한 논리로 사도세자를 '훌륭한 예비 성군', '개혁 ' 운운하며
이런 말을 아무렇지 않게 주장하는 것은 창피하게 생각해야 할 일이다.
이는 역사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을 만천하에 알리는 일이며, 또 자신의
성격적인 결함을 나타내는 일이기 때문이다.
최근 <사도세자>에 관련해 요즘 가장 눈쌀을 찌푸리게 하는 것은. 사주를 보는
사람들이 엉뚱한 생년월일로 사도세자의 사주를 풀어놓고 있다는 사실이다.
인터넷에서 사주 보는 유명한 사람이 사도세자 생일을 1975년 2월 15일로
사주풀이를 해놓았다.
하지만 이는 틀린 사주이다.
최근엔 다른 사주보는 사람이 역시 1975년으로 사주풀이를 했다.
이는 베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혹시 1795년을 1975년이라고 잘못 썼나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1795년도
사도세자의 생년이 아니다.
생년월일이 모두 틀린 것이다.
그럼에도 틀린 사주를 얼마나 그럴듯하게 사도세자와 끼워맞추기를 해놓았는지
아주 할 말을 잃을 정도이다.
한데, 이를 눈치채지 못하고 역사에 무지한 자들이 댓글을 달아놓은 걸 보면 정말
가관도 아니다.
이들 눈엔 1975년이란 연도조차 보이지 않는 것이다.
<사도세자>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사실들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사도세자의 성격적 결함이나 정신적인 질환 또는 행적들을 무시한 채
아직도 드라마나 영화의 소재로 계속 쓰이는 것은 역사왜곡이 곧바로 돈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특히 광해군이나 사도세자는 음모론자들에게 가장 잘 먹혀든다.
이는 성격적인 경향(傾向)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영화는 영화로, 드라마는 드라마로 그저 재미로 봐야함에도 불구하고 역사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은 사람들이 작품에 나오는 내용을 진짜 역사로 생각하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심지어 왜곡된 역사관을 갖고 있는 동일한 수준의 사람들끼리 입에 거품을 물고
논쟁을 벌이는 게 부지기수이다.
작가가 만든 영화나 드라마 내용을 실제 역사로 착각해 논쟁을 벌이는 건...
한마디로 무지(無知)의 소치이다.
내가 만나본 수많은 역사학자들 대부분은 역사 관련 영화나 드라마를 보지
않는다.
내용이 사실이 아닐 뿐더러, 작품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기준과 범위를 훨씬
넘어서 역사 왜곡에 가깝기 때문이다.
내 역사 공부 선생님인 한 학자는 최근 그 이유를 "열통이 터져서 못 본다."고
표현했다.
오로지 기록과 팩트만 중시하는 역사학자들로서는 당연한 일이다.
예전에 본 한 백과사전에는 "당쟁 때문에 부왕과, 생모, 부인, 노론이 모두 합심해
사도세자를 죽음에 몰아넣었다."는 허황된 설명을 해놓은 걸 보고 기함한 적이 있다.
역사 왜곡도 이런 역사 왜곡이 없다.
대체 어떤 뇌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대통을 이을 단 하나뿐인 왕실의 귀한 왕세자를
다른 이들도 아닌, 아버지와 생모와 부인이 합심해 죽였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
사도세자가 왕이 되면 황금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생모 영빈 이씨와 부인 혜경궁
홍씨는 왕세자가 죽는 순간, 그 화려한 꿈들을 다 내려놓아야만 한다.
그리고 실제로 그랬다.
이들이 얻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
고통과 회한뿐이었다.
그럼에도 임오화변(壬午禍變)의 전후 사정과 원인에 대해 사료 확인이나 역사적
고찰을 하지 않고, 그저 제 생각하고 싶은 대로 주장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일제가 조선 침탈에 대한 책임은 언급하지 않고, 오로지 "조선은 노론과 소론의 대립,
당쟁 때문에 무너졌다." 고 주장하는게 바로 일본이 치밀하게 바탕을 깐 식민사학
이다.
사도세자의 공과를 전혀 구분하지 못한 채 무조건 사도세자가 억울한 피해자이며,
노론과 소론의 대립 때문에 희생됐다고 주장하는 이들이야말로 진정 식민사학에
물든 사람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