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秋夕)엔... * 올 추석도 도서관에서 보냈다. ​오랫동안 명절이나 송년 때마다 해오던 전통이다. 명절이나 송년은 도서관에서 보낸다. 그래서 명절 며칠 전이 가장 바쁘다. 인사해야 할 곳은 일찌감치 하고, 명절 때 해야 할 일들도 미리미리 수행(遂行)한다. 송편은 미리 맞추고, 야채과 고기도 사.. 카테고리 없음 2015.09.28
중추가절(仲秋佳節) <단원 김홍도 (1745∼1806), 소림명월, 병진년 화첩(1796년), 수묵담채, 보물 782호> 추석(秋夕)은 우리나라 4대 명절 중 하나로 음력 8월 15일을 말한다. 보름달로 인해 양기(陽氣)가 가득찬 때이다. '추석'은 다른 나라들과 달리, 한국에서만 고유하게 사용하는 명칭이자 세시풍속이다. 신라 .. 카테고리 없음 2015.09.27
정조(正祖) 5, 왕과 여자 조선 제 22대 왕 정조(正祖)에게는 왕비인 효의왕후(孝懿王后) 김씨 외에 4명의 후궁이 있었다. 바로 원빈 홍씨, 의빈 성씨, 화빈 윤씨, 수빈 박씨이다. 여러 기록들을 살펴볼 때, 정조는 여색을 탐하지 않은 듯하다. 다산 정약용이 남긴 <부용정시연기(芙蓉亭侍宴記)>에는 이런 기록이 .. 카테고리 없음 2015.09.26
정조(正祖) 4, 왕과 술 ​ ​ ​ 술... 하면, 나는 이 글이 제일 먼저 생각난다. ​ 食中山之酒, 日醉千日. 今世之昏昏混逐逐, 無一日不醉, 無一人不醉, 趨名者醉於朝, 趨利者醉於野, 豪者醉於聲色車馬, 而天下竟 昏迷不醒之天下矣, 安得一服淸凉散, 人人解酲. (중산의 술을 마시면, 한 번 취하여 .. 카테고리 없음 2015.09.24
정조(正祖) 3, 왕과 풍속화 조선의 풍속화(風俗畵)는 정조(正祖) 代에서 가장 발달하고 빛을 발했다. 이는 문예에 대한 정조의 심중이나 지침과 연관이 있다. ​ 그중에서도 조선 후기 풍속화를 대표하는 화가로 단원 김홍도, 긍재 김득신과 함께 꼽히는 사람이 바로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이다. 당신은 혜원.. 카테고리 없음 2015.09.21
요즘 읽고 있는 책들... <내 서양사(西洋史) 공부 선생님이 추천한 책, 장- 바티스트 뒤로젤 著> ​ <삼국지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古代朝鮮과 日本의 歷史> ​ ​ <의식혁명(Power VS Force), 데이비드 호킨스 著> ​ <宇宙 變化의 原理> 카테고리 없음 2015.09.20
정조(正祖) 1, 왕이 그린 그림과 글씨 <정조(正祖)가 그린 국화도(菊花圖 ), 보물 744호> * 정조는 시문(詩文)에 능했을 뿐만 아니라 그림에도 재능이 뛰어났다. 가로 51.3cm, 세로 86.5cm의 이 그림은 화면 왼쪽에 치우쳐 그린 바위와, 풀 위에 세 방향으로​ 나 있는 세 송이의 들국화를 그렸다. 돌과 꽃잎은 묽은 먹으로, 국.. 카테고리 없음 2015.09.18
생각의 균형(均衡) ​ ​ 난 정조(正祖)를 좋아한다. 조선의 왕 중 가장 애틋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 독자나 블로그 방문자들은 이미 다 알고 있다. 내가 정조를 좋아하는 이유는 왕의 장난기 있는 소탈한 성격과, 평생 검소한 생활을 했고 또 인내심을 발휘해 위기와 난관을 잘 돌파해서 즉위한 왕이기.. 카테고리 없음 2015.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