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하면, 나는 이 글이 제일 먼저 생각난다.
食中山之酒, 日醉千日.
今世之昏昏混逐逐, 無一日不醉,
無一人不醉, 趨名者醉於朝,
趨利者醉於野, 豪者醉於聲色車馬,
而天下竟 昏迷不醒之天下矣,
安得一服淸凉散, 人人解酲.
(중산의 술을 마시면, 한 번 취하여 천일이나 간다고 한다.
요즘 세상은 혼미하여 앞으로 앞으로 내달리기만 하니.....
하루도 취하지 않은 날이 없고, 한사람도 취하지 않은 사람이 없다.
이름을 좇는 자는 조정에 취하고... 이익을 좇는 자는 세속에 취하며...
호사스러운 자들은 사치와 방탕에 취한다.
이 세상이 극도로 혼미하여 깨어나지 못하니, 어디서 청량산 한 첩을
얻어 사람마다 숙취에서 깨어나게 할 수 있을까?...)
이 글은 <소창유기(小窓幽記)>와 <취고당검소(醉古堂劍掃)>에 동시에 나온다.
그만큼 오탁악세(五濁惡世)의 특징과 인간의 탐욕, 사바세계의 혼탁한 삶을 대변하는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뒤늦게 술을 배운 나는, 피치 못하게 술 마실 일이 생기면 <양생명(養生銘)>에
나오는 이 글이 생각나곤 한다.
怒甚偏傷氣, 思多太損神.
神疲心易役, 氣弱病相因.
勿使悲歡極, 當令飮食均,
再三防夜醉, 第一戒晨嗔.
(생각이 많으면 정신이 손상된다.
정신이 피로하면 마음이 쉬 흔들리고
기운이 약하면 병이 겹쳐 온다.
슬퍼함과 기뻐함을 심하게 하지 말고,
음식은 항상 고루 먹으며,
밤에는 술에 취하지 말고,
새벽에 성내는 것을 제일 삼가라!)
밤새 술 퍼마시고 만취해 새벽에 귀가한 후, 독기가 오를대로 오른 마누라와 한바탕
부부싸움을 벌이는 짓은 명을 재촉하는 행위나 마찬가지이다.
만약 조선의 왕 중에 누가 가장 술을 즐겼을까 질문을 한다면, 정조(正祖)라는 데에
이견이 없을 것이다.
정조(正祖)는 술을 세 번씩 걸러내 알콜 도수를 40도 이상으로 높인 삼중소주(三重燒酒)를
즐겨 마셨다. 골초에다가 독주를 즐겨 마신 왕으로 유명하다.
한데, 자신만 술을 좋아한 게 아니라 신하들에게도 폭음(暴飮)을 강요하곤 했다.
아버지 사도세자를 빼닮아 호방한 무인 스타일의 정조는, 술과 관련된 사료들을 찾아보면
매우 짖궂고 장난기가 그득한 왕으로 기록돼 있다.
그래서 술과 관련된 일화가 많다.
가장 잘 알려진 게 바로 다산 정약용의 편지이다.
그는 둘째 아들 '학유'에게 쓴 편지(다산시문집 제 21권, 서. 유아)에서 이런 얘기를 했다.
상감(정조)께서 삼중소주를 옥필통(玉筆筒)에 가득히 부어 하사하신 일이 있었다.
'오늘 죽었구나.' 생각하며 할 수 없이 마셨는데, 취하지는 않았다.
또 한 번은 (왕으로부터) 술을 큰 사발로 받았는데, 이를 마신 다른 학사들은 모두
인사불성이 됐다.
그래서 어떤 이는 남쪽으로 향해 절을 올리고, 또 어떤 이는 그 자리에서 누워버렸다.
그러나 난 시권(試券,과거시험 답안지)을 다 읽고, 착오없이 등수도 정했다.
약간 취했을 뿐이다.
정약용의 서간 중 윗 부분은 정조가 중희당에서 정약용에게 술을 많이 마시게 한 일화를
말하고, 아랫 부분은 영화당 앞 춘당대(春塘臺)에서 열린 고권(考券)에서 정조가 성균관
학사들에게 폭음을 권해 인사불성이 된 학사들이 왕 앞에서 추태를 부린 사건을 말한다.
문무겸전(文武兼全)을 강조하던 정조는 초계문신(抄啓文臣)과 거재유생(居齋儒生)들을
춘당대로 자주 불러모아 학문적 실력을 시험하고, 또 무과(武科) 활쏘기를 시험하곤 했다.
그럴 때마다 많은 양의 술을 하사해 신하들이 폭음을 하게 만들곤 했다.
하지만 "참다운 술맛이란 입술을 적시는데 있다."라고 그동안 술의 미학을 설파해온 다산
'정약용'은 술주정을 '귀신'이라 칭하며 매우 경계했다.
"얼굴빛이 주귀(朱鬼) 같고, 구토를 해대고 곯아떨어지는 자들이 무슨 정취가 있겠느냐?
술을 좋아하는 자들은 대부분 폭사(暴死)하게 된다.
술독이 오장육부에 스며들어 썩기 시작하면 온몸이 무너진다."고 했다.
심지어 "(술은) 무릇 나라를 망하게 만들고, 가정을 파탄내는 흉패(兇悖)한 행동은 모두
술로 말미암아 비롯된다."고 단정지었다.
술에 있어서만큼은 정조와 '정약용'의 가치관이 상반됐음을 알 수 있다.
세종은 술에 대해 신하들에게 매우 엄격했다.
이는 임금 스스로 술을 자제하는 절제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양녕대군처럼 지나치게 술을 마셔서 실수를 저지르지도 않았고, 효령대군처럼 한 모금도
마시지 못해 외국 사신들을 맞기에 부족하지도 않았다.
한마디로 적절했다.
이렇게 적당히 음주를 하는 세종을 아버지 태종은 적중이지(適中而止)라고 평가하면서
칭찬했다.
학문이나 총기뿐만 아니라, 음주에 있어서도 세종은 아버지 태종의 신임을 얻었다.
세종 당시엔 송년회를 분리연(分離宴)이라고 불렀다.
한데 술로 인한 폐혜가 만만치 않았다.
1425년 말 기록을 보면, 세종은 관리들의 음주를 규찰하라는 어명을 자주 내렸다.
경회루에서 신하들의 연회가 열린 것을 단속하지 않았다며 사헌부를 질책했고, 또
관청마다 떼를 지어 경쟁적으로 분리연을 여는 상황을 개탄하기도 했다.
세종대에 술과 관련해 자주 구설에 올랐던 유명한 인물이 한 명 있다.
바로 대마도 정벌에서 공을 세운 이순몽(李順蒙)이다.
술을 마셨다 하면 폭음을 하고, 임금 앞에서도 술에 취해 욕설을 마구 내뱉는 등 추태를
일삼았다.
오죽하면 세종은 '이순몽'에게 이렇게 타이르곤 했다.
경도 이젠 늙었는데, 어찌하여 광패(狂悖)한 성질을 아직도 고치지
못하는가?
지금부터는 좀 근신해서, 광패하고 망령된 짓은 하지 말도록 하라!."
그러나 '이순몽'의 주사는 끝내 고쳐지지 않았다.
사관(史官)은 이를... "임금이 용서하고 죄를 주지 않아,그의 술주정과 광패함이 더욱
심해졌다."고 실록에 기록했다.
세종의 연이은 연말 금주령에도 불구하고 호조판서를 비롯한 고위 관리 48명이 '이순몽'의
집에서 모여 질펀하게 술판을 벌였다가 사헌부 감찰에 걸린 적도 있었다.
이들 대부분이 공신(功臣)의 자손이었다.
세종은 "논죄할 때마다 공신의 자손이라고 죄를 면하는 건 결코 아름다운 명예가 될 수
없다."면서 이들을 질책했다.
조선 전기 성리학자인 김종직도 <밀양 향교 제자(諸子)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잘못된
술문화를 맹비난했다.(속동문선, 제12권)
이윽고 향교 학생들까지 음란한 술문화에 젖었다는 것이다.
"향교가 습속을 무너뜨리고 있다. 기생을 부르고, 스승의 자리에 있는 자도 입을 다문 채
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술주정을 하며 옷을 벗는 자도 왕왕 있다고 하니 슬프다."고
개탄했다.
또 "어찌 일찍이 세속의 남녀가 서로 만나서 금수(禽獸)의 행위와 같이 하는 것을 낙으로
삼게 된 것인가?" 하며 한탄했다.
당시에도 폭음이나 주사와 함께 성적으로 문란한 경우가 꽤 있었던 모양이다.
세종 29년(1447)엔 세종의 형인 양녕대군의 아들 서산군(瑞山君) '이혜'가 술주정을
하다가 사람을 죽였다.
이로 인해 황계령(黃溪令)으로 작위가 낮아진 뒤, 경남 고성현으로 유배됐다.
아버지인 양녕대군 또한 백성에게 소주를 강제로 먹여 죽게 만든 적이 있어, 대사헌과
문무관 2품 이상 관리들로부터 격렬한 탄핵을 받은 바 있다.
이처럼 아버지 태종이 왕세자이던 양녕대군 대신, 셋째 아들 세종으로 하여금 대통을
잇게 만든 건 주색(酒色)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가 있다.
<세조실록> 3년 4월 22일조엔 "도성의 남녀들이 떼를 지어 술을 마시는데, 매양 술자리를
열면 반드시 음악을 베풀게 되고, 해가 저물어서야 겨우 집에 돌아갔다."고 기록돼 있다.
정조의 할아버지인 영조는 술에 대해 매우 엄격했다.
흔히 이때를 '술의 탄압기'라고 부른다.
영조 38년엔 정언(正言, 사간원 정6품 관직)인 '권극'의 제안으로 마침내 금주령(禁酒令)을
내렸다. 그리고 이를 어긴 자는 사형에 처하도록 명했다.
처벌이 가혹하다는 여론이 일자 영조는 규정을 완화시켰다.
즉 술을 마신 사대부는 서인(庶人)으로 폐하고, 서인은 태형(笞刑, 매를 맞는 형벌)을 준 뒤에
유배를 보내는 것으로 조처(措處)했다.
금주령은 영조 45년(1769)까지 계속됐다.
그러나 할아버지로부터 대통(大統)을 이어받은 정조(正祖)때는 상황이 달랐다.
임금 자신이 술을 즐겼기 때문이다.
또 자신만 술을 즐긴 게 아니라, 신하들에게도 폭음(暴飮)을 강요하곤 했다.
하지만 술을 마시고 범죄를 저지른 경우에는 일벌백계했다.
정조 즉위년인 1776년, 무예별감 '하경연'이 정동 근처 길가에서 술주정을 부리며 난동을
부리다 말리던 사람을 무자비하게 때린 게 적발됐다.
하경연은 곤장 100대의 중형을 받았다.
1780년(정조 4년)엔 별감인 '이경주'라는 자가 술만 마시면 상습적으로 술주정을 부리다
적발됐다.
형조(刑曺)의 심문 내용을 보면...
이 놈은 (이런 일을 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제명한 적도 있었고... 형조에서 처벌한 적도 있었으며... 심지어 노비로
강등시킨 적도 있었습니다.
그래도 개전의 정이 없으니, 일단 곤장 10대를 치고 공초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이경주는 결국 구류 처분을 받았다.
부하의 상습적인 술주정을 막지못한 '이경주'의 직속상관인 행수별감(行首別監)도 문책을
당하는 덤터기를 썼다.
하지만 '술과 정조'와 관련된 이런 희한한 사건도 있었다.
1796년(정조 20년)에 '이정용'이라는 진사(進士)가 궁궐 담장 아래에서 술에 취해서
쓰러져 있다가 통행금지 시간이 넘는 바람에 체포돼 형조로 넘겨졌다.
공초(供招)를 통해, 그가 성균관에 가서 술을 마셨는데 인정(人定)이 지난줄도 모르고 계속
마시다가 결국 집에 들어가지 못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때 정조가 '이정용'을 두둔하고 나섰다.
한데, 그 이유가 걸작이다.
"성균관 근처의 민가는 집춘영(창덕궁 동쪽에 있는 어영청 분영) 건물과 지붕이 서로 맞닿아
있어서 야금(夜禁) 시간을 범했다고 보는 것은 옳지 않다"고 유권해석을 내린 것이다.
뿐만 아니다.
정조는 "요즘 조정 관료나 유생들은 주량이 너무 적어서 술의 풍류가 있다는 것을 듣지 못했는데,
이 유생은 술의 멋을 알고 있으니 매우 가상스럽다"고 칭찬까지 했다.
심지어 "그 유생에게 술을 주어 취하게 만들고, 취한 와중에도 덕을 관철하라는 뜻을 보여
주라"고 지시했다.
이런 기록들을 통해, 정조가 술에 대해 얼마나 관대했었는지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성격적인 단면들과 특징도 파악할 수가 있다.
난 '술과 정조'와 관련된 글 중에서, 정약용의 <부용정시연기(芙蓉亭侍宴記)>를 가장 좋아
한다.
금상께서 등극한 지 19년 째 되는 해 봄에, 상(上, 임금)께서 꽃을 구경하고 고기를
낚는 잔치를 베풀었다.
그때 나는 규영부(奎瀛府)찬서(撰書)로 있었는데, 글을 짓느라 수고했다 하여 상께서
특별히 연회에 참석하라고 명하셨다.
그때 대신과 각신으로서 연회에 참석한 사람이 모두 10여 명이나 됐다.
상께서는 단풍정(丹楓亭)에서 말을 타시고, 여러 신하들에게도 말을 타고 따라오게
했다. 어가는 유근문에서부터 북쪽으로 대궐 담장을 따라 집춘문 안으로 들어섰다가
다시 꾸불꾸불 돌아서 석거각 아래에 이르러, 상림에서 말을 내렸다.
그때 온갖 꽃이 활짝 피어 있었고, 봄빛이 매우 화창했다.
..... (중략) .....
여러 신하들이 모두 머리를 조아리며 성은에 감사했다.
술을 마시자 上의 얼굴은 희색이 넘쳤고, 목소리도 온화하고 부드러웠다.
술상을 물리치고 상께서는 여러 신하들과 자리를 옮겨 원(苑) 가운데 있는 여러 정사에
도착했는데, 이때는 해가 저물녘이었다.
부용정에 이르러 상께서는 물가의 난간에 임하여 낚싯대를 드리웠다.
여러 신하들도 연못 주위에 앉아 낚싯대를 드리우고, 고기를 낚아서 통 안에 넣었다가는
모두 다시 놓아주었다.
상께서는 또 여러 신하들에게 배를 띄우라고 명한 뒤 배 안에서 詩를 지었는데, 정해진
시간 안에 시를 지어 올리지 못하는 자가 있으면 연못 한가운데 있는 조그만 섬에다가
안치시키기로 했다.
몇 사람이 섬 가운데로 귀양을 갔는데, 곧 풀어주었다.
또 음식을 올리게 하여 취하고, 배가 부르도록 먹었다.
상께서 어전(御前)의 홍사촉(紅紗燭)을 내려주셨으므로, 그것으로 길을 밝히면서 이문원
(摛文院, 규장각 사무를 맡아보던 곳)으로 돌아왔다.
..... (중략) .....
우리 성상(聖上)께서는 뜻이 본디 공손하고 검소하기 때문에 말을 달려 사냥하는 것을
즐기지 않으며, 환관과 궁첩(宮妾)이라고 결코 봐주지 않는다.
다만 진신대부(搢紳大夫)들 중에 문학과 경술이 있는 자를 좋아하여 그들과 함께 즐긴다.
비록 온갖 악기를 베풀어 놓고 노닌 적은 없으나, 음식을 내려주고 즐거운 낯빛으로 대해
주어서 그 친근함이 마치 한 집안의 아버지와 아들 사이와 같았으며, 엄하고 강한
위풍을 짓지 않았다.
그러므로 여러 신하들이 각기 말하고자 하는 것을 숨김없이 모두 아뢰니, 혹 백성들의
고통과 답답한 사정이 있어도 모두 환하게 들을 수 있었으며, 經을 말하고 詩를 이야기
하는 자도 의구(疑懼, 의심하거나 두려워함)하는 마음이 없어서 그 질정(質正, 옳고
그름을 묻거나 따지거나 하여 밝힘)하고 변석(辯析, 일의 옳고 그름을 따지어 가림)하는
데에 성실을 다할 수가 있었다.
난 이 글을 읽으면, 정조와 총신(寵臣)들이 창덕궁 후원에서 봄잔치를 하며 풍류를 즐기는
모습이 마치 영화의 장면들처럼 그려진다.
그리고 술을 좋아했던 정조의 호방하고 가식 없는 진솔한 모습과, 신하들에 대한 사랑,
그리고 군신(君臣) 간의 진한 유대감이 느껴진다.
그래서 난 '술과 정조'와 관련된 글 중에서, '정약용'의 <부용정시연기(芙蓉亭侍宴記)>를
가장 즐겨 읽는다.
*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