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균형(均衡) ​ ​ 난 정조(正祖)를 좋아한다. 조선의 왕 중 가장 애틋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 독자나 블로그 방문자들은 이미 다 알고 있다. 내가 정조를 좋아하는 이유는 왕의 장난기 있는 소탈한 성격과, 평생 검소한 생활을 했고 또 인내심을 발휘해 위기와 난관을 잘 돌파해서 즉위한 왕이기.. 카테고리 없음 2015.09.08
서점에 다녀오다 *일요일... 책을 구입하러 대형 서점이 있는 백화점에 다녀오다. 백화점은 완연히 가을이다... * 절판된 책은 도서관에서 빌려 복사해 제본한다. 카테고리 없음 2015.09.07
명성황후 사진의 진실4 (왕비 사진은 누가 찍었을까?) 명성황후와 사진... 이 두가지를 생각하면, 난 자동적으로 한 일본인이 떠오른다. 일본의 사진작가 무라카미 덴신(村上天眞)!​ 을미사변이 일어난 1895년 당시, 이 자의 직책은 조선 왕실의 '촉탁 사진사'였다. 명성황후의 사진을 찍었던 유일한 인물이다. ​ 1894년부터 1895년 을미사.. 카테고리 없음 2015.09.05
명성황후 사진의 진실 3 (왕비는 왜 사진 찍는 걸 싫어했을까?> 앞서 소개한 명성황후 관련 사진들 중엔 명성황후가 없다. 이는 일제 강점기 때 역사학자인 호암 '문일평' 선생이 명성황후로 칭해지는 사진들을 모아서, 명성황후를 직접 모셨던 상궁들에게 확인을 부탁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 명성황후를 측근에서 모셨던 상궁들은 세간에 알려.. 카테고리 없음 2015.09.04
명성황후 사진의 진실2(외국 신문에 나온 명성황후 모습) * 외국신문 기사에 나오는 명성황후 모습 ​ <1903년 11월 28일, 러시아 신문 ‘노보예브레먀’(신시대)가 명성황후 초상화라고 보도한 삽화. 1895년 2월, 일본 사진잡지에 실렸던 '조선 궁녀'의 사진 중 얼굴 부분만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 오른쪽 문서는 1903년 고종 즉위 40주년 축하사절.. 카테고리 없음 2015.09.03
명성황후 사진의 진실1(명성황후 사진은 존재하는가?> 일본의 우익 신문인 산케이가 정치 칼럼을 통해, 중국 열병식에 참가하는 박대통령을 민비에 비유하는 등 망언을 일삼고 있다. 때문에 한국 정부와 네티즌들의 여론이 들끓고 있다. ​ 이씨 조선에도 박대통령 같은 여성 권력자가 있었다. ​ 일본 군인과 낭인들로부터 시해당한 명.. 카테고리 없음 2015.09.03
난 좋은 역사소설을 쓰기 위해 이런 공부를 한다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 <중용(中庸)> <황간의 文集, 주자의 행장(行狀)> ​ ​ ​ <舊唐書 本記, 측천황후(則天皇后)>​ ​ ​ <도화원기방증(桃花源記旁證)> ​ ​ ​ ​ 카테고리 없음 2015.09.03
깨달음의 꽃, Lotus * 연꽃은 깨달음의 상징이다. ​ 그리스 신화(神話)에서는 연꽃의 열매를 먹으면 "이 세상의 괴로움을 모두 잊고 즐거운 꿈을 꾸게 된다."는 상상의 식물로 나온다. 그래서 나는 연꽃을 좋아한다. 어쩌면... 연꽃의 처렴상정(處染常淨)의 의미를 마음속 깊이 깨닫고 있기 때문 인지도 모.. 카테고리 없음 2015.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