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 조회수 9위, 이몽 서평(미디어 붓다 대표기자) * ​'미디어붓다'는 불교판 허핑턴포스트이다. 불교와 관련된 한국판 허핑턴포스틀를 지향하는​ 이 신문은 다양한 필진을 갖추고 불교계 언론에서 비중있는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미디어붓다를 책임지는 이학종 대표기자는 필력 좋기로 유명한 논객이다. 불교와 관련된 여.. 카테고리 없음 2017.06.25
누적 조회수 8위, 조선시대의 동성연애 * 역사소설 이몽(異夢)에는 동성애 사례가 두 번 언급된다. 한번은 궁녀들끼리의 동성애인 대식(對食), 또 한번은 내관끼리의 남색(男色)인 비역이다. 특별한 의도가 있어서 썼던 글은 아니다. 동성애에 관한 기록이나 벽화는 고대부터 나오는 명확한 사실이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 카테고리 없음 2017.06.24
누적 조회수 7위, 왕과 어의(御醫) * 블로그 누적 조회수 7위는 독자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던 '왕과 어의(御醫)'이다. 드라마에서 자주 왜곡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어의이다. ​ 이는 왕의 주치의인 어의를 현대적인 대통령 주치의 위상으로 잘못 생각한 때문이다. 조선시대의 어의는 양반이 아니다. 중인(中人)이.. 카테고리 없음 2017.06.23
누적 조회수 6위, 선조(宣祖) *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선조(宣祖)는 <조선왕조실록>에 정신분열증인 심질 (心疾) 즉 조현병(調絃病)을 앓았다고 공식적으로 기록된 첫 번째 왕이다. 또 조선 왕조에서 방계(傍系)로 왕이 된 첫 번째 왕이기도 하다. 내외 우환에 시달리면서 극심한 질병으로 평생을 고통 속에서 살.. 카테고리 없음 2017.06.22
누적 조회수 5위, 사도세자 * 내 블로그의 누적 조회수 5위는 바로 사도세자에 대한 포스팅이다. 사도세자는 기록이나 사료에 의거해 판단하거나 해석하지 않고, 음모론을 동원해 정치적 희생양 인양 제멋대로 왜곡시키는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세상에 음모론처럼 돈이 되기 쉬운 것도 없다. 독자들의 호기심을 .. 카테고리 없음 2017.06.22
누적 조회수 4위, 눈은 마음의 창(窓)이다. 存乎人者, 莫良於眸子. 眸子不能掩其惡. 胸中正, 則眸子瞭焉. 胸中不正, 則眸子眊焉. ​ 聽其言也, 觀其眸子, 人焉廋哉? ​ ​ <맹자, 이루장구(離婁章句) 15 편> ​ 사람의 마음을 살펴보는 데는 눈동자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 눈동자는 능히 자기의 악을 엄.. 카테고리 없음 2017.06.22
누적 조회수 3위,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 http://propolis5.blog.me/220840423039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동해 바닷가 굴 안에 산다는 관음보살(觀音菩薩)을 찾아간다. 관음(觀音)은 보이지 않고 수정의 염주 한 꾸러미만 놓여있다. 이레를 기다려 관음(觀音)을 만난다. 그대가 서 있는 산꼭대기 절벽에 한 쌍의 푸른 대나무가 솟아날 것이.. 카테고리 없음 2017.06.21
누적 조회수 2위, 정조(正祖) * 내 블로그의 누적 조회수 2위는 단연 정조(正祖) 관련 포스팅이다. 명성황후 관련 글 다음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읽는 글이다. ​ 대부분의 글을 포털에서 검색이 안 되도록 '검색 비허용'으로 해놨음에도 많은 사람들이 내 블로그를 방문해 역사 관련 글들을 즐겨 읽는다. 이는 작.. 카테고리 없음 2017.06.21
누적 조회수 1위, 명성황후 * 내가 명성황후 사진에 관한 글을 블로그에 연재한 것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었다. 언론과 방송에서 엉뚱한 사진들을 명성황후 사진으로 계속 둔갑시키는 일들이 다반사였기 때문이다. 심지어 같은 시기에 방송사들이 각기 다른 사진을 명성황후라고 뉴스 시간에 내보내는 일까지 발생.. 카테고리 없음 2017.06.20
각병십법(却病十法): 질병을 물리치는 열 가지 방법 첫째, 靜坐觀空, 覺四大原從假合. 가만히 앉아 허공을 보며 몸뚱이가 원래 잠시 합쳐진 것임을 깨닫는다. 이는 잠깐 빌려 사는 몸을 혹사하지 말자는 뜻이다. 둘째, 煩惱見前, 以死譬之. 번뇌가 눈앞에 나타나면 죽음과 견주어본다. 이는 죽기보다 더하려고 마음을 먹으면 못 견딜 일이 없.. 카테고리 없음 2017.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