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연구에서 우울증(Depressive disorder)의 위험을 2배 높이는 '위험 인자(因子)'가
바로 가족력(家族歷)이라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즉 부모 또는 형제자매 중에 주요 우울장애(MDD) 환자가 있으면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2배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바로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병원> 임상 연구, 예방 센터 연구팀의 연구 결과이다.
이 내용은 최근 <미국의학협회 저널> '정신의학(JAMA Psychiatry)'에 최근 게재됐다.
'가족력'이란 환자의 가족이나 친척 또는 같이 사는 사람들의 의학적 내력(來歷)을 말한다.
한데, 이 우울증의 가장 큰 위험 인자가 바로 가족력인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우울장애는 우울증 유형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 우울한 기분이나 흥미·식욕 저하,
수면 장애, 무가치한 기분, 피로, 자살 생각 등이 최소 2주 이상 계속될 때 진단된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병원> 임상 연구·예방 센터 연구팀은 1960년~2003년사이에 태어난
남녀 290만 3430명을 대상으로 주요 우울장애 가족력과 우울증 발병 위험의 연관성을 분석
했다.
이 중 남성은 3만 7970명(2.6%), 여성은 7만 223명(5%)이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
연구 대상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이 연구 논문은 신뢰성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남성은 어머니, 아버지, 친형제·자매 중 주요 우울장애 환자가 있으면 본인 또한
우울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각각 2.10배, 2.04배, 2.08배 높았다.
여성도 남성과 유사했다.
특히 가족 중에 주요 우울장애 환자 수가 많을수록, 어린 나이에 가족의 우울증에 노출될수록,
이러한 위험은 더욱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어린 나이에 부모의 불화를 겪은 아동이 커서 불안장애나, 우울증, 트라우마를 겪게 되는
것과 비슷한 양상을 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저자인 정신과(精神科) 전문의 '프레데리케 그노네만' 교수는 "이 연구는 가족력이
우울증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며, 이에 대한 예방이 필요하다는 점을 도출한
면에서 의미가 있다"라고 밝혔다.
우울증 가족력이 있는 환자에서 그 밖의 정신과적 질환이 더 많이 동반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2008년 <가톨릭의대> 연구팀이 우울증 가족력에 따른 주요 우울장애 환자의 특성을 연구한
결과, 우울증 가족력이 있는 그룹에서는 우울증 외에 공황장애나 불안장애, 알코올 의존성
증후군 등 다른 정신과적 질환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가족 중에 정신질환 환자가 있을 경우 가족이 '공동 정신병'을 앓거나, 다른 정신과적 잘병을
앓는 경우가 많은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는 가족 공동체의 정신건강이 가족 구성원의 정신건강과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의 '정신건강'과 자녀의 '정신건강'에 대해 부모가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래서 정신과적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전문가들은 환자 당사자 뿐만 아니라 '가족 치료'를
권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야 치료(治療)가 빠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보다 정신 건강이 좋지 않다.
이는 통계가 증명한다.
OECD 국가 중에서 청소년 자살률, 노인 자살률이 높다.
또 청소년 우울증과 노인 우울증을 앓는 사람들이 많다.
사기 사건도 가장 많이 발생한다.
사상과 이념 갈등으로 인한 갈등과 불화가 가장 많고, 난폭하고 추접한 댓글을 가장 많이
올리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면서도 먹방 방송이 많으며, 또 명품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는 것으로 통계가
나왔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여러 가지로 정신적으로 '불건강'하다.
교육(敎育)이 잘못됐고, 정치(政治)가 잘못됐기 때문이다.
결국 교육의 방향이 잘못된 것이다.
또 정치가 발전하지 못하고, '정치꾼'들의 야망과 탐욕만 득실대고 있다.
이러다 보니 자연히 국민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가족 중에 우울 장애를 겪는 사람이 있거나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이 있으면 가족 모두의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그런 일이 없도록 가족 공동체가 서로 노력해야 하고, 일단 환자가 발생할 경우
전문가와 상담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또 '가족치료'가 필요할 경우에는 가족 공동체가 적극적으로 응해야만 한다.
가족 구성원 한 명 한 명 '정신 건강'이 건강해야 가족 공동체 모두의 정신도 건강하기
때문이다.
* '김시연' 작가의 <네이버 블로그> 주소는...
https://blog.naver.com/propolis5 입니다.
<네이버 블로그>에도 방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