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동지(冬至)다.
24절기 중 동지는 22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270도에 도달하는 때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태양력(太陽曆)에 의해 자연이 변화되는 현상을 24등분 해서 24절기로
나누었다.
동지는 태양이 가장 남쪽으로 기울어져 밤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낮이 길이는 가장 짧은 시기이다.
<한국 천문연구원>에서 밝힌 2022년 동지의 절입(節入) 시각은 오전 6시 48분이다.
북반구(北半球)에서는 겨울의 첫날이 되지만, 남반구(南半球)에선 반대로 여름의 첫날이 된다.
2022년 동지는 노동지(老冬至)이다.
음력으로 11월 10일 안에 동지가 들면 애동지, 11일~20일 사이에 동지가 들면 중동지(中冬至),
11월 21일~30일 사이에 들면 노동지(老冬至) 또는 '어른 동지'라고 불렀다.
오늘은 음력으로 11월 29일이기 때문에 '노동지'가 된다.
예로부터 노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먹었다.
팥이 붉은색이기 때문에 팥죽은 나쁜 기운을 쫓는 벽사(辟邪)의 의미가 있다.
그렇다면 동지(冬至)엔 왜 팥죽이나 팥 시루떡을 먹는 풍습이 생겼을까?...
이는 팥죽의 재료인 팥의 '붉은색' 때문이다.
적색(赤色), 즉 빨간색은 전 세계 귀신들이 가장 무서워하는 색이다.
악령들이 붉은색을 가장 싫어한다.
때문에 붉은색을 띠고 있는 팥은 악귀를 물리치는 강력한 벽사(辟邪) 역할을 한다.
부정 타지 말라고 팥을 뿌리는 것은 붉은색을 싫어하는 잡귀나 악령을 쫓아내는 방법으로 액을
막는 행위다.
예로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붉은 열매를 맺는 산사나무(아가위나무)를 집 주위의 울타리 또는
정원수로 심은 것은 바로 이런 '벽사'의 의미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팥에는 오장육부 중 특히 '심장'을 보호하고 튼튼하게 만드는 물질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산사나무(아가위나무)>
붉은 색깔의 열매가 달리는 '산사(山査) 나무'는 5월을 대표한다고 하여 일명 'may flower'라고도
부른다.
영국에서 아메리카 신대륙을 찾아갈 때 탔던 배의 이름이 바로 'may flower'였다.
당시 이 명칭을 사용한 것은 붉은 열매가 달리고 가시가 있는 산사나무가 마귀와 벼락을 쫓아준다는
벽사(辟邪)의 의미 때문이다.
1620년 9월 16일, 102명의 청교도들을 싣고 미지의 신세계를 향하는 배의 무사와 항해의 안녕을
기원하는 이름을 공모했을 때 'may flower'가 선정돼서 아메리카 신대륙으로 향하는 여객선의
이름으로 사용됐다.
뿐만 아니라 또 예수님이 십자가에 매달리기 전에 쓴 가시 면류관도 산사나무이다.
성경에 나오는 모세(Moses)의 형으로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탈출할 때 힘써 도운 유대인 최초의
대제사장 아론(Aaron)의 지팡이도 산사나무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양에서 전통적으로 크리스마스 장식 때 붉은 열매의 산사나무 가지를 사용하는 것 또한 이와
깊은 연관이 있다.
우리 민족은 태양력에다 태음력을 잇대어 '태음태양력'이라는 독특한 세시풍속을 형성했기 때문에
예로부터 동지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해서 마치 명절처럼 지냈다.
때문에 고려(高麗) 때는 동지(冬至)가 <9대 명절>에 당당히 들어가 있었다.
조선 초까지도 동짓날에는 어려운 백성들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새해를 맞이하는
즐거운 명절로 지냈다.
조선시대 중기부터는 명절을 대폭 줄여 <4대 명절>로 설과 한식, 단오, 추석을 두었다.
기록을 살펴보면 조선 왕실에서는 '동지'를 명절만큼 성대히 보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정(朝廷)에서는 4대 명절 외에 춘분과 추분, 하지와 동지 등 중요한 절기를 휴무로 정해 관원들이
이날 하루 집에서 쉬도록 배려했다.
<전약(煎藥)>
왕은 동짓날, 신하들에게 책력(冊曆)과 전약(煎藥)을 하사했다.
관상감(觀象監)에서 책력을 만들어 바치면 임금은 <동문지보(同文之寶)>라는 어새(御璽), 즉
옥으로 만든 국새인 옥새(玉璽)를 찍어서 조정의 관원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전약은 내의원(內醫院)에서 소 다리와 소가죽, 소머리를 넣고 잘 고은 후 관계(官桂) 즉 계피와
생강, 정향, 후추, 대추, 아교 등을 섞어 기름에 굳힌 것이다.
지방질과 단백질이 많은 전약은 약성이 따뜻해 악귀를 물리치고 추위를 막아서 몸을 보호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염집 민가(民家)에서는 동지 때 팥죽을 쑤어 먹고 책력(冊曆)을 서로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
책력은 농경사회에서 생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생활 지침서로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또 동지 때는 뱀을 나타내는 사(蛇) 자를 써서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이면 악귀가 못 들어온다고
생각해 동지 부적(冬至符籍)을 만들기도 했다.
이처럼 동지(冬至)는 동. 서양을 막론하고 중요한 의미를 갖는 날이다.
때문에 '동지'를 아세(亞歲)라고 해서 '작은 설날'이라고 불렀다.
조선시대엔 동지를 '설' 다음가는 경사스러운 날로 명절처럼 지냈다.
설날에 떡국을 먹고 나이 한 살을 더 먹듯이 동지 때는 팥죽을 한 그릇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생각했다.
이는 동지를 신년(新年)으로 생각한 고대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로부터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
라는 말들이 동지 첨치(冬至添齒)의 풍속으로 오랫동안 전해내려왔다.
실제로 중국의 <역경(易經)>에서는 태양의 시작을 동지로 보고 복괘(復卦)로 11월에 배치했다.
이는 '동지'와 '부활'을 같은 의미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주(周) 나라, 진(秦) 나라에선 음력 11월인 자월(子月)을 세수(歲首)로 삼았다.
동지를 새해의 시작인 '설'로 생각해 천지신명과 조상들에게 제사를 지냈다.
동지가 24절기상 '가는 해의 끝'이자 '오는 해의 시작'으로 양(陽)의 기운이 처음 태동하는 시기
이기 때문에 진정한 새해의 첫 날로 여겼기 때문이다.
이런 중국의 책력과 풍속이 우리나라에 그대로 전해져 동지가 지나면 새해가 시작된 것으로 보았다.
동지의 이런 중요성 때문에 조선시대에는 매년 동지사(冬至使)를 명나라와 청나라에 파견했다.
이는 오랜 관행으로 동지를 중시하는 중국에 보내는 사절단으로 예물을 가지고 연행길에 올랐다.
동지 즈음 동짓달에 파견하기 때문에 이때의 사절단을 '동지사(冬至使)'라고 불렀다.
보통은 250명 정도, 많을 때는 500명 정도로 사절단을 꾸려 북경으로 향했다.
<연행록(燕行錄)>이라는 조선시대의 귀중한 기행문(紀行文)이 남아있는 건 바로 이 때문이다.
'북경'의 옛 지명이 바로 연경(燕京)이다.
조선시대의 '동지사'는 임시 사절이 아니라 정례 사행(定例使行) 이었다.
그만큼 국가의 중요한 행사였다.
때문에 정조사(正朝使), 성절사(聖節使)와 더불어 삼절사(三節使)라 불렀다.
예물(禮物)은 황제에게는 여러 빛깔의 모시와 명주, 화석(花席) 및 백면지(白綿紙)를, 황후에겐
나전 소함(螺鈿梳函)과 여러 빛깔 모시와 명주, 화석을 선물로 보냈다.
또 황태후에게는 황후와 같은 규모의 예물을, 황태자에게는 여러 빛깔의 모시와 명주, 화석, 백면지
등을 보냈다.
'동지사'와 '정조사' 때는 같은 예물을 보냈지만, 중국 황제와 황후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파견했던
축하 사절단인 성절사 때는 황제에게 수달피 20장을 특별히 더 선물로 보냈다.
동지(冬至)는 서양에서도 각별한 의미가 있었다.
고대인들은 이때를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로 여겨 매우 경사스럽게 보냈다.
그래서 축제를 벌이며 태양신(太陽神)에게 제사를 지냈다.
동지는 땅과 하늘에서 태양의 부활이 느껴지고 또 모든 사물에 역동하는 힘이 강해지는 때이다.
특히 동지는 12월 25일 성탄절(聖誕節)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
동지(冬至)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어 음(陰)이 극에 이르는 때이다.
하지만 동짓날을 기점으로 해가 점점 조금씩 높아지면서 낮이 점차 길어진다.
양(陽)의 기운이 새롭게 조금씩 서서히 싹트기 시작한다.
하지(夏至) 또한 마찬가지다.
하지를 기점으로 해는 점점 낮아지면서 낮의 길이가 점차 짧아진다.
자연의 신묘하고 현현(顯現) 한 섭리이다.
인간이 왜 교만하면 안 되는지, 또 왜 인내하지 않고 쉽게 포기하면 안 되는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자연의 소중한 혜훈(惠訓)이다.
동지는 동. 서양 모두에서 새로운 시작, 새로운 출발점을 뜻한다.
동지의 의미가 그만큼 각별하다.
지난해의 묵은 기운과 고난, 괴로움을 모두 씻어버리고 새로운 마음으로 다시 새롭게 시작하는
날이다.
동지에는 맑고 즐거운 마음으로 내 마음과 영혼이 하늘과 땅의 근원에서 태동하는 새 에너지를
마음껏 받아들여야 한다.
독자들 모두 오늘 하루 마음을 열고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바란다.
그래야 새로운 일 년, 좀 더 나은 한 해, 더 나은 미래가 새롭게 시작된다.
* 믿고 읽는 김시연 작가의 글...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김시연' 작가의 <네이버 블로그> 주소는...
https://blog.naver.com/propolis5 입니다.
<네이버 블로그>에도 자주 방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