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즐거운 기억을 떠올리면 우울증이 개선된다

아라홍련 2022. 6. 30. 03:17

* 내가 자녀들과 <가족영화> 보는 것을 적극 추천하는 것은 과학적인 근거에 의한

것이다.

나는 영화 추천을 할 때마다 부모가 자녀들에게 좋은 추억들을 많이 남겨주면 훗날

자녀가 역경과 좌절에 빠졌을 때 좋은 기억으로 인해 고난에서 빨리 빠져나오고 또

좋은 기억으로 인해 많은 위로와 힘을 얻게 된다는 말을 여러 번 강조한 바 있다.

이는 그냥 하는 말이 아니다.

과학 실험에서 규명된 것이다.

 

과거의 즐거운 즐거운 기억을 떠올리면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과 우울증이 개선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적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대 공과대>(MIT) 신경회로 유전학 센터와 일본의 <이화학연구소>의

'뇌과학종합연구센터' 소장을 겸임하고 있는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進) 연구팀은

생쥐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실험 결과를 과학 저널인 <네이처>(Nature)에 게재한 적이

있다.

'도네가와 스스무' 교수는 면역계의 항체 다양성 메커니즘을 밝힌 업적으로 198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단독 수상한 세계 최고의 저명한 학자이다.

 

 

                                <도네가와 스스미(利根川進) 박사>

 

연구팀은 먼저 광() 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생쥐의 뇌에 빛을 쪼이면 뇌세포가 활성화

되도록 쥐의 유전자를 조작했다.

그리고 수컷 생쥐와 암컷 생쥐를 함께 생활하게 하면서 '즐거운 기억'을 만들게 했다.

그런 다음, 쥐를 암컷과 떼어 다른 우리에 가둔 뒤 열흘 동안 꼼짝 못 하게 하는 등 많은

스트레스를 줬다.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는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꼬리를 잡아들어 올리거나 설탕을 줘도 반응하지 않는 등 우울증 증세를 보였다.

이는 사람이 불안과 우울증을 겪을 때 보이는 증세와 비슷했다.

그 후 연구팀이 '행복한 기억'을 저장한 뇌세포에 빛을 쪼이는 자극을 5일 연속 실시했다.

그러자 생쥐가 다시 싫어하는 자극에 저항하거나 설탕물 등을 반기는 등 스트레스로

인한 이상 증세가 없어졌다.

이 연구를 진행한 '도네가와' 교수팀은 지난 2012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공포

(恐怖) 기억을 지니고 있는 엔그램(engram)을 해마(hippocampus)에서 찾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엔그램'이란 외부의 자극으로 생성된다고 가정하는 생화학적 변화를 말한다.

인간이 느끼는 공포와 두려움은 바로 '해마'와 연관이 있다.

 

'도네가와 스스미' 박사는 2013년에는 가짜 기억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준 연구결과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또 2014년에는 기억을 조작할 수 있음을 보인 연구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기억상실과 관련된 논쟁을 가라앉힐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인간의 기억과 면역체계에 관한한 세계 최고의 권위자이다.

 

* ​(김시연 작가의 네이버 블로그 주소는...

http://blog.naver.com/propolis5입니다.)

 

('네이버'와 '다음'은 레이아웃과 글씨체가

달라서 글을 똑같이 옮기기가 힘듭니다.

에러가 나서 몇 시간씩 걸려도 제대로

되지 않아 포스팅 하기가 어려워요.

가능하면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인

네이버를 방문해서 글을 읽으세요.

네이버에 블로그에는 여러분들이 좋아할

유익하고 다양한 글들이 항상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