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경칩(驚蟄)이다.
경칩은 24절기 증 세 번째 절기로 태양이 황경 345도를 통과할 때이다.
동지로부터 74일째 되는 날로 2021년 올해 경칩의 절입(節入) 시각은
오후 5시 54분이다.
경칩은 땅속에 들어가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나 꿈틀거리며
땅 밖으로 나오기 시작하는 날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어있다.
중국은 2016년, 24절기를 유네스코(UNESCO) 문화유산에 신청했다.
이에 2016년 11월 30일,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렸던
<제11차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회의>에서 중국이
신청한 24절기가 심의를 통과해 '인류 문화유산'에 등재됐다.
국제기상학계는 24절기라는 중국의 역법 체계에 대해 '중국의 5대 발명품'
중 하나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유네스코는 24절기가 "계절과 천문학, 자연 현상의 세밀한 관찰을 통해서
중국 전역에 적용됐다."면서 "지금까지도 아시아 농업인에게 중요한 지침이
되고 있다."고 높이 평가했다.
<고려사(高麗史)>에서는 경칩이 지나고 나서 복숭아꽃이 피기 시작하고
(桃始華), 좀 더 있으면 꾀꼬리가 울기 시작하며(鶬鶊嗚), 좀 더 시간이
지나면 매가 비들기로 변한다(鷹化爲鳩)고 기록돼 있다.
고대인들은 경칩 무렵에 첫 번째 천둥이 치고, 이 소리를 들은 벌레들이 땅
으로 나온다고 생각했다.
<한서(漢書)>에는 열 '계(啓)'字와, 겨울잠을 자는 벌레 '칩(蟄)'字를 써서
'계칩(啓蟄)'이라고 기록돼 있다.
한데, 훗날 한무제의 이름인 계(啓) 字를 피휘(避諱)해 대신 놀랠 '경(驚)'
자를 쓰면서부터 '경칩(驚蟄)' 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공자가어(孔子家語)>의 '제자행(弟子行)에는 이렇게 기록돼 있다.
其足不履影, 啓蟄不殺, 方長不折.
(공자는 발로 그림자를 밟지 않았고, 땅속에서 나온 벌레를
죽이지 않았으며, 자라나는 초목을 꺾지 않았다.)
이 집해(集解)에 '啓蟄蟲初出也(계칩엔 겨울잠을 자던 벌레가 처음 나온다)'
라는 문장에서 '계칩'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또 <예기(禮記)>의 '월령(月令)'을 보면, "2월에는 식물의 싹을 보호하고
어린 동물을 기르며, 고아들을 보살펴 기른다."고 기록돼 있다.
이는 경칩이 만물이 생동하는 시기이므로, 이를 잘 보호해야 한다는 의미다.
24절기는 주(周)나라 때 황하강 유역을 기준으로 1년 간의 태양의 주기(週期)
운동을 관찰해 만든 것이다.
즉 황하강 유역 화북지방의 계절과 천문학, 자연 현상의 관찰을 통해 만들어져
중국 전역에 적용이 됐고, 한국을 포함한 그 주변국까지 전파됐다.
그러나 위도나 지형이 다를 경우 중국의 24절기의 날씨와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조선시대의 예전(禮典)에서는 임금이 농사의 본(本)을 보이는 적전(籍田)을
지난 해일(亥日)에 선농제(先農祭)와 함께 행하도록 정했다.
선농제는 조선시대에 농사를 처음 가르쳤다는 '신농씨'(神農氏)와 '후직씨'
(后稷氏)에게 서울 동대문 밖 동교(東郊) 선농단(先農壇)에서 제사를 지낸
행사를 말한다.
선농제는 선잠제(先蠶祭)와 함께 중간 규모의 제사인 중사(中祀)에 해당한다.
왕실에서 지내는 모든 제사는 대사(大祀)이건, 중사(中祀)이건, 소사(小祀)
이건 간에 주최자는 당연히 왕이다.
그러나 너무 많은 제사가 있었기 때문에 왕이 모두 직접 챙길 수 없어, 사대문
안에서 지내는 큰 제사인 대사(大祀)만 왕이 직접 나아가 친히 제사를 지냈다.
즉 종묘와 영녕전(永寧殿), 원구단(圜丘壇), 사직단(社稷壇) 제사는 임금이
직접 받들고, 나머지는 각 제사와 연관있는 부서의 책임자들을 파견해 왕을
대신해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
조선시대엔 경칩에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소사(小祀)로 규정된 둑제
(纛祭)를 지냈다.
둑제는 군대를 출동시킬 때 군령권(軍令權)을 상징하는 큰 깃발 대장기(大將旗)
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둑(纛)은 왕의 대가(大駕) 또는 군대 대장 앞에 높게 세우던 대형 군기(軍旗)를
말한다.
둑제는 소사(小祀)이므로 중앙에서는 경칩인 음력 2월과 상강일(霜降日)인
음력 9월, 이렇게 일 년에 두 번씩 왕을 대신해 병조판서(兵曹判書)가 주관하여
제사를 지냈다.
둑제는 무관(武官)인 병조판서가 왕을 대신해 지냈던 유일한 국가 제사이다.
둑제에서는 잔을 올릴 때 납씨가(納氏歌)를 불렀고,간척무(干斥舞)와 궁시무
(弓矢舞), 창검무(槍劍舞) 등의 춤을 추었다.
간척무는 제사 초헌 때 왼손엔 방패 오른손에는 도끼를 들고 추는 춤을 말하고,
궁시무는 아헌례 때 활과 화살을 들고 추던 춤이다.
또 창검무는 둑제의 종헌 때 창과 칼을 들고 추던 춤을 말한다.
둑제는 음악과 무용이 함께 어우러진 종합예술에 가까웠다.
서울의 '뚝섬'은 둑제를 지내던 둑신사(纛神祠), 즉 사당이 있던 곳이다.
'뚝섬'이란 지명은 바로 이 <둑제>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순 장군은 <난중일기(亂中日記)에서 임진왜란 당시 둑제를 세 차례나
지냈다고 기록헸다.
이를 통해 중앙에서 병조판서가 둑제를 지내는 것 외에, 각 지방에서도 군의
지휘관들이 일 년에 두 번 제사를 지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음력 2월 경칩과 음력 9월 상강일에 지방의 둑소인 둑신사(纛神祠)에서도
대장기인 둑(軍旗)에 대해 제사를 지낸 것이다.
조정(朝廷)에서는 경칩 이후에는 갓 나온 벌레나 갓 자라는 풀이 상하지 않게
불을 놓지 말라는 금령(禁令)을 내렸다.
<성종실록>에는 "우수(雨水)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驚蟄)에는 새싹이 돋는
것을 기념한다."고 기록돼 있다.
이를 통하여 조정에서는 우수와 경칩부터 본격적인 농사준비에 들어가도록
독려했음을 확인 할 수가 있다.
* 믿고 읽는 김시연 작가의 글...
* 네이버의 도메인 정책에 따라 김시연 작가의
네이버 블로그 주소가 바뀌었습니다.
(김시연 작가의 네이버 블로그 주소는...
http://blog.naver.com/propolis5입니다.)
(네이버와 다음은 레이아웃과 글씨체가
달라서 글을 똑같이 옮기기가 힘듭니다.
에러가 나서 몇 시간씩 걸려도 제대로
되지 않아 포스팅 하기가 어려워요.
가능하면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인
네이버를 방문해서 글을 읽으세요.
네이버에 블로그에는 여러분들이 좋아할
유익하고 다양한 글들이 항상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