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0. 한식(寒食)
* 오늘은 한식(寒食)이다.
사람들의 착각과 달리 한식은 24절기가 아닌 명절(名節)이다.
고대 민속신앙에서 비롯된 날이다.
중국에서 들어온 절기였으나 우리나라에 토착돼 큰 명절이 됐다.
오랫동안 설, 추석, 단오 명절과 함께 우리 민족의 큰 명절로 자리잡았다.
특히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한식이 국가에서 인정하는 큰 명절에
속해 관리들에게 휴가를 주고 국가적인 여러 행사들을 시행했다.
청명과 한식은 주로 병칭(竝稱)된다.
하루 정도 차이가 나는데다 기록에 행사가 겹치기 때문이다.
이때가 되면 조선시대에는 오래된 불을 새 불로 바꾸는 국가적 행사가 있었다.
조선 순조 때의 학자 홍석모가 지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이 즈음이
되면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친다"고 기록돼
있다.
궁궐 안에 설치돼 시위와 의장을 맡고 있는 내병조(內兵曹) 군사들이 느릅나무나
버드나무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 안으로 끈을 통과시킨다.
삼으로 만든 끈은 워낙 튼튼하기 때문에 군사들이 양쪽에서 톱질하듯 서로 세게
잡아당겨도 오래 버틸 수가 있다.
그렇게 밀고 당기면서 빠르게 마찰시키면 불이 붙게 된다.
임금이 그 불을 홰에 붙이는 의식을 행하면, 그 불을 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문무백관, 그리고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를 수령은 다시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온 백성이 한 불을 씀으로써 같은 운명체로서의 국가 의식을 다진 것이다.
꺼지기 쉬운 불은 습기나 바람에 강한 불씨통인 장화통(藏火筒)에 담아서
팔도로 보내졌다.
장화통은 뱀이나 닭껍질로 만든 주머니로, 불을 보온력이 강한 은행이나
목화씨앗을 태운 재에 묻어서 운반했다.
조선시대에는 이를 사화(賜火)라고 불렀다.
청명 한식 즈음이 새봄이 시작되는 절기이므로 불을 일으켜 만물이 왕성하게
일어나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병조 주관으로 내병조에서 행했다.
조선 정조 때 문신 김매순이 1819년에 한양의 연중행사를 기록한 책인 <열양
세시기>에는 <동국세시기>와 달리, 불을 나누어주는 일을 '한식조'(寒食條)에서
기록하고 있다.
대신 청명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간혹 드라마에서 왕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찬수 개화식을 행하는 것으로
나오는데, 이는 명백한 역사 왜곡이다.
청명이나 한식 때 행하는 불을 바꾸는 행사나 절기가 바뀔 때마다 행하는 찬수
개화식은 절기에 맞게 정해져 있는 국가적 행사였다.
왕이 아무때나 마음대로 할 수 있는 행사가 아니었다.
조선시대에는 한식 날, 종묘(宗廟)와 각 능원(陵園)에 제향을 보내고, 관공리
(官公吏)들에게 공가(公暇)를 주어 성묘하도록 했다.
또 어떤 죄수에게도 형을 집행하지 않도록 금지시켰다.
한식 날 민간에서는 조상들에게 한식 차례를 올리고 성묘를 했다.
사초를 하고, 상석이나 비석을 세웠다.
이는 한식 날이 일명 '손 없는 날', '귀신이 움직이지 않는 날'이라고 오랫동안
전해져왔기 때문이다.
여염(閭閻)에서는 흙으로 만들어진 부뚜막을 손질하고, 벽을 고치거나,
방바닥을 손질하는 등의 일을 하기도 했다.
한식일(寒食日)은 불을 금하는 날이기 때문에, 지상을 통제하고 다스리는
지신(地神)이 별로 할 일이 없다는 관계로, 천상에서 옥황상제가 지상에 있는
모든 지신들을 소집시켜서 명령을 하달하는 날이라 지상을 감독하는 지신이
없는 틈을 타 몰래 살짝하는 것이라 무해, 무탈하다는 전설이 때문이다.
조선시대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은 '한식 촌가(村家)'라는 시에서 한식을
이렇게 노래했다.
禁火之辰春事多 불을 금하는 때(한식)에는 봄일이 많으니
芳菲點檢在農家 방비를 점검하는 것도 농가에 있다.
鳩鳴穀穀棣棠葉 비둘기는 국국 아가위 나무 잎에서 울고,
蝶飛款款蕪菁花 나비는 훨훨 장다리꽃에서 나네.
帶樵壟上烏犍返 검은 황소는 땔나무 싣고 언덕으로 돌아오고
挑菜籬邊丫髻歌 울타리 가에서는 나물 캐는 소녀들이 노래를 부른다.
有田不去戀五斗 내 밭이 있어도 다섯 말 녹봉이 그리워 떠나지 못하니
元亮人笑將柰何 도연명이 비웃어도 어쩌지 못하겠네.
한식(寒食)의 기원은 중국 진 나라의 충신 '개자추'의 혼령을 위로하기 위함이라고
전해진다.
'개자추(介自推) 전설'에 의하면 중국 춘추시대의 공자(公子) 중이(重耳)가 망명해
유랑생활을 할 때, 공자가 굶주림에 시달리는 것을 본 '개자추'는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바쳤다.
중이는 진나라의 문공(文公)이 된 뒤, 충신들을 포상했다.
한데, 충신 속에 '개자추'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를 수치스럽게 여긴 '개자추'는 깊은 산중에 들어가 숨어버렸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문공은 잘못을 뉘우치고 뒤늦게 '개자추'를 찾았다.
그러나 개자추가 끝까지 산에서 나오지 않자 문공은 산에다 불을 놓으면 밖으로
나올 것이라고 생각해 불을 질렀다.
그러나 '개자추'는 끝내 나오지 않고 홀어머니와 함께 꼭 껴안은 채 버드나무
밑에서 불에 타 숨진 채 발견됐다.
이때부터 '개자추'를 애도하는 의미에서 한식(寒食)에는 불을 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이 생겼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한식을 냉절(冷節) 이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한식의 의미를 고대 종교적 의미로 해석하면, 매년 봄에 국가에서 새불
(新火)을 만들어 쓸 때, 그에 앞서 어느 일정 기간 동안 묵은 불(舊火)를 일체
금지시키던 예속(禮俗)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또 중국의 옛 풍속에서는 이때쯤 풍우가 심해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 습관이
있었는데 여기에서 한식의 유래를 찾기도 한다.
* 믿고 읽는 김시연 작가의 글...
*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네이버>와 <다음>은 레이아웃이 다르기 때문에 네이버에서 쓴
글을 올리면 글의 배열이 맞지 않아 읽기가 불편합니다.
휴대폰에서 보는 것도 마찬가지이고요.
가능하면 네이버에 들어와 편히 읽기 바랍니다.
네이버 블로그에는 다양한 글들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네이버 화면에 '공지'가 나올 경우, 왼쪽에 있는 '블로그'를
누르면 본래의 네이버 화면으로 이동해요.)
'카테고리 없음'의 다른글
- 현재글2020. 한식(寒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