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신정(新正)

아라홍련 2020. 1. 1. 11:35

 

 

 

                       * 오늘은 2020년 새해가 시작된 날로 신정(新正)이다.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책력인 그레고리력(Gregorian calendar),  

                       양력(陽曆)이 시작되는 첫 날이다. ​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태음력인 율리우스을 개정해 태양력 

                       역법을 시행했기 때문에 양력을 그레고려이라고도 부른다.

​                       그러나 당시 모든 국가가 동시에 그레고리사용하기 시작했던 것은 아니다.

                       로마 카톨릭 국가들은 그레고리력 시행 이후 1년 만에 대부분 이 역법인 양력을

                       시행했지만, 신교 가들은 카톨릭에 대한 반발과 종교적인 이유를 내세우며

                       18세기 초까지도 태음력인 율리우스을 고수했다.

                       심지어 정교회(正敎會) 국가들은 20세기 초까지도 율리우스을 사용했다.

                       영국은 1752년 9월 2일 다음날을 9월 14일로 바꾸면서 그레고리력인 양력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또 러시아는 혁명 직후인 1918년 1월 31일 다음날을 2월 

                       14일로 바꾸면서 그레고리인 양력을 채택했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 4년 후인 1872년 11월부터 양력을 채택했다.

 

                       한국 1895년 10월 26일(음력 9월 9일을미개혁 후 '김홍집 내각' 때 같은

                       해인 음력 11월 17일을 1896년 1월 1일로 바꾸면서 양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                       1월 중에는 24절기 중 스물세 번째 절기인 소한(小寒)이 1월 6일에 들어있고,

                       스물네 번째 절기인 대한(大寒)은 20일에 들어있다.

                       그리고 음력 정월 초하루인 우리나라 고유의 명절인 설날은 1월 25일이다.   

                       2020년은 육십간지 중 37번 째인 경자년(庚子年) 쥐띠 해이다.​ ​             

​                       역사적으로 살펴볼 때 경자년은 결코 평범한 해가 아니었다.

                       자연 재해가 많았고, 국가적으로도 굵직굵직한 사건들이 많이 발생했다.

                       음양오행상으로 볼 때 한국은 동북 간인방(艮寅方)에 위치한 갑목(甲木)의

                       나라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경()의 글자가 들어가는 해의 전후로 유독 환란(患亂)을

                       많이 겪었다.

                       대한제국 융희 4년인 1910년 경술년(庚戌)에는 통탄의 국권피탈(國權被奪)

                       사건인 경술국치(庚戌國恥)가 있었고, 1950년 경인년(庚寅年)​에는 북한의

                       불법 남침으로 6.25 동란(動亂)이 발생했다. 

                       뿐만 아니다. 

                       1960년에 발생한 4.19 혁명에 이어 1961년 경자년(庚子年)에는 5.16 혁명이

                       일어났고, 1979년 12.12 사태에 이어 그 다음해인 1980년 경신년(庚申年)에는

                       5.18 광주 사태가 발생해 군사 정권이 들어섰다.

                       이런 역사적 사건들을 살펴 볼 때 올해 2020년 경자년 또한 국정이 매우 혼란

                       스럽고 정치판이 심하게 요동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재 정치판이 난장판인 것만 봐도 유추 할 수 있는 일이다. 

                       특히 4월 15일은 제21대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일(總選日)이다.

                       권력과 한탕을 꿈꾸는 정치꾼들이 집결해 이합집산을 하고, 서로 비방하면서

                       모략과 권모술수, 유언비어를 퍼뜨려 정치판이 아수라장이 될 것은 명약관화

                       (明若觀火)하다.

                       국민이 고생하고 힘든 것은 바로 이런 정치꾼들 때문이다.

 

                       경자년이 범상치 않으므로 한반도도 격랑에 휩쓸린 가능성이 있다.

                       이런 때일수록 진영 논리와사상, 이념에 이리저리 휩쓸리지 말고, 근기(根氣)를

                       갖고 ​은인자중(隱忍自重), 자중자애(自重自愛)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특히 허영과 허세보다는 실속을 중시하고, 도박이나 투기 등을 멀리 해야 한다.

                       또 폐와 기관지에도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다.

                       바로 인과응보(因果應報), '인과(因果)의 법칙'이다.  

                       항상 자신의 말과 행동 즉 언행으로 나오는 모든 것들이 파동으로 저장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자신의 인생은 결국 자신이 만들어 가는 것이다. 

                       최종적인 책임자는 바로 자신이다.

                       누구도 원망 할 수 없는 이유이다.

                       홀로 있을 때에도 도리에 어그러지는 일을 삼가하는 신독(愼獨)한 자세가

                       필요하다.

                                 

                       김시연 작가의 글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독자 여러분!

                       올 한해도 신독한 독자들에게 하늘의 가호(加護)와 사랑, 자비가 봄비처럼

                       내려지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

                    ​

                                                                 정관(正觀) 김시연 작가  

               

                                                                  * 믿고 읽는 김시연 작가의 글...

                                        

                                   *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http://propolis5.blog.me)         

                     

   

                                            <네이버>와 <다음>은 레이아웃이 다르기 때문에 네이버에서 쓴

                                            글을 올리면 글의 배열이 맞지 않아 읽기가 불편합니다.

                                            휴대폰에서 보는 것도 마찬가지이고요.

                                            가능하면 네이버에 들어와 편히 읽기 바랍니다.

    

                                                (네이버 화면에 '공지'가 나올 경우, 왼쪽에 있는

                                           '블로그'를 누르면 본래의 네이버 화면으로 이동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