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복의 단오풍정(端午風情)>
* 오늘 6월 7일은 음력 5월 초닷새, 단오(端午)이다.
단오는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4대 명절(설, 한식, 단오, 추석) 중 하나이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과 일본서 중요하게 지켰던 큰 명절이다.
'단오'라는 이름 외에도 수릿날(水瀨日),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五節),
단양(端陽)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이런 명칭들이 어디에서 유래됐는지는 기록에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대체적인 시각은 역술(曆術)에 의해 붙여진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수릿날은 신라 때 단오절(端午節)을 부르던 우리 고유의 명칭이다.
고대에는 홀수를 양(陽)의 기운으로 일컬었다.
특히 홀수가 두 번 겹치는 날은 밝고, 높고, 따뜻한 것을 겹겹으로 두었다고
하여 '길상(吉祥)의 날'로 생각해 매우 경사스러운 날로 여겼다.
고래로부터 음력 1월 1일 설날, 5월 5일 단오, 7월 7일 칠석, 9월 9일 중양절을
중요한 명절로 정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 중 5월 5일을 태양의 기운이 가장 센 날이라고 해서 으뜸 명절로 생각했다.
'수릿날'의 '수리(水瀨)'란 뜻은 고(高), 상(上), 신(神)을 의미한다.
일 년 중 '최고의 날'이란 뜻이다.
농경사회에서는 파종을 하고 모를 낸 후 약간의 휴식시간이 시작되는 시점이
바로 단오절이다.
때문에 이날 하루는 남녀노소 불문하고 마음껏 놀이를 즐기며 보냈다.
단오날이 되면 약초를 캐거나 창포(菖蒲)를 문에 꽂아두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았다.
또 청포주(菖蒲酒)나 약주를 마시고, 쑥으로 인형이나 호랑이를 만든 뒤 문에
걸었다.
이는 약초나 창포, 쑥 등의 강한 향기와 약성으로 재액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차륜병(車輪餠)이라고 하여 수리취를 넣어 둥근 절편을 만들어 먹기도 했다.
또 단옷날에는 그네뛰기와 씨름, 탈춤 등 여러 가지 민속놀이가 행해졌다.
해서지방(海西地方)에서는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등 탈놀이 공연을
했고, 강릉지방에서는 남대천의 넓은 공터에서 단오굿판이 열렸다.
그렇다면 조선시대 단옷날에는 궁궐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
음력 5월 초닷새 단오절이 찾아오면 임금은 신하들에게 쑥호랑이(애호, 艾虎)를
하사했다.
쑥호랑이는 잔 짚을 사용해 호랑이 모양을 만들고, 비단조각으로 꽃을 묶어
쑥잎을 붙여서 머리에 꽂도록 만든 것이다.
중양절에 수유(茱萸)나무 가지를 머리에 꽂아 나쁜 기운을 없애던 풍속과 매우
비슷하다.
이는 명대(明代)에 이후(李珝)가 편찬한 <세시잡기(歲時雜記)>에 "단오날 쑥을
가지고 호랑이 형상을 만들고, 또 비단을 잘라 작은 호랑이를 만들며, 쑥잎을
붙여 머리에 꽂는다."고 기록된 것을 본뜬 것이다.
또 공조(工曹)에서 단오부채를 만들어 진상하면임금은 각 궁의 신하와 시종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이를 단오선(端午扇), 또는 절선(節扇)이라고 불렀다.
부채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살이 흰 대나무 화살 같은 것이 40~50개나 됐다.
이것을 백첩(白貼)이라고 했고, 칠을 한 것은 칠첩(漆貼)이라고 했다.
이것을 받은 신하들은 대개 이 부채에 금강산 1만 2,000봉을 그렸다.
또 관상감(觀象監)에서는 붉은 부적을 만들어 왕에게 진상했다.
이를 가지고 관리들이 궁궐 안에 천중부적(天中符籍)을 문설주에 붙여 상서롭지
못한 기운을 막았다.
마찬가지로 진신대부의 집에서도 문설주에 부적을 붙였다.
내의원(內醫院)에서는 제호탕(醍醐湯)과 금박(金箔)을 입힌 옥추단(玉樞丹)을
만들어 임금에게 바쳤다.
옥추단은 오색실에다 꿰어서 차고 구급약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을 말한다.
왕은 단옷날에 제호탕과 옥추단을 가까운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며 큰 명절인
단옷날을 축하했다.
* 믿고 읽는 김시연 작가의 글...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네이버 화면에 '공지'가 나올 경우, 왼쪽에 있는
'블로그'를 누르면 본래의 네이버 화면으로 이동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