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안대회 교수가 최근 중요한 문헌 하나를 또 발견했다.
끊임없이 희귀 문헌 발굴에 열정을 바쳐온 안 교수는 사학계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로 꼽힌다.
<정조 어찰첩> 수백 통을 발견해 정조(正祖)의 정치 철학과 적나라한 심리적인
상태들을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만들었던 사람이 바로 안대회 교수이다.
이 어찰첩 때문에 정조가 공작정치와 막후정치의 달인이었으며 또 상상할 수도
없는 찰진 욕설들을 구사하면서 마음에 안드는 신하들을 험담하고 뒷담화하는
데도 일가견이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정조의 성격적인 특성과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난 것이다.
그동안 책이나 드라마를 통해 우리가 알고 있던 정조가 아니었다.
<정조 어찰첩> 때문에 오랫동안 음모론자들이 주장해온 '심환지가 정조를 죽게
만들었다.', '정조가 독살당했다.'는 등의 허무맹랑한 얘기들이 한방에 사라졌다.
오랫동안 정조의 정적(政敵)으로 알려져온 심환지가 사실은 정조의 심복이었음이
정조의 편지들을 통해 명명백백 밝혀졌기 때문이다.
수백 통의 편지가 들어있는 어찰첩은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냈던 편지들이다.
한데, 최근 안대회 교수가 명나라의 임진왜란 참전 인사들이 남긴 특수부대 관련
문헌을 찾아내 설화처럼 치부돼왔던 '원숭이 기병대(騎兵隊)'가 실제로 존재했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참전했다고 막연히 전해지던 얘기가 실상은 소문이 아닌
사실이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대단한 발견이다.
특히 올해는 임진왜란이 종전한 지 420주년이 되는 해라 더 의미있는 발견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은 경북 안동의 풍산김씨 문중에 전해오는 <세전서화첩(世傳書畵帖)>
중 '천조장사전별도(天朝將士錢別圖)'이다.
이 그림은 임진왜란 때 파병된 명나라 군대의 본국 귀환 장면을 그린 것으로
명나라 사령관이었던 형개(邢价)가 본국으로 귀국하기 전, 자신의 조선인 참모인
풍산김씨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 1553-1602)에게 감사의 뜻으로 선물로
주었던 그림이다.
당시 유명 화가였던 김수운(金守雲)이 그린 것인데, 1599년 2월 명나라의 14만
대군이 본국으로 철군하는 장면이 상세히 그려져 있다.
맨 위의 그림 왼쪽 하단(흰 네모)을 자세히 보면 ‘원병삼백(猿兵三百)’이라는
깃발 아래 10마리의 유인원이 칼을 들고 행군하는 장면이 등장이 보인다.
원병(猿兵)이란 '원숭이 병사'라는 뜻이다.
우리나라 기록에도 명나라의 원숭이 기병대에 관한 얘기들이 남아있다.
이중환의 <택리지>, 연암 박지원의 <경리양호 치제문>, 조경남의 <난중잡록>
에는 명나라 원숭이 부대의 활약상이 기록돼 있다.
특히 조선의 실학자 이중환(1690∼1756)이 쓴 택리지의 '팔도론, 충청도'에는
원숭이 기병대의 박진감 넘치는 전투 장면이 묘사돼 있다.
현재 충남 천안 일대인 소사(素沙) 지역의 전설을 소개하는 책인데, 임진왜란
당시에 평양 전투, 행주산성 전투와 함께 육상에서 거둔 삼대첩(三大捷)으로
꼽히는 소사전투(1597년)의 내용이 이렇게 담겨있다.
명나라의 양호(楊鎬)는 원숭이(弄猿) 기병 수백 마리를 데리고
소사하(素沙河) 다리 아래 들판이 끝나는 곳에서 매복하게 했다.
원숭이는 말에 채찍을 가해서 적진으로 돌진하였다.
왜적들은 원숭이를 처음으로 보게 되자 사람인 듯하면서도 사람이
아닌지라 모두 의아해하고 괴이하게 여겨 쳐다만 보았다.
혼란에 빠져 조총 하나, 화살 하나 쏴 보지도 못하고 크게 무너져
남쪽으로 달아났는데 쓰러진 시체가 들을 덮었다.
<택리지, 이중환, '팔도론. 충청도'/1751년>
원숭이 기마부대의 활약상은 마치 판타지 영화나 군담소설(軍談小說)에서나
등장하는 장면처럼 너무 극적이고 환상적이어서 도무지 믿기지 않을 정도이다.
더구나 이 책은 임진왜란이 종전한 지 150여 년이 흐른 뒤에 작성된 것이고,
그 이전 조선의 문헌이나 명나라와 일본 사료에선 원숭이 특수부대의 활동을
확인할 수가 없어 그동안 '원숭이 기병대' 얘기는 마치 설화나 야사(野史)처럼
가볍게 전해져왔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원병(猿兵)은 원숭이를 훈련시켜 실제로 참전시킨 것이라는 설, 중국에
표류한 서양인들을 훈련시킨 외인부대라는 설, 또 적정을 살피려고 원숭이로
위장시킨 명나라 특수부대라는 설 등이 그동안 난무했다.
한데, 안대회 교수가 임진왜란에 참전했던 명나라 인사들이 원숭이 부대에 대해
기록한 문헌을 드디어 처음으로 찾아낸 것이다.
원숭이 기병대에 관한 얘기는 임진왜란 당시 신녕현감(新寧縣監)으로 직접
전투에 참가했던 손기양(孫起陽)의 일기에도 나온다.
부리던 종이 명나라 유정(劉綎)의 부대를 둘러보고 와서 손기양에게 얘기한
신기한 구경거리가 이렇게 기록돼 있다.
(종이) 유정의 군진으로부터 돌아왔는데 초원(楚猿, 원숭이)과
낙타가 있다고 했다.
원숭이는 능히 적진으로 돌진할 수 있고, 낙타는 물건을 운반할
수 있다고 한다.
<1598넌 7월 21일 일기>
또 임진왜란을 가장 자세하게 서술했다고 평가받는 조경남(趙慶男)의 <난중잡록
(亂中雜錄)>에도 비슷한 얘기가 나온다.
조경남이 직접 명나라 부대를 확인한 후 말을 능수능란하게 다루는 원숭이 기동대의
존재를 묘사했는데, 그의 기록은 택리지의 설명과 거의 흡사하다.
군사 가운데 초원(楚猿, 원숭이) 4마리가 있어 말을 타고
다루는 솜씨가 마치 사람과 같았다.
몸뚱이는 큰 고양이를 닮았다.
<조경남, 난중잡록(亂中雜錄)>
이렇게 그림과 기록에 명나라의 원숭이 부대가 분명히 나옴에도 그동안 야사나
설화처럼 치부된 것은 이를 뒷받침할 만한 공적인 기록이 없었기 때문이다.
또 참전국인 명나라나 일본의 사료들을 찾지 못했다.
한데, 이번에 안대회 교수가 명나라 참전 인사들이 쓴 원숭이 특수부대에 관한
기록을 찾아냈다고 발표했다.
안대회 교수는 이 문헌을 통해 그동안 막연하게 생각해왔던 원숭이 기병대의
실체가 일부 밝혀진 셈이라면서 위의 내용을 담은 논문 <임진왜란 소사전투의
明 원군(援軍) 원숭이 기병대>를 곧 학술지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너무나 기대된다.
* 믿고 읽는 김시연 작가의 글...
*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http://propolis5.blog.me
(네이버 화면에 '공지'가 나올 경우, 왼쪽에 있는
'블로그'를 누르면 본래의 네이버 화면으로 이동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