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털 사이트 Daum에 김상헌을 검색했더니 관련 단어로 '김상헌 자살'이 뜬다.
다시 Naver에 김상헌을 검색해봤더니 역시 관련 단어로 '김상헌 자결'로 나온다.
그래서 역사 왜곡이 무서운 것이다.
학자들이 굳이 특별한 이유가 아니라면 역사 왜곡을 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 것은
이처럼 아직도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역사의 진실을 알게 됐다고 생각하는 무지한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청음(淸陰) 김상헌과 창랑(滄浪) 최명길은 호(號)만 봐도 기질이나 천품(天稟)이
엿보인다. 참으로 기이한 일이다.
동시대를 살아가며 첨예하게 대립했던 두 사람의 사상과 행적이 호(號)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청음은 강직한 언론 활동으로 출사와 파직을 반복했던 인물이다.
그의 절개와 강직함은 훗날 청나라에서도 인정했을 정도이다.
김상헌은 심양의 감옥 북관(北館)에서 풀려날 때 청나라 관리가 황제가 있는
곳을 향해 절을 하라고 강요했지만, 허리가 아프다는 핑계를 대고 끝내 절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훗날 최명길은 풀려날 때 서슴없이 청나라 황제가 있는 곳을 향해 절을
올렸다.
혹자는 명나라를 섬기나 청나라를 섬기나 둘 다 사대주의인데, 뭐가 그리 대단한
논쟁거리가 되냐고 자조적으로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김상헌은 당시 명나라에 대한 의리와 도리를 중시해 척화(斥和)를 주장하며
끝까지 절개를 지켰다.
김상헌은 정시 문과에 급제한 후 엘리트 코스를 거쳤지만, 그의 강직한 성품이 광해군
심기를 건드리는 바람에 파직됐다.
그럼에도 절개를 중시하는 김상헌은 인조반정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인조는 강직한 인재인 김상헌의 기개를 높이 사 다시 등용한 뒤 대사헌과
대사성, 대제학을 거쳐 육조(六曹)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도록 신뢰를 아끼지 않았다.
청음의 형이 바로 우의정을 지낸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이다.
76세의 나이로 병자호란 때 묘사(廟社)의 신주를 받들고 빈궁과 원손을 수행하여
강화도에 피난했다가 이듬해 강화성이 함락되자 성의 남문루(南門樓)에 있던
화약에 불을 지르고 순절했던 바로 그 인물이다.
창랑(滄浪) 최명길은 당시 이단으로 간주되던 양명학(陽明學)에 심취했던 인물이다.
명분을 중시하는 주자학(朱子學)보다 행동적이고 실천적인 양명학에 관심을 가지고
학문을 익힌 것은 그의 정치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 훗날 정치적 판단을 하는데도
중요한 기준이 됐다.
그가 병자호란에서 보인 유연한 사고방식과 실익을 중시하는 태도는 바로 이와 깊은
연관이 있다.
역사에서는 청음을 척화파(斥和派), 창랑을 주화파(主和派)로 정의하지만 기록을
통해 그의 행적을 추적하면 최명길을 완전한 주화파라고는 할 수는 없다.
최명길은 7세 때 임진왜란을 겪었다.
왜란이 끝난 후, 약 40여 년 후에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병자호란은 우리나라 2대 전란(戰亂)에 속한다.
임진왜란은 7년 동안, 병자호란은 불과 40여 일 정도 전쟁을 치뤘지만 임진왜란과
맞먹을 정도로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던 전쟁이 바로 병자호란이다.
최명길은 워낙 혼란한 시기를 살았으므로 그의 양명학 심취나, 명분보다는 실익을
중시한 그의 실학적 정치 노선은 십분 이해가 가고도 남는다.
최명길은 김상헌과 달리 인조반정에 가담했고, 그 공로로 완성군(完城君)이라는
공신 봉호를 받았다.
이를 계기로 인사권을 쥔 이조의 요직을 두루 거치며 단숨에 이조 좌랑에서 이조참판
까지 올랐다.
그가 정계의 핵심 인물로 떠오른 것은 1624년 '이괄의 난' 때 장인인 도원수(都元帥)
'장만'을 도와 큰 공을 세운 직후였다.
인조반정 이후 논공행상 문제로 당쟁이 발생하자 최명길은 이들의 조정에 노력했다.
이때 최명길이 주장한 것이 바로 양시양비론(兩是兩非論)이다.
둘 다 옳은 점이 있고, 둘 다 그른 점이 있으므로 이를 잘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론을 조정하기 위해 노력한 그의 행적들을 통해서도 남한산성에서 보인 그의 자취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영화 '남한산성'에서는 감독이 이 기록을 알지 못했던 듯 최명길의 대표적인 멋진
말을 영화에 사용하지 않았지만, 기록을 보면 김상헌이 최명길이 쓴 항복 문서를
찢어버리자 최명길이 이를 다시 주워모으며 이렇게 말했다고 기록돼 있다.
조정에 이 문서를 찢어버리는 사람이 반드시 있어야 하고,
또 나처럼 주워모으는 사람도 있어야만 합니다.
후금(後金)의 압박이 점점 심해져 조선의 존망이 기로에 서자 최명길은 새로운 이론을
내세웠다.
바로 변통(變通)의 논리이다.
새롭게 전개되는 현실에 맞추어 때로는 명분을 굽혀서라도 나라를 먼저 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시 말해 명나라의 적인 후금(淸)과 겉으로는 화약을 맺고, 안으로는 군대를 양성해
앞날을 대비하면서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저버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최명길의 사상을 통해서도 그를 주화파로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실제로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로 가는 길이 막혀 할 수 없이 인조 일행이 남한산성으로
피신할 때, 최명길은 홀로 청군의 마부대(馬福塔, 瑪福培) 진영을 찾아가 항의 담판을
벌이면서 왕이 피신할 시간을 벌기도 했다.
최명길을 결코 단순한 주화론자로만 치부할 수 없는 이유이다.
늘 명분보다 실리를 선택했던 최명길은 종전 후 정승의 반열에 올랐고, 1637년 영의정이
됐다.
실리를 중시한 최명길의 청나라에 대한 이율배반적인 계책은 결국 첩자에 의해
발각됐다.
1638년 최명길은 그때까지 잔존해 있던 명나라에 밀서(密書)를 보냈다.
조선은 나라를 보존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청나라에 항복했었다는 사실을 알린
것이다.
밀서는 최명길이 작성했지만, 이를 보낸 사람은 임경업 장군이었다.
당시 임경업 장군은 척화파의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이를 통해 최명길이 정적인 척화파와도 연대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서너 차례 더 밀서가 오갔는데, 5년 후 결국 청나라의 첩자로 인해 그만
발각되고 말았다.
이 일의 책임을 지고 최명길은 수갑과 사슬이 채워진 채 심양의 감옥인 북관(北館)
으로 압송됐다.
최명길은 김상헌이 갇힌 바로 옆방에 투옥됐다.
실로 기묘한 일이었다.
두 사람은 서로 감옥의 바로 옆방에 갇혀 진심어린 대화를 나누며 그동안의
오해를 풀고 서로의 충심을 이해하게 됐다.
최명길은 김상헌을 미워하고 의심하여 정승 추천까지 깎아버린 적이 있었지만,
감옥에 함께 갇혀 있으면서 노령의 나이에 죽음이 눈앞에 닥쳐와도 의젓하고
초연한 김상헌의 모습을 보며 그의 절의(節義)에 진심으로 탄복하며 존경했다.
김상헌 또한 최명길을 간신배 진희(秦檜)와 다름없다고 생각했었는데, 그가
조선을 위해 끝내 뜻을 굽히지 않고 소신있게 행동한 것을 알게 되어, 그동안의
언행이 결코 일신의 영달이나 청나라를 위함이 아닌 것을 깨닫게 됐다.
정적(政敵)이었던 두 사람은 심양의 감옥에서 화해하고 우정을 쌓았다.
심양에서 먼저 돌아온 김상헌은 북벌의 상징처럼 예우를 받았고, 후에 풀려난
최명길은 주화파로 낙인 찍혀 상당한 비판에 직면했다.
척화파와 각을 진 최명길의 후손들은 소론이 되어 후에 양명학의 계통을 이었고,
훗날 강화학파(江華學派)의 줄기를 이루었다.
역사를 관통해 제대로 알면, 이렇게 재미있다.
굳이 역사 왜곡을 할 필요가 없다.
* 믿고 읽는 김시연 작가의 글...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앞으로네이버 블로그로 방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