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추분(秋分)이다.
추분 절입(節入) 시각은 오전 5시 2분이었다.
추분점(秋分點)에 이른 시각이다.
천구상(天球上) 황도와 적도의 교점(交點) 가운데에서 태양이 북쪽으로부터
남쪽을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지점이 추분점인데, 이때 적경(赤經)과 황경
(黃經) 모두 180도, 적위(赤緯)와 황위(黃緯)는 0도를 나타낸다.
추분은 한로(寒露)와 백로(白露) 사이에 있는 24절기 중 16번 째의 절기이다.
전통적으로 특별히 기념하는 절일(節日)은 아니지만, 본격적인 가을로 들어서는
분기점의 상징적인 역할을 하는 절기가 바로 추분이다.
고래로부터 추분이 지나면 '우렛소리가 멈추고, 벌레가 은신처에 숨는다'고 했다.
중국에서 만든 24절기는 황하강 지역의 기후를 기준으로 만든 절기이기 때문에
위도와 경도가 다른 우리나라와는 계절적 변화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24절기는 현재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돼 있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추분(秋分).
이 절기를 통해서도 우리는 여러 교훈을 얻을 수가 있다.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어느 한 곳에 기울지 않는 절대 균형(均衡)의 미학...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중용(中庸)의 미학...
어느 곳, 어느 상황에서도 균형을 이루는 겸손의 아름다움...
고대인들이 24절기를 나누고, 시간과 자연 변화에 따라 우주에 대한 겸손함
으로 삶과 인생의 교훈을 얻은려고 노력한 것은 이처럼 인간 내면의 향기를
중시했기 때문이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추분(秋分)에 노인성(老人星)에 제사를 지냈다.
바로 노인성제(老人星祭)이다.
노인성제는 인간의 수명과 장수를 주관하는 별 노인성(老人星)에게 제사를
지내는 국가적인 행사이다.
고려시대에는 잡사(雜祀)로, 조선시대에는 소사(小祀)로 분류돼 국가에서
제사를 지냈다.
《세종 지리지》를 보면 "경도한성부의 숭례문 밖 둔지산(屯地山)에 노인성단
(老人星壇)이 있다."고 했고, 또 "경상도 상주목 선산(善山) 도호부의 죽림사
(竹林寺) 부성(府城) 안의 서쪽 모퉁이에 남극 노인성을 보는 장소가 있는데,
그곳으로 매년 봄가을 사신을 보내 제사를 지내는 제성단(祭星壇)이 있다."고
기록돼 있다.
《조선왕조실록》 태조 11년(1411년) 기록엔 <예조에서 노인성을 제사하는
규례를 상정, 채택하다.> 편을 보면, "남극성이 추분 날 아침에 병방(丙方)에서
나타나 추분 날 저녁 정방(丁方)에서 사라진다."고 쓰여있다.
《조선왕조실록》 1794년(정조 18년) 4월 21일 조 기록을 보면, 정조(正祖)가
노인성에 대해 궁금증이 많은 듯, 과거를 보기 위해 제주도에서 상경한 유생들
에게 노인성에 대해 여러 가지 질문을 하는 내용이 나온다.
또《조선왕조실록》 46권, 1797년(정조 21년) 윤 6월 1일 기사를 보면, 정조가
대신들과 영성(靈星)과 수성(壽星, 노인성) 에 대한 제사를 논의하는 기록이
나오고, 윤 6월 16일 기사엔 정조가 영성과 노인성제(老人星祭) 지내기 위해
《성단향의(星壇享儀)》를 편찬했다는기록이 나온다.
이 책은 정조가 영성과 수성(노인성)에 대한 제사를 다시 시작하려 하면서
역대의 전례들 중에서 두 별의 사전(祀典)에 대해 언급된 것들을 널리 채집해
만든 책이다.
정조는 이 책을 책상 위에 비치하고서 때때로 살펴보았다고 전해진다.
제주도는 2015년, 한국에서 유일하게 노인성이 한라산 남쪽에서 목격되고
실록의 기록들이 이를 증명하고 있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남극노인성 제례'를
복원했다.
이 행사는 '서귀포 축제'로 자리잡았다.
노인성(老人星)은 용골자리의 가장 밝은 별인 카노푸스(canopus)를 말한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이 별을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 남극성(南極星)
또는 노인성(老人星)으로 불렀다.
실시등급(實視等級) -0.72등급으로, 하늘에서는 태양을 제외하면 시리우스에
이어 두 번째로 밝은 별이다.
노인성은 남쪽하늘 낮은 곳에 살짝 모습을 드러내는데, 우리나라에선 보기가
매우 어려워 이 별을 보면 오래 살고 또 천하가 태평해진다고 믿었다.
그래서 이 별을 수성(壽星)이라고도 부르며 귀히 여겼다.
만일 노인성이 보이지 않으면 병란(兵亂)이 일어난다는 얘기가 오랫동안
전해져 왔다.
우리나라에서 제주도를 제외하고 노인성을 보기 힘든 이유는 남극성의 적위
(赤緯)가 -52도 41분에 위치해 거의 남극점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래서 북반구 고위도 위치에 있는 나라들은 남극성을 보기가 쉽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이 별을 볼 수 있는 곳도 가장 남쪽 지방인 제주도가 유일하다.
북극성과 노인성(남극성)에 관한 이야기는 결국 지구가 둥글다는 걸 증명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공처럼 둥근 지구 표면에서 위도가 다른 곳에 있으면, 같은 별이라도 보는 위치에
따라 극과 극으로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노인성은 중국 《진서(晉書)》의 <천문지(天文志)>에도 나오는 매우 유서 깊은
별이다.
생각해보니, 내 역사소설 《이몽》에도 노인성(老人星)이 나온다.
기묘한 일이다.
작가는 아는 만큼 쓴다.
(* 왕이 꿈속에서 봉이를 만나는 장면)
단구(丹丘, 신선이 사는 곳)인가?
뭉게구름 위에서 봉이가 글썽 눈물을 보였다.
슬픔이 가득 찬 눈가에 이슬방울이 그렁그렁했다.
곡두가 아니다!
공중화도 아니다!
맨드리 고운 봉이가 8천 년을 한 해 봄으로, 또 8천 년을 한해
가을로 산다는 전설의 나무 영춘(靈椿) 옆에 그림처럼 서 있었다.
왼쪽 어깨엔 발이 셋 달린 청조(靑鳥)가 푸른빛을 뿜으며 고아한
자태를 뽐냈다.
"왜 우느냐, 봉이야! 어서 말해 보거라."
억장이 무너진 왕이 피를 토하듯 절규했다.
봉이는 대답하지 않았다.
눈물만 하염없이 흘렸다.
단 한 번도 본 적 없는, 더없이 슬픈 눈빛이었다.
조급증이 난 왕이 잼처 물렀다.
"왜 우느냐, 봉이야?"
봉이는 대답하지 않고 우수가 가득 찬 눈망울에서 이슬방울만 쏟았다.
"내가 가여워 돌아온 것이냐? 아승기겁의 사랑을
나누자고 한 약속을 지키러 돌아온 것이냐?"
봉이는 말없이 달구 같은 눈물방울만 뚝뚝 흘렸다.
"향을 건네며 연모한다고, 사랑한다고 먼저 고백한
이도 봉이 너였다. 일련탁생하자고 굳게 약속한 것도
봉이 너였다. 제발 대답 좀 해다오. 무슨 말이든
해보아라."
왕의 울부짖음이 구름을 뚫고 천공으로 메아리쳤다.
봉이 발밑에서 뽀얀 안개가 아지랑이처럼 피어올랐다.
긴 꼬리를 단 살별이 요란한 소리를 내며 시위처럼 하늘을 갈랐다.
순간, 봉이가 감쪽같이 사라졌다.
기겁을 한 왕이 봉이를 찾기 위해 하늘 높이 날아올랐다.
"봉이야! 나도 데려가 다오. 나를 데려가 다오.
제발 나를 데려가 다오!"
왕의 절규가 천공으로 길게 메아리쳤다.
멀리 남쪽 끝으로 남극노인이 구름 속에 숨어 있는 게 보였다.
남극성의 화신인 노인은 흰 수염을 발등까지 덮고 있었다.
왕이 남극성을 향해 훨훨 날아올랐다.
발밑 아래로 끝없이 펼쳐진 구름바다가 너울처럼 출렁거렸다.
고래로 남극노인이 나타나면 나라가 태평하고, 나타나지 않으면
전란이 생긴다고 전해졌다.
왕이 남극노인 옆에 다가가 안타깝게 물었다.
"왜 나타나지 않고 여기 숨어계세요? 제발 빛을
보여 주세요. 영채를 보여 주세요. 나라를 태평하게
해주세요!"
남극노인이 속이 훤히 비치는 장막 안에서 무표정한 얼굴로
왕을 바라보았다.
왕이 두 손을 깍지 끼고 다시 하늘에 나타나 줄 것을 애원했다.
서서히 생기를 잃던 별빛이 일순간 감쪽같이 사라졌다.
잔광(殘光)만 슬픔처럼 긴 그림자로 남았다.
왕이 팔을 허우저거리며 "보여 주세요. 제발 빛을 보여 주세요.
영채를 보여 주세요. 봉이야, 봉이야, 어디 있니? 봉이야!" 하고
외쳤다.
그때 어디선가 익숙한 목소리가 어렴풋이 들렸다.
"전하! 전하...!"
왕은 한동안 꿈길에서 빠져나오지 못했다.
미련과 슬픔에 젖어 온몸이 흥건했다.
"전하! 비노(飛奴, 연락용 새)가 방금 도착했습니다."
화들짝 놀란 왕이 금침에서 벌떡 일어나 앉았다.
이미 오봉 촛대의 불빛이 현란했다.
<이몽(異夢) 2부, pp303~304>
* 믿고 읽는 김시연 작가의 글...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앞으로네이버 블로그로 방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