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누적 조회수 13위, 왕의 수라는 누가 만들었을까?

아라홍련 2017. 7. 8. 23:38

          

 

                               

                   * 블로그 누적 조회수 13위는 '왕의 수라는 누가 만들었을까?'이다.

                      이 포스팅은 ​순위와 상관없이 매우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영화, 드라마, 뮤지컬, 문학 작품 등에서 역사 왜곡이 가장 심한 부분이

                       바로 이 대목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조회수 순위가 비교적 낮은 건 이 글을 올린 게 5년 전의 일이기

                       때문이다.

                       역사소설 <이몽(異夢)>을 출간하고 블로그를 만든 후 초창기에 올렸던 글이다.

                       당시에는 블로그 방문자가 많지 않아 조회수가 적었고, 나중에 블로그에

                       들어오기 시작한 다수의 방문자들은 이 글의 존재를 몰랐다.

                       때문에 누적 조회수가 밀린 것이다.

                       그러나 이 글의 내용은 상당히 중요하고 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글을 통해 ​매스컴에서 역사 왜곡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또 얼마만큼

                       심각한지 그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글을 쓰는 게 가능했던 것은 10여 년 동안 공을 들여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공부를 각 분야별로 체계적으로 해왔기 때문이다.

                       궁중 음식이나 왕의 수라는 이를 연구하는 식품영양학과 교수나 전문적인

                       연구자들로부터 배웠고, 궁궐 건축은 조선시대의 궁궐 건축을 전문으로 가르치는 

                       건축학과 교수들한테 배웠다.

                       이순신과 왜란에 대해서는 해군사관학교의 이순신 전문 학자들로부터

                       배웠고, 무예도보통지는 무예를 전공하고 실제 검술에 능한 전문가에게

                       배웠다.

                       또 조선시대 사진은 이를 전공한 사진학과 교수들과 전문 연구자들로부터

                       배웠고, 궁중 박물학과 궁중 양명학 또한 이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사람들

                       에게 배웠다.

                       내가 역사나 사진에 관한 언론과 방송의 오보들을 여러 번 찾아낸 것은

                       바로 이런 다양한 공부를 오랜 기간 체계적으로 한 내공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그밖에도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공부들을 오랜 기간  체계적으로

                       했다.​

                       민화나 궁중 자수, 궁중 복식은 전문 연구자들로부터 배웠고, 지속적인

                       미술사 공부를 통해 조선시대 그림을 통한 역사 공부를 병행했다.       ​

                       기본으로 실록과 경국대전을 공부하고, 여러 사료들을 교차적으로 읽으며

                       연구했다.

                       이렇게 오랫동안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를 입체적으로 공부하면

                       역사의 흐름을 바라볼 때 편협하지 않고, 비교적 정확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할 수가 있다.

                                    

                       내 블로그에는 독자들 외에도 역사소설이나 역사 드라마를 쓰기 위해

                       공부하려고 들어오는 방문자들이 적지 않다.  

                       그들에게 이 포스팅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좋은 글을 쓰려면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정확한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다양한 자료들을 가지고 있으면, 인터넷 검색이나 하고 글을 쓰는

                       사람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풍부한 내용의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독자들이 김시연 작가의 글을 좋아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왕은 수라는 누가 만들었을까?'... 이 글이 역사 왜곡을 바로잡는

                       초석이  되고, 역사를 좋아하는 독자들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

​                            * 왕의 수라는 누가 만들었을까?

​                              (http://propolis5.blog.me/10153440416)

 

 

                                *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앞으로네이 블로그로 방문해 주세요.

 

                                                         http://propolis5.blog.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