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복(福)을 얻는 비결

아라홍련 2017. 5. 27. 16:29

 

 

 

    

                                                      坐多於行, 默多於語.

                                           質多於文, 恩多於威.

                                           讓多於爭, 介多於泛.

                                           閉門多於出戶, 懽喜多於嗔怒.

                                           如此常貪多, 獲福自無量.

                                        <진계유(陳繼儒), 수전서(福壽全書)>

 

 

                            앉아 있는 게 다니는 것보다 많고, 침묵이 말하는 것보다 많아야 한다.

                            질박함이 꾸미는 것보다 많고, 은혜가 위엄보다 많아야만 한다.

                            양보는 다툼보다 많아야 하고, 성품의 깨끗하고 굳셈이 들뜬 성정보다

                            많아야 한다.

                            문을 닫고 있는 것이 문밖에 나가는 것보다 많아야만 하고,

                            기뻐함이 성냄보다 많아야만 한다.

                            이 같은 일들을 항상 늘리려고 애쓰면, 복을 얻음이 절로 한없어진다.

 

 

              * 진계유(陳繼儒)

                진계유는 명나라 말기 송강부(松江府) 화정(華亭) 사람이다.

                중순(仲醇)이고, 는 미공(眉公) 또는 미공(麋公)이다.

​         ​  <소창유기(小窗幽記)>의 저자로 유명한 진계유(陳繼儒, 1558~1639)는 당대 동기창

                (董其) 함께 명성을 떨친 문인이자 서화가이다.

                <금병매(金甁梅)> 저자인 왕세정(王世貞)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던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진계유는 명나라 혼란기 때인  29세에 유학자의 의관을 태워 버리고 사로(仕路)

                뜻을 버린 뒤, 곤륜산(崙山)으로 들어가 은거했다.

                세파에 시달리지 않고 유유자적한 삶을 살아 81세까지 풍류를 즐기며 자유롭게

                문필활동을 했다.  

                진계유는 비록 세속을 버리고 은둔자의 삶을 선택했지만, 그가 쓴 책들은 아이러니

                하게도 '인간의 도리'나 '처세'를 설파하는 내용들이다. 

                이는 세상과 적당한 거리를 두고 한발자국 밖에서 객관적으로 지켜보는 사람만이

                인생과 인간, 삶에 대해 올바른 시각을 갖고 철학적으로나 사상적으로 타인에게

                값진 교훈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진계유의 책 <소창유기>는 중국에서 <채근담(菜根譚)>, <위로야화(圍爐夜話)> 

                함께 처세(處世) '3대 기서(奇書)'로 평가받고 있다.

 

  

                                *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앞으로네이 블로그로 방문해 주세요.

 

                                                       http://propolis5.blog.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