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잣대(standard)

아라홍련 2017. 1. 4. 19:40

 

    

 

 

             * 나는 '사랑'에 대한 개념이 확실한 편이다.

                마찬가지로 '이별'에 대한 개념도 분명하다.​

                때문에 만일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이 내가 싫어졌다고 하여, 꼭

                떠나야 한다고 정말 간절히 원한다 보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직 사랑과 연민이 남아있다면, 상대방을 위해 놓아줄 수도 있는 것이다.

                내가 사랑하는 방법이다. 

                물론 이는 성품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별할 때 더럽고 추잡하게 헤어지거나 복수를 꿈꾸는 것은, 상대방을 사랑하는

                마음이 전혀 남아있지 않거나 애틋함이 조금도 없을 때 그때 비로소 가능한 일이다.   ​

​           사랑이 사라진 공허한 빈자리에 집착과 원망, 그리고 잔인한 복수심만 남아있기

                 때문에 끝까지 물어뜯으며  싸움질을 한다.

 

                난 제자나 독자들이 사랑이나 결혼생활에 대한 상담을 하면, 이런 조언을 한다.

                상대방의 마음이 멀어지는 조짐이 보이면 끝까지 노력하고 마음을 되돌리려 애써야

                하지만, 만일 연인의 마음이 완전히 내게서 떠난 것이 확인되면 그땐 마음이 
                아프고
힘들더라도 미련없이 돌아서라는 것이다.

                이때 내가 비유하는 말이 있다.

                              그 사람에게는 내가 아무것도 아닌 무의미한 사람일 테지만,

                              어디엔가 있는 나와 꼭 인연이 닿는 사람은 날 다이아몬드처럼

                              소중하게 생각하고 아낄 것이다.

                              때문에 날 싫다고 하는 사람을 끝까지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고

                              복수할 필요가 없다.

                              시간과 감정의 낭비이다.

                              이런 원망과 집착은 새로운 시절인연(時節因緣)이 다가오는 것을

                              방해하는 좋지 않은 방법이다. ​

                그런데, 놀랍게도 난 요즘 이 말이 자주 생각나곤 한다.

                사람들은 박 대통령이 양심이나 죄책감 없이 계속하고 있는 거짓말과 이상한

                언행에 관한 뉴스나 기사를 볼 때마다 머리를 쥐어뜯고 분노하지만, 난 이상하게 

                '사랑'에 관해 내가 했던 말들이 대입되면서 이런 생각이 난다.

                                

                      "~ 대통령은​ 정말 단 한번도 국가나 국민을 진심으로 아끼거나 소중하게

                      생각한 적이 없구나.

                      오로지 제 자신의 부귀영화와 외모 가꾸기, 최순실 일가의 재산 축적만을

                      위해 4년이란 세월을 허송으로 보냈구나.                 ​

                      그래서 국민의 95%가 싫다고 해도 끝까지 버티면서 국가를 위기와 혼란

                       속에 몰아넣고, 국민에게 고통을 주며, 마이동풍(馬耳東風)으로 계속 거짓말과

                       이상한 언행으로 끝까지 버티기를 하고 있구나."   

                                   ​

                박 대통령 관련 뉴스나 기사를 볼 때마다크리스티안 볼프(Christian Wulff) 

                독일 대통령이 생각나곤 한다.

                볼프 대통령은 대통령 취임 직후 언론으로부터 몇 가지 의혹을 받았다.

                첫째, 2008년 옥터버 페스트에 놀러온 대통령에게 친구가 90만원짜리 방을 빌려

                         주었다는 의혹.

                둘째, 승용차 딜러로부터 5만원짜리 장난감 자동차를 선물로 받았다는 의혹.

                셋째, 아내의 자동차를 리스할 때 0.5%를 할인받았다는 의혹.

                넷째, 집을 살 때 재벌인 '치눅'에게 기준 금리보다 1% 낮게 빌렸다는 의혹 등이다.   

                이런 문제가 터지자 볼프 대통령은 "난 친구에게 돈을 빌릴 수도 없는 나라에 살기가

                싫다."고 감정적인 심경을 토로했다.

                이에 격분한 독일 국민 중 85%가 그의 사임을 찬성했다.

                여론을 등에 업은 검찰이 수사에 들어가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그러자 크리스티안 볼프 대통령은 결국 사임했고, 독일은 바로 안정을 되찾았다.

                국가와 국민을 위한 최선의 결정이었다.

                그 후 법정 공방 끝에 2년 후, 볼프 전 대통령은 향응 수수와 직권 남용 혐의에 대해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우리나라 대통령들, 특히 박 대통령이 의심받고 있는 범죄 행위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사소하고 미미한 특혜였음에도 독일 대통령은 '사임'이라는 가혹한 결정을 내려 

                야만 했다.

​           그러나 독일 민주주의는 정치인에 대한 이런​ 가혹한 도덕성 요구 때문에 지금까지도

                 모범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다.

                그렇다면 볼프 대통령과 박 대통령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

                볼프 대통령은 자존심이 있고, 박 대통령은 자존심이 없다.

                볼프 대통령은 국민을 두려워하고, 박 대통령은 국민을 우습게 알며 안하무인이다.               

                볼프 대통령은 이성(理性)이 있고, 박 대통령은 이성과 지성(知性)을 모두 갖추지 

                못했다.

                볼프 대통령은 기본적인 도덕성을 가지고 있으나, 박 대통령은 도덕성은 물론 양심이나 

                죄책감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   

                볼프 대통령은 국민의 대다수가 싫다고 하면 대통령직을 미련없이 내려놓지만, 

                박 대통령은 95%의 국민이 싫다고 하건... 국가가 위기에 봉착하건... 국민이

                고통 속에서 허덕이건... 끝까지 버틴다.

                이게 두 대통령의 극명한 차이점이다. 

                바로 인간성(人間性)과 자질(資質)의 차이다.

                대통령과 국민이 끝까지 싸우는 나라는 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유일하다.

                국격을 만천하에 알리는 한국의 현주소이다.

 

 

                                 *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앞으로 네이 블로그로 방문해 주세요.

 

                                                        http://propolis5.blog.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