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inform

아라홍련 2016. 7. 4. 03:09

    

 

 

             * '한국고전번역원'의 <2015 고전명구 공모전> 당선작인 내 두 번째 작품 발표에 

                독자와 블로그 방문자들의 관심이 높다.

                이는 얼마전 <2016 공모전> 시작됐기 때문이다.

                얼마 전 블로그 '공지'에서 지난해 당선된 내 두 번째 작품이 7 6일 발표될

                예정이라고 알린 바 있었는데, 발표 날짜가 한 주 늦어졌다.

                7 6일이 아닌, 713(수요일) 발표될 예정이다.

                담당자가 잠시 착각했던 모양이다.

                그 이유에 대해 담당자는 "선생님 글을 빨리 발송하고 싶었나봅니다."라고

                재치있게 설명해 내게 웃음을 선물했다.   

​                                  

​           내 두 째 당선작은 석복(惜福)에 관한 내용이다.

                석복은 '복을 아끼는 것'을 말한다.

                현재 누리고 있는 복을 소중히 여겨, 더욱 낮추고 검소하게 생활하는 태도를 뜻한다.

                혼탁한 이 시대에 탐욕과 쾌락만 추구하며 끝을 향해 치닫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교훈이다.

                이와 함께 석복에 있어 필수적인 '절제의 美學', '멈춤의 美學'도 논한다.                 

                읽는 이들에게 심오한 사유(思惟)와 혜훈(惠訓)을 줄 것으로 확신한다.

                <2016 고전명구 공모전>에 응모할 사람들은 39일 발표된 내 첫 번째 작품과

                7 13일 발표될 두 번째 작품을 참고하면, 어떻게 글을 써야만 이번 공모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지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국가기관인 '한국고전번역원'엔 그 특성상 한문학을 전공한 전문가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들의 특징은 고전(古典)과 문학(文學) 양쪽에 상당한 조예가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문학 전공자나 한문만 공부한 사람들과는 사뭇 다른 그 '무엇'인가가 분명히

                존재한다.

                이는 '한국고전번역원' 공모전에서 두 번 수상한 내가 그 특성을 가장 잘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문학과에서는 자고이래로 한국과 중국의 최고 문학과 사료들로 꼽히는 글들을 원문

                (原文)으로 공부한다.

                여기엔 단순히 한문(漢文)만이 아닌, 문학적인 소양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당한 실력을 지닌 전공자들이 이를 토대로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중요한

                사료와 문집들을 번역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때문에 글을 보는 안목 자체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는 지난 공모전 때 3명을 당선작으로 뽑는다고 공지하고도, 자질이 충족된  사람이

                없다고 2명만 당선시킨 사실만 봐도 알 수 있는 일이다.

                나는 지난 학기 '영문학 講讀'​ 때 이사벨라 버드 비숍(Isabella Bird Bishop)이

                쓴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과, 엘리어스 버튼 홈스(ELIAS BURTON HOLMES)가 쓴

                <1901 서울을 걷다>를 원서(原書)로 공부했다.

                그 외에도 과제물 작성 때문에 헤세 바르텍(Ernst von Hesse - Wartegg)의

                <조선, 1894년 여름>과 언더우드(Underwood) 부인의 <조선 見聞錄>을 읽어서

                총 4권의 관련 서적들을 읽었다.   

                한데 막상 원서를 읽어보니, 그동안 번역본만 읽은과는 느낌이 사뭇 달랐다.

                번역서를 두 개나 참고했는데, 번역자들에 따라 다른 게 상당 부분 발견됐다.

                원문과 번역본 사이에는 이런 차이들이 분명 존재한다. 

                정확한 번역이 필요한 이유이다.  

                고전(古典)과 사료(史料)에 있어서는 원서를 제대로 번역하는 게 훨씬 더 중요할 

                것이다.

                한국고전번역원의 번역  사업이  국가적인 중요 사업인 이유이다. ​

                바로 이런 점들이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부심과 상당 부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 당선작들을 여러 번 면밀히 읽고 참고해 공모전에 참여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http://www.itkc.or.kr)

                어떻게 하면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명구 공모전>에서 당선에 가까이 갈 수 있을까, 

                하는 것은 다음번에 자세히 정리해 포스팅할 예정이다.

             713일 <한국고전번역원>에서 내 작품을 직접 멜로 받고 싶은 사람은 지금 바로

                <한국고전번역원>에 들어가 <고전산책 메일링 서비스>를 신청하기 바란다.

               간단하다.

               래야 계속 멜로 받아볼 수 있다.          

       

 

                       * 김시연 작가의 주 블로그는 네이버(Naver) 블로그입니다.

                                 앞으로 네이 블로그로 방문해 주세요.^^

 

                                                    http://propolis5.blog.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