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정조(正祖)2, 왕이 사랑한 화원(畵員)들...

아라홍련 2015. 9. 18. 22:05

 

    

 

                         

              조선의 왕들은 그림을 사랑했다.

              그래서 화원(畵員)을 누구보다 아꼈다.

         세종(世宗)은 안견(安堅)을 총애했다. 

              세종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도 부왕을 따라 그림을 즐겼다.

              1447년 4월, 안평대군은 꿈속에서 본 도원(桃源) 이야기를 '안견'에게 들려주었다.

              안견은 꿈 이야기를 생각하며 사흘 만에 신들린 듯 그림을 그려 안평대군에게 바쳤다.

              흡족한 안평대군은 그림 표제를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로 정한 뒤, 직접 썼다. 

              그리고 당대의 유명한 문사(文士) 21명에게 찬시(讚詩)와 찬(撰文)을 부탁했다.

              이 그림은 조선 전기 회화 중 단연 최고 걸작으로 꼽히는 국보급 문화재이다.   

              안타깝게도 <몽유도원도>는 일본 덴리(天理) 대학 중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

              성종(成宗)의 화원 사랑도 유별나다.

​         '최경'과 '안귀생'에게 당상관의 직위를 제수하려 했다.

              '이상좌'는 천민 출신임에도 왕으로부터 실력을 인정받아 화원(畵員)이 됐다.    

              광해군 인조(仁祖)는 적과 다름 없었지만, 동시에 한 화원을 지극히 은애(恩愛)했다.

              바로 이징(李澄)이다.          

              그는 16세기의 대표적인 문인 화가인 '이경윤'의 서자(庶子)이다.

              그렇다면 그림에 가장 많은 어제시(御製詩)를 남긴 왕은 누구일까?...

              바로 숙종(肅宗)이다.

              숙종의 그림 사랑은 대단했다.

              부왕인 현종(顯宗) 또한 그림을 좋아했다.

​         영조 또한 그림 애호왕 명단에서 빼놓을 수 없다.

              김두량(金斗樑)이라는 일개 화원에게 를 써서 내려주기까지 했다. ​

              김두량은 인물, 산수, 풍속화에 모두 뛰어났던 화원이다. ​

​         그리고...

             가장 화원을 사랑하고, 공식적인 제도를 만들어 화원들을 후원했던 정조(正祖)가 있다.  

              기량이 뛰어난 화가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화원으로 등용한 뒤,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한 임금이다.  ​

              다재다능했던 정조는 자신이 훌륭한 화가여서, 그림에 대한 감식안(鑑識眼)이 매우 

              뛰어났다.       

              지금도 우리는 정조 때 화원들의 이름을 가장 많이, 그리고 비교적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이는 정조 때 생긴 <자비대령화원(差備待令畵員)>이라는 제도 때문이다. 

​         정조는 즉위년인 1776년 중국에서 많은 책을 사들이고, 정치 개혁의 본산으로 규장각을

              세운다.

              그리고 뛰어난 학자와 기술자, 화가들을 양반이나 서얼과 상관없이 실력만 보고는

              이곳으로 불러모았다.​

​          규장각이 완성되자 정조는 '김홍도'를 불러 규장각과 그 주변의 모습을 그리게 했다.

              이때 정조 나이 25살, 홍도 나이 32살이었다.

              회화 부분에 있어서 개혁의 선봉에 김홍도를 앞세운 것이다. ​

              규장각을 그린 이 그림은 정조의 일대 개혁의지를 표명하는 그림이다.

                ​

       당시 ​이인문과 박유성은 김홍도와 동갑으로 32살이었고, 김응환은 35살, 신한평은 51살,

        김덕성은 48살, 김득신은 23살, 그리고 신한평의 아들인 혜원(蕙園) 신윤복과 김신이

         19살이었다.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최고의 화원들이 모두 망라돼 있다.  ​

         그렇다면 <자비대령화원>이라는 제도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여기에서​ '자비(差備)'란... 특별한 사무를 밑기려고 임시로 임명하는 일을 말한다.

         때문에 '자비대령화원'은 왕실과 관련된 서사(書寫)와 도화(圖畵) 활동을​ 우선적으로

         담당하기 위해 도와서(圖畵署)에서 임시로 차출된 화원들이다. 

         이들은 당대 최고의 대접을 받았고, 정조왕의 극진한 총애를 받았다.

   

         한데, 조선 후기 왕실에서는 자비를 '차비'로 읽었다.

         그래서 사전에 <차비대령화원>이라고 나온 곳도 있다.

         이 제도는 본래 왕권 강화에 주력했던 영조 후기에 임시로 운영됐는데, 정조가 규장각

            (奎章閣) 창설하고 이를 중심으로 강력한 친정 체제를 구축한 뒤, 1783년(정조 7년)​

         11월 규장각의 잡직(雜職)으로 제도화되면서 본격화됐다. ​

​      <육전조례>에는 10년마다 행하는 어진도사()도 '차비대령화원'이 담당하는 게

         관례라고 명기돼 있다.

 

            1783년에서 1881년까지 <내각일력>에 기록된 차비대령화원은 약 104명 정도이다.

         앞서 언급한 화원 외에 이인문, 김득신, 김하종, 장한종, 이한철, 유숙, 이형록, 백은배,

         유운홍 등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화원 화가들이 모두 '자비대령화원'을 역임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

         이는 정조의 아낌없는 지원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       위의 그림은 김응환이 그린 <만폭동도(萬瀑洞圖)>이다. 

         정무에 바쁜 정조가 금강산이 보고 싶어, 매우 아끼던 화원인 김응환과 김홍도, 그리고

         그림에 조예가 깊던 문인 강세황을 금강산에 보내 그리게 한 그림이다.

         <금강사군첩>에 들어있는 견본담채로, 1778년 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선문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위의 그림은 단원 김홍도가 그린 구룡폭포(九龍瀑布)이다.

                역시 <금강 사군첩>에 들어있는 그림으로, 견본담채이다.

                현재 개인 소장 중이다.​

                복헌 김응환, 표암 강세황과 함께 갔던 금강산 행에서 단원 김홍도는 거의

                100 장면의 화폭을 담아갔다. ​

                현재는 60폭이 전해지는데, 위의 그림은 그 중 한 점이다.

                김홍도는 이에 그치지 않고, 100여 장면에 이르는 화면을 채색을 써서 그린 뒤, 

                 하나의 두루마리에 담아 정조에게 바쳤다.

                 정조의 기쁨은 컸다.

                 감탄한 정조는 단원의 금강산 그림을 무척이나 아낀 것으로 전해진다.

                 정조가 괜히 김홍도를 총애한 게 아니다. 

 

 

 

 

                 위의 그림은 단원 김홍도그린 <옥순봉>으로 <병진년화첩>에 있다.

                     1796년에 그린 그림이다. 종이에 연한 색으로 그렸다.

                     26.7×31.6cm, 현재 삼성리움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               

         

         위의 그림은 이인문(李寅文)의 작품인 <누각아집도>이다.

           정조 사후인 1820년 대 순조 때에 그려진 지본담채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

​       정조는 '이인문'이 산수(山水)와 소나무 그림에서 특별한 경지에 올라 매우 아꼈다.

           그의 그림들은 당대에는 물론, 후세까지 그 고고함과 청명함으로 이름이 높았다.

           <누각아집도>는 그의 나이 76살에 그린 대작 회화로, 그의 장기였던 누각, 인물,

           산수, 소나무, 수파 등을 모두 함께 볼 수 있는 귀한 작품이다.

           전체적으로는 매우 복잡한 화면임에도, 필치는 매우 힘차고 정교해 전체적인 조화가

           잘 이루어져 있다.  

 

                  ​

​              역시 이인문(李寅文)의 그림인 <송계한담도>이다.

                  지본수묵담채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특히 이인문은 계속 소나무 숲 아래에서 담소를 나누는 선비들을 즐겨 그렸다.

                  이런 그림을 <송계한담도(松溪閑談圖)>라고 부른다. ​

                  그의  고송유수관 도인(古松流水觀道人)은 '송계한담'의 소재와 그 의미에

                  있어서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                

​              이 그림 또한 이인문의 작품인 <선동 전다도>로 지본채색이다.

                현재 간송미술관에 소장돼 있다.

                어린 선동(仙童)이 차를 끓이는 장면을 그린 그림으로, 붓길은 경쾌하지만 결고 

                가볍지 않다. 

 ​          특히 소나무에 찍어준 점들은 '이인문'의 회화가 얼마나 자유분방한지 말해준다.

 

                  ​

        역시 이인문의 ​작품인 <목양취소도>이다.

          지본 채색으로 현재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매우 평화로운 목가적 장면을 담은 그림으로, 목동과 뒷 배경에 있는 앉은 소는 단원

          김홍도의 그림에서도 흔히 보던 것들이다.

          그러면서도 전면에 등장한 양무리와 '이인문'의 독특한 붓질과 채색은 산뜻하면서도

          맑은 느낌을 준다.

          이인문은 정조 때 동지사同至使)의 수행화원으로 1795년과 1796년, 연달아 북경을 

          다녀왔다.

          이인문은 순조때까지 살면서 높은 예우를 받아 첨절제사 벼슬에도 오른다.  ​

          첨절제사(僉節制使)는 ​종3품의 고위직으로, 순조 때 화원들이 오를 수 있는 최고의

          자리였다. 

          한마디로,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

                       <월하정인도(月下情人圖), 신윤복, 국보 135호, 간송미술관 소장>

                                         月沈沈夜三更 兩人心事兩人知 蕙園

                        (은 기울어 밤 깊은 삼경인데,두 사람 마음은 두 사람이 안다.)

 

              혜원 신윤복은 단연 조선 최고의 풍속화가로 꼽힌다.  

                      정조 시대에 활동했다.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는 역동적이고, 생동감이 넘치며, 또 매우 정밀하다.

                      당대엔 이렇게 정밀하게 또 채색을 넣어 그림 그리는 화가가 흔치 않았다.

               밑의 그림들을 보면 혜원이 조선시대의 다양한 풍속(風俗)들을 ​다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신윤복의 유쾌도(遊廓大快)>

               ​                              <신윤복의 단오풍정(端午風情)>

​           

                      

                                                  <신윤복의 연소답청(年少踏靑)>                         

​                 

                                         <신윤복의 쌍검대무(雙劍對舞)>​

​                                   ​  

                                                 <신윤복의 주유청강(舟遊淸江)      

                  

                     

                                                   <신윤복의 상춘야흥(常春野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