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심문(誠諭心文)
(마음을 다스리는 글)
복(福)은 깨끗한 마음과 검소한 생활에서 생기고,
덕(德)은 겸양에서 생기며
지혜(智慧)는 편안하고 고요한 데서 생긴다.
건강은 화창한 마음에서 생기고...
욕심이 많으면 근심이 많으며...
많이 탐내면 재앙이 돌아오고...
경솔하고 거만하면 잘못을 저지르고...
마음이 어질지 못하면 죄악을 짓게 된다.
눈으로 남의 잘못을 보지 말고,
입으로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라!
탐내고 화내지 않도록 항상 마음을 조심하고...
악한 친구를 사귀지 말며...
쓸데없는 말을 망녕되이 하지 말고...
쓸데없는 일을 하지 말라!
덕이 있는 사람을 따르고,
어리석고 무식한 사람을 용서하라.
물건이 순리로 오거든 물리치지 말고,
가버린 재물을 억지로 쫓아가지 말라!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거든 바라지 말고,
지나간 일은 후회하지 말라!
총명한 사람도 어리석을 때가 많고,
계산이 빠른 사람도 시기를 놓치는 수가 많다.
남을 해치려 하면 스스로 해를 당하고,
권세에 아부하면, 재앙이 뒤따른다.
경계할 것은 마음에 있고, 지킬 것은 기운에 있다.
절약하지 않으면 비루한 처지가 되고,
청렴하지 않으면 지위를 잃는다.
그대에게 권하여 스스로 평생 경계하게 하노니...
가히 감탄하고, 경계하고, 두려워하라!
위에서는 하늘이 엄하게 내려다보고 있고,
아래에서는 땅의 신명이 살피고 있다.
오직 올바른 도리를 지킬 일이요,
무엇보다도 양심을 속이지 말아야 하나니,
일생동안 스스로 경계하고 또 경계하라!
<자허원군(紫虛元君)의 '성유심문(誠諭心文)'중에서>
* 자허원군(紫虛元君)
자허원군은 도가(道家)에서 받들어지는 선인(仙人)을 말한다.
달리 표현하면 여신(女神)을 의미한다.
자허(紫虛)란... '하늘'을 뜻한다.
운하(雲霞), 즉 구름과 노을이 햇빛에 비치어 자색(紫色)으로 보이기 때문에
하늘을 '자허'라고 부른다.
햇빛을 받은 하늘이 자주빛을 띤다고 하여 '자허'라고 한다.
원군(元君)은 '여자 신선'을 아름답게 일컫는 말이다.
즉 여신(女神)을 뜻한다.
남자 선인은 진인(眞人)이라고 부른다.
... 때문에 자허원군은 '하늘에 계신 女神'을 의미한다.
성유심문(誠喩心文)은 '정성으로 마음을 깨우쳐 주는 글'이란 뜻이다.
일명 <마음을 다스리는 글>로 알려져 있다.
일설에 자허원군이 공자(孔子)의 제자라고도 하나, 이는 틀린 말이다.
자허원군이 공자의 유일한 여제자인 등선자(登仙者)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실제로 공자의 72제자 중에는 등선자에 대한 언급이 없다.
공자의 제자가 3,000여 명에 이른다고도 하나, 공신력 있는 중국 역사서에는
등선자에 대한 기록 자체가 없다.
본래 등선자(登仙者)라는 말은, 도가(道家)에서 '신선에 오른 사람'이라는
일반 명사를 지칭한다.
때문에 자허원군을 공자의 유일한 여제자인 등선자라고 하는 것은 신빙성이
떨어지는 얘기이다.
중국 6조시대(六朝時代)의 책인 <紫虛元君南嶽夫人內傳>에는...
夫人姓魏諱華存字賢安,任城人,晉司徒文康公魏舒女也.
陽元(魏舒字)仕至滎陽, 宜陽二郡太守,散騎常侍冀州刺史.
라고 기록돼 있다.
이를 볼 때 자허원군과 공자의 시대는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일설에 자허원군(紫虛元君)이 공자의 제자라고 전해지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자허원군은... 도가에서 말하는 '하늘의 여신'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
*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