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후원엔 순조 아들 효명세자의 공부방으로 유명한 의두합(倚斗闔)이 있다.
그리고 의두합 북쪽으로는 마치 부용정(芙蓉亭)처럼 살포시 두 발을 물에 담군 애련정
(愛蓮亭)이 있다.
부용정과 애련정은 이름이 모두 연꽃과 관련이 있다.
아(亞)자 형의 지붕을 하고 있는 부용정이 막 피려는 연꽃 같이 보인다면, 몸집에
비해 지붕이 커서 지붕이 유난히 돋보이는 애련정은 마치 활짝 핀 연꽃처럼 보인다.
궁궐지(宮闕志)에는 숙종 18년(1692)에 연못 가운데 섬을 쌓고 정자를 지었다고
기록돼 있다.
<궁궐지>는 숙종의 어명으로 편찬돼 헌종 대에 증보, 수정된 책이다.
책머리에는 1695년(숙종 21)에 왕이 쓴 어제서(御制書)가 쓰여있다.
그러나 이 인공섬은 현재 사라지고 없다.
대신 애련정이 연못의 북쪽 끝에 걸쳐 있다.
현존하는 이 정자가 언제, 어떻게 지어졌는지는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조선 제19대 왕인 숙종(肅宗)이 지은 <어제기(御制記)>에는 '애련정'이란 이름의
유래와 건축 경위가 자세히 설명돼 있다.
정자를 '애련'으로 이름한 것은, 그 미세한 의미를 잘 보여준다.
대체로 보아 사계절의 꽃들이 심히 변화하지만, 사람들이 그것을
좋아함에는 각기 치우친 바가 있으니, 은일(隱逸)의 꽃인 국화는
처사 도잠(陶潛, 도연명)이 사랑하였고, 부귀의 꽃인 모란은 당나라의
여러 사람이 사랑하였으며, 군자의 꽃인 연꽃은 원공(元公, 주돈이)
주무숙이 사랑하였다.
좋아함은 비록 같을지라도 마음에는 얕고 깊은 다름이 있으니, 내 평생
이목(耳目)을 부리지 않고 홀로 연꽃을 사랑함은, 붉은 옷을 입고서 더러운
곳에 처하여도 변하지 않고, 우뚝 서서 치우치지 않으며, 지조가 굳고,
범속을 벗어나 맑고 깨끗하여 더러움을 벗어난 것이 은연히 군자의
덕을 지녔기 때문이다.
이것이 새 정자 이름을 지은 까닭이거니와, 수천 년 동안 나와 더불어
뜻을 같이하는 이가 어찌 주렴계(周濂溪) 한사람에 그치겠는가?
역사와 고전을 심도있게 공부한 사람이라면, 숙종의 <어제기>가 宋나라 주돈이
(周敦頤)의 애련설(愛蓮說)에 근거했음을 금방 눈치챘을 것이다.
水陸草木之花 可愛者甚飜
(물과 땅에서 나는 초목과 꽃송이 중, 사랑스러운 것들이 아주 많다.)
晉陶淵明獨愛菊 自李唐來 世人甚愛牧丹
(진나라의 도연명은 국화를 사랑했고, 당나라의 이태백부터는
세상사람들이 모란을 사랑했다.)
余獨愛蓮之出於泥而不染 濯淸漣而不妖
(나는 유독 연꽃이 진흙에서 나왔으면서도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맑은 물에 씻기지만 요염하지 않고)
中通外直 不蔓不枝
(속은 비었지만 밖은 곧으며, 줄기가 넝쿨지지 않고, 가지치지 않으며)
香遠益淸 亭亭靜植
(향은 멀수록 더욱 맑고 당당하며, 고결하게 서 있고)
可遠觀而不可褻翫焉
(멀리서 바라볼 수는 있어도, 함부로 가지고 놀 수는 없음을 좋아한다.)
余謂 菊 花之隱逸者也 牧丹 花之富貴者也 蓮花之君子者也
(나는 이르건데 국화는 꽃의 은자이고, 목단은 꽃의 부귀한 자이며,
연꽃은 '꽃의 군자'라 하겠다.)
噫! 菊之愛 陶後鮮有聞 蓮之愛 同予者何人
(아! 국화에 대한 사랑은 도연명 이후 듣기 드물고, 연꽃에 대한 사랑은
나와 같지 않은 자가 얼마나 있겠는가?)
牧丹之愛 宜乎衆矣
(목단에 대한 사랑은 마땅히 많으리라.)
이를 보면 숙종이 연꽃을 매우 좋아했고, 주돈이의 애련설을 따라 정자 이름을 애련정으로
지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련(愛蓮)이란... "연꽃을 사랑한다."는 뜻이다.
나도 연꽃을 좋아한다.
고고한 향기를 내뿜는 고결한 꽃과, 활여해 보이는 목청색(木靑色) 잎의 아름다움을
사랑한다.
본능적으로 마음이 이끌려서 좋아한다.
어쩌면 연꽃의 처렴상정(處染常淨)의 의미를 마음속 깊이 깨닫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연꽃은 깨끗한 물에서는 자라지 않고, 더럽고 추하게 보이는 늪지나 연못에 살아서
뿌리를 진흙뻘에 두고 산다.
하지만 결코 주위의 더러움에 물들지 않아서, 자신의 꽃이나 잎에 조금도 더러움을
묻히지 않는다.
오히려 수질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화과동시(花果同時)로 꽃이 피는 동시에, 열매가 꽃 속에 자리잡는다.
연꽃이 불교를 상징하는 꽃인 '성자의 꽃' 법화(法華)로 불리는 이유이다.
그래서 이몽(異夢)에는 연잎밥, 백련차, 연화예, 연엽주 등 연꽃과 관련된 단어가
많이 나온다.
또 이런 문장도 주인공들의 화두처럼... 마치 이몽의 주제처럼 여러 번 나온다.
"인생은 연꽃잎에 내리는 빗방울과 같다."
이몽(異夢)에도 애련정(愛蓮亭)이 나온다.
상선으로부터 자초지종을 들은 도승지 안색이 잿빛으로 변했다.
두 사람은 식은땀을 흘리며 즉시 왕을 찾아 나섰다.
마조제를 지낸 왕은 숭문원(崇文院)을 둘러보고 있었다.
친정 초기부터 유독 서얼에 관심이 많던 왕은 결국 서류문과(庶類文科)를
만들어 수세지재인 서자들을 발굴해 숭문원에 등용했다.
조부인 정조가 실력 있는 서얼 인재들을 규장각 검서관으로 발탁한 것과
같은 맥락이었다.
두 사람의 낯빛을 본 왕이 급히 어수문을 나와 의두합 북쪽 애련정으로
자리를 옮겼다. 연꼭을 군자화(君子花)라고 부르며 사랑했던 숙종이
연못 한가운데에 인공섬을 쌓고 만든 정자였다.
상선과 도승지로부터 자초지종을 들은 왕의 용안이 순간 공포와 불안감에
휩싸였다.
뒷짐을 진 왕은 연못 위에 놀빛이 들끓을 때까지 하염없이 윤슬만
바라보았다.
하늘이 검기울기 시작하자 마지막 햇살이 어둠과 함께 산밑으로
내려앉았다.
박명이 되자 일행은 애련지 옆 어수당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날 밤 세 사람은 대취했다.
죽기를 작정한 사람들처럼 삼중소주와 막걸리를 번갈아 마셨다.
혼절한 상선과 도승지가 내시와 별감 등에 업혀나갔다.
자작을 계속하다 금침에 쓰러진 왕이 '동영' 앞에서 처음으로 눈물을
보였다.
"그때가 좋았다... 강화도가 좋았다..."
*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