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종은 왜 농수정에서 사진을 찍었을까?

아라홍련 2015. 6. 8. 06:44

 

           

 

 

        

                엊그제 한 언론사에서 고종 어사진을 철종 어사진으로 오보를 내는 바람에 창덕궁

                    후원에 있는 연경당 농수정(濃繡亭)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대체 얼마나 아름다운 곳이면 고종(高宗)이 첫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을 농수정에서

                찍었느냐, 하는 관심과 호기심 때문이다. ​

                앞서 포스팅에서 언급했듯, 고종은 왕세자(순종)의 10번 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1884년 3월 10일, 연경당 농수정에서 퍼시벌 로웰(Percival Lowell)에게 생애

                처음으로 사진을 찍었다.

                그로부터 사흘 후 3월 13일, 역시 같은 장소인 연경당 농수정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사진가인  지운영으로부터 두 번째 사진을 찍었다.

                농수정(濃繡亭)은 그만큼 풍광이 빼어난 곳이다.

                농수(濃繡)​..."수목이 울창하게 우거져 마치 비단을 펼친듯 한 것"을 말한다.

                조선의 왕들이 가장 사랑했던 곳이 바로 창덕궁 후원이다.

                창덕궁 후원 중에서도 농수정을 으뜸으로 쳤다.

                왕뿐만 아니라 창덕궁 후원을 관람한 사람들 역시 대부분 농수정을 가장 마음에 

                들어한다.  

                그만큼 위치가 좋고, 주변 풍광이 아름답다.

                일반 민가가 99칸으로 규모가 제한된 데 반해, 연경당(演慶) 120칸으로

                건립됐다.

                <궁궐지(宮闕志)>에는 순조 28년에 총 120칸으로 건립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그러나 <동국여지비고>와 <한경지략>에는 순조 27년에 건립됐다고 기록돼 있다.  

                ​<동국여지비고>와 <궁궐지>, <순조무자진작의궤부편(純祖戊子進爵儀軌附編)>,

                <순조실록>과 <동궐도> 등을 종합하여 분석해보면, 1827년에 진장각 옛터에

                순조에게 존호를 올리는 경축의식을 앞두고 이를 거행할 장소를 마련하기 위해

                효명세자의 요청으로 연경당이 건축됐음을 알 수 있다.

                연경(演慶)은... "경사가 널리 퍼진다."는 뜻이다. 

                연경당이 창건된 후, 대리청정을 하던 효명세자는 이곳에서 신하를 접견하거나

                    진작례(進爵禮)를 거행했다.

                효명세자 아들인 조선 제24대 왕 헌종(憲宗) 때는 연경당이​ 익종(효명세자 추존)의

                어진과 모훈을 보관하는 곳으로 사용됐다.

                제25대 왕인 철종(宗) 8년(1857)에는 연경당의 터가 서늘하고 습하다는 이유로

                익종의 초상화를 다른 곳으로 옮겨, 연경당은 한동안 빈 집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고종(高宗)대에 이르러 연경당이 다시 큰 사랑을 받게 됐다.

                고종은 ​이곳에서 외국 공사들을 접견하고 연회를 베푸는 등, 연경당은 중요한 정치 공간으로

                이용됐다.

                효명세자가 지었던 연경당의 모습과 현재 연경당의 모습은 다르다. ​

                이는​ <비변사등록>과 <일성록>, <승정원일기> 등에 헌종 12년(1846) 초에 "연경당이

                신건(新建)됐다."는 사실이 기록돼 있고, 고종 2년(1865)에 "수리 공사를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연경당이 현재와 같은 사대부 주택으로 완성된 시기는 고종 연간으로 볼 수 있다.       

                연경당 동쪽에 있는 중국풍의 선향재(善香齋)는 연경당의 독서당이다.

                책들을 보관하고, 또 책 읽는 서재인 선향재 "좋은 향기가 서린 집"이라는 뜻이다.     ​

​             선향재 뒤편의 경사진 언덕에는 화계(花階)가 꾸며져 있고, 그 위로 가장 높은 곳에

                마치 매가 날개를 편 것처럼 날렵한 모습을 한 농수정이 위치해 있다. ​

                규모는 작지만 아름다운 문살에 주련(柱聯)을 걸고, 퇴를 두른 난간에서 최고의 호사를

                부린 빼어난 정자이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익공계(翼工系) 사모지붕 건물인데, 4각 기둥에는 주련이 달렸고 

                겹처마에 절병통(節甁桶)을 놓았다.​

                높은 위치 때문에 주변의 아름다운 풍광을 마치 아름다운 비단이 펼쳐져 있는 것처럼

                한눈에 볼 수가 있다.   

                농수정 주변의 연잎동자기둥을 갖춘 돌난간도 품격이 있다.

                이를 볼 때, 연경당과 농수정을 사랑하던 고종이 이곳에서 생애 처음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을 찍은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

                아름다운 연경당과 농수정(濃繡亭)이몽(異夢)에도 나온다.

                      연경당(演慶)에서 음악 소리가 흘러나왔다.

                      후원 깊숙한 곳에 감춰져 있는​​ 사대부집 건축양식을 딴 120칸짜리 건물이었다.

                      창덕궁의 다른 전각들과 달리, 일체 단청을 하지 않아 질박하고 고아한 멋이

                      있었다. 수인문 안에 있는 안채 뜰에서는 정재 공연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               녹색 무명 단령을 입고, 녹색 두건을 쓴 관현맹인(管絃盲)들의 향악 반주에

                      따라 무희들이 날아갈 듯 춤을 추엇다.

                      대청엔 대왕대비와 헌종비 대비 홍씨, 헌종 후궁인 순화궁 경빈 김씨와 곤전이

                      나란히 앉아 공연을 감상했다.

                      네 사람 앞엔 각각 술상이 놓여 있었다.

                      연경당 뒤편 담 너머에 있는 반빗간에서는 사옹원에 소속된 대령숙수가 각색장을

                      이끌고 음식을 ​만드느라 분주했다.

                      공연을 끝낸 무희들이 부복흥퇴하고 사라지자, 대왕대비가 내명부에게 술을 내렸다.

                      옥당 기생 몇 명이 가야금과 거문고 병주를 시작했다.

               60대 후반에 접어들어 기력이 쇠한 순원왕후는 창경궁 자경전에서 열던 내연(內宴)

                       에도 자주 불참했다.

                      대신 손자며느리들을 수강재나 연경당으로 불러 넋두리하는 일을 낙으로 삼았다.

                      특히 무희들을 연경당으로 ​불러 자신의 40세 생일을 기념해 효명세자가 정재를 만들어

                      바친 춘앵무 공연 보는 걸 즐겼다.

                      연경당은 순원왕후의 추억이 고스란히 머무는 공간이었다.

                      장수를 기원하는 화려한 십장생도 병풍 아래 앉아있는 대왕​대비의 몰골은 초췌했다.

                      날마다 새벽이슬과 백비탕을 한 대접씩 마셔도 세월을 거스르진 못했다.

                      허옇게 서리 낀 머리칼과 짙은 반점이 꼼꼼히 찍어 바른 청나라 진주분 속에서 갸웃이

                      고개를 내밀었다.

                      순원왕후가 감로주를 마시자 나머지 내명부들도 일제히 술잔을 비웠다.

                      곁에서 술시중을 들던 제조상궁과 수강재 상궁들이 다시 술잔을 채웠다.

                                           "그래 순화궁은 책을 다 썼는가?"

                                           "예. 지금 갈무리 중이옵니다."

                      그즈음 경빈 김씨는 순화궁에서 궁체로 <사색복장자장요람>이란 필첩을 쓰고 있었다.

                      왕실 여인들이 계절별로 어떤 반지와 비녀, 떨잠, 뒤꽂이를 꽂는지 꼼꼼히 기록하는

                      중이었다.

                      왕실 여인들은 2월에는 모란잠을, 4, 8, 9월에는 옥모란잠이나 매죽잠을, 5월에는

                      민옥잠에 떨잠을, 10월 초하루부터는 용잠을 꽂았다. 또 겨울에는 금환(金環)을,

                      봄과 가을에는 파란 지환을, 여름에는 옥과 마노 지환을 손가락에 끼었다.

                      재색을 갖추고 중전을 능가하는 실세 후궁으로 내명부 일을 샅샅이 꿴 전적이 있는

                      순화궁인지라 가능한 일이었다. 

                      흡족한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이던 순원왕후가 다시 익숙한 넋두리를 한동안 늘어놓았다.

                      삶의 흔적이 길면 회한도 많이 남는 법!...

                      아들과 딸, 손자 등 유난히 참척을 많이 당한 순원왕후는 추억을 반추할 때마다

                      상명지통으로 애통해했다. 

                      의지하던 큰오빠 김유근이 세상을 뜨자 권력은 자연스럽게 풍양 조씨에게 넘어갔다.

                      순원왕후는 잃어버린 권력을 되찾기 위해 와신상담, 절치부심했다.

                      모사지재에 노회한 정치인이 된 건 그 때문이었다.

                      기억의 골짜기마다 슬픔과 분노, 공포와 두려움이 층층이 쌓여 푸른빛을 내뿜었다.

                      날이 갈수록 순원왕후의 넋두리는 길고 가열했다.

                      공연이 끝나자 대왕대비 일행이 농수정(濃繡亭)으로 향했다.

                      연경당 부속건물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정자였다.

                      ​주위로 수목이 울창하게 우거져 마치 갈맷빛 주단을 펼쳐놓은 듯 풍광이 빼어났다.

                                  

                                                                        <이몽 2부, 102p~104p>

 

 

                 

 

                                         

                  *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