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나 어렸을 때...

아라홍련 2014. 12. 24. 04:16

 

                                                                                                       <Adam Gibbs의 작품>

                         

                           

                나 어렸을 때...

                성탄절은 최고의 축제였다.

                크리스마스를 앞두고는 학교 미술시간에 항상 X-Mas 카드를 만들곤 했다.

                주 재료는 도화지와 풀, 그리고 금가루와 은가루였다.

                도화지에 풀을 칠한 후 은가루로 눈사람을 만들고 금가루로 포인트를 주었다.

                또 빨강색과 초록색을 예쁘게 칠해 크리스마스 느낌을 한껏 멋지게 표현하곤 했다.​

                성탄절의 X-Mas 카드와 새해의 연하장은 기본적인 예의이자 필수였다.

 

                나 젊을 땐...

                크리스마스 한달 전부터 성가대에서 캐롤송 연습을 했다.

                크리스마스 이브 때 자정 예배를 드린 뒤에는, 새벽에 함박눈을 맞으며 성가대와

                함께 신도들 집집마다 방문해 대문 앞에서 새벽송을 부르곤 했다.

                노래가 끝나면 신도는 미리 정성스레 준비한 따뜻하고 맛있는 차와 과자를 성가대

                에게 대접을 하거나 선물 꾸러미를 나누어주곤 했다. 

                또 11월 말이나 12월 초부터 상점이나 거리엔 캐롤송이 울려퍼지며 성탄절 분위기를

                한껏 돋우고, 가게마다 흰 솜과 크리스마스 카드, 반짝이, 예쁜 전구로 화려한 장식을

                했다.

                어디 그뿐인가?...

                교회마다 마치 경쟁이라도 하듯, 개성있는 크리스마스 장식을 교회 앞에 화려하게

                장식해서 여기저기 불빛이 현란하게 번쩍거리곤 했다.

                신자이건 아니건, 모든 사람들이 축제처럼 한 달 전부터 크리스마스를 기다리곤 했다.   

                이 한 달 동안은 갈등과 분열을 멈추고, 평화로운 시간을 보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크리스마스 한 달 전부터 2M 짜리 대형 크리스마스 트리를

                베란다에 설치해 화려한 불빛을 밝히곤 했다.

                사다리에 올라가 각양각색의 예쁜 크리스마스 장식들을 달고, 색색의 전구를 여러 겹

                감싸 화려하고 아름다운 불빛을 조화롭게 설치하는걸 중요한 연중행사로 생각해 축제처럼

                즐겼다. 

                행복한 수고였다. 

                그것도 부족해 거실에도 크리스마스 트리를 설치해 단색의 전구로 세련되고 아름답게 

                장식하곤, 커피를 마시며 모닥불 모양의 전기 스토브 앞에서 'Kenny G' 색소폰 소리를

                즐겨듣곤 했다.      ​  ​              

 

                ... 한데, 크리스마스 트리를 설치하지 않은지 벌써 몇 년이나 됐다.

                동네 교회에서 저마다 개성을 뽐내며 번쩍이던 크리스마스 불빛도 어느 해 부터인가

                슬그머니 사라져버렸다.

                또 거리 어디에서도 캐롤송을 듣기가 힘들어졌다. 

                성탄절이 내일인데 어제 외출했을 때, 거리 어디에서도 캐롤송을 듣지 못했다.

                어느 거리에서도 크리스마스 기분을 전혀 느낄 수가 없었다. ​

                  

                우리 아파트 입구에는 아름다운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동네에서 유명했다.

                입구에 줄 서 있는 모든 나무에 색색의 전구를 아름답게 설치해 새해까지 화려한

                불빛을 자랑하곤 했다.

                한마디로, 동네 명소였다.​

                한데 몇 년 전부터 나무 절반 정도에만 전구를 설치하더니, 올해엔 3분의 1 정도에만

                초라하게 몇 군데 크리스마스 전구를 설치했다.

                옆의 다른 아파트는 그것마저도 하지 않았다.

                아예 크리스마스 장식을 전혀 하지 않았다.   ​

                전기료를 생각했거나, 아니면 전구 설치하는 수고를 덜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

                아니...

                그만큼 낭만이 사라진 것이다.

                그만큼 세상이 각박해진 것이다.

                그만큼 세상이 살벌해진 것이다. 

                그만큼 사람들한테서 순박함이 사라진 것이다.  

 

                 한데, 그 반대의 일도 있다.

                 불교방송에서는 7년 전부터 정목스님이 진행하는 프로에서 성탄절 날 한 시간 동안

                 내내 캐롤송만 방송으로 내보낸다.

                 올해에도 역시 불교방송에서 캐롤송이 울려퍼질 것이다.

                 정목스님은 이런 인연으로 올해 12월 8일, 명동성당에서 설법을 하기도 했다.

                 법정스님도 1998년도 성탄절 때 명동성당에서 설법을 하신 적이 있다.

                 성탄절이 되면 조계사나 다른 사찰에서도 '예수님의 탄생을 축하합니다.' 는 

                 플랭카드를 내걸거나 크리스마스 트리 조형물을 설치하곤 한다. 

                 올해에도 조계사 앞뜰에는 플랭카드와 함께 화려한 크리스마스 트리가 설치됐다.

                 대신, 부처님 오신 날에는 성당이나 교회에서 '부처님의 생신을 축하합니다.' 하는
                
플랭카드를 내걸고 
진심으로 축하해주곤 한다.              

                 이는 종교적으로 대단히 비약적인 발전이다.

                 종교에 대한 공부를 제대로 한 성직자들이 그만큼 많아진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런 일은 점점 더 많아질 것이다.

                종교는 역사적으로, 또 학문적으로 접근하고 믿어야 한다.

                그동안 이와 관련된 글을 여러번 포스팅한 바 있지만, 모든 종교의 끝을 거슬러 올라가면 

                하나의 종교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종교끼리 싸우거나 배척하고, 또 강제적인 전도나 포교를 하는 것은 결코 옳은 

                일이 아니다.             ​

                종교 공부를 제대로 하지도 않은 채, 자신이 믿는 종교만 옳다고 주장하는 것은 무지의

                소치이자 일종의 죄악이다.

                어느 종교를 믿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나 제대로 믿고 또 얼마나 올바른 종교

                생활을 하느냐가 관건이고 중요한 것이다. 

                요즘은 비교종교학에 관한 좋은 외국책들이 많이 소개돼, 마음만 먹으면 각 종교에 대해

                광범위하게 공부할 수 있는 자료가 많아졌다.

                전에 언급한 바 있지만, 나는 비교종교학에 관련된 책을 상당히 많이 읽고 있다.

                내가 모든 종교에 대해 편협하지 않고, 열린 시각을 가지고 있는 건 바로 이 때문이다.      ​

                현재 크리스마스 기분을 가장 많이 내는 곳이 한군데 있다.

                바로 홈쇼핑 방송이다.

                이미 한 달 전부터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라고 각 홈쇼핑마다 난리이다.

 ​

                                  남편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달라고 하라!...

                                   그동안 고생한 나에게 스스로 크리스마스 선물을 하라!...

                                   아이들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줘라!...

                                   남친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달라고 하라!...

                            ​     친지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하라!...

                                   질러라!...

                                   질러라!...

                                   질러라!...

                크리스마스 특수를 누리기 위해 쇼핑 호스트마다 입에 게거품을 물고 아주 난리이다.

                그야말로 홈쇼핑 방송 간의 경쟁이 치열하다.​

                홈쇼핑 방송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가는, 지난번 지리산 천왕봉을 등정했을 때

                이미 알았다.

                1.915m!...  

                휴대폰도 안 터지는 그 높은 산꼭대기에서 오직 홈쇼핑 방송만이 생생하게 나와

                사람들이 폭소를 터트리며 왁자지껄 떠드는 걸 목격한 적이 있다.

                그때, 홈쇼핑 방송의 끈질긴 생명력에 등산객 모두가 ​감탄해 마지않았다.^^

                당신은 이번 크리스마스 때 어떤 선물을 받았는지 문득 궁금하다. 

 

 

                    * 이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