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가시광선과 적외선으로 본 불꽃 성운(The Flame Nebula in Visible and Infrared)

아라홍련 2014. 12. 11. 00:14

 

 

 

 

                 불꽃성운(The Flame Nebula)이 빛나는 원인은 무엇일까?...     

                      오리온자리 방향으로 1500 광년 떨어져 있는 이 성운은, 검은 먼지선 왼쪽 부분이

                 마치 흩날리는 불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성운의 불꽃을 만든 것은 산소(oxygen)의 급격한 결합인 불이 아니다.

                 성운 오른쪽에 보이는 밝은 별 알니탁(Alnitakm, 오리온의 벨트 중 가장 오른쪽)이

                 거대한 수소가스 구름에게서 전자를 떼어내 불꽃이 강한 빛을 내도록 만든다.

                 빛 대부분은 이온화된 수소(hydrogen)가 전자와 다시 결합할 때 발생한다.

 

                 불꽃 성운(NGC 2024)을 찍은 위 인공채색 사진(false-color picture)은

                 가시광선(visible)과 적외선(infrared light) 사진을 합친 것이다.

                 이 적외선 사진은 젊은 성단(young star cluster)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불꽃 성운은 유명한 말머리 성운을 포함한 별 생성구역인 오리온 분자 구름 복합체

                 (Orion Molecular Cloud Complex)의 일부이다. ​

                 이 사진은 NASA(미 항공우주국)의 APOD(오늘의 천체사진)에서 2014년 12월 9일,

                 공개했다.   ​

                 광학(RGB+Ha)은 알도 모티토(Aldo Mottino)와 아르헨티나의 에제키넬 벨로치오

                 (Ezequiel Bellocchio) 담당했다.

                 적외선은 유럽우주국(ESO)과 J. Emerson, VISTA가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