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학문(學問)은 '숫돌'과 같다

아라홍련 2014. 11. 26. 03:30

 

    

 

                                        대저 배움이란...

                                        비유컨대, 숫돌과 같다.

                                        곤오(昆吾)의 금속과 수보(銖父)의 주석을 가지고

                                        간월(干越)​의 공장(工匠)에게 칼을 만들게 하여도

                                        숫돌로 갈지 않으면

                                        찔러도 들어가지 않고,

                                        쳐도 끊어지지 않는다.

                                        숫돌로써 갈고...

                                        또 노란 숫돌로 갈면...

                                        찌르면 앞이 없고​,

                                        치면 아래가 없다.

                                        이를 보더라도

                                        갈고, 갈지 않은 것은

                                        그 서로 가는 것이 멀다.

                                        지금 사람들은 다 칼을 갈 줄은 알지만,

                                        그 몸을 가는 것은 알지 못한다.

                                        대저 배우는 것은, 몸을 닦는 숫돌이다.

                                        선생님께서 이르기를...

                                        ​"​레는 오직 땅이 굳건하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고,

                                        배는 오직 물이 깊지 않을 것을 두려워한다."고 하셨다.

                                        ​이 기구가 있으면,

                                        사람으로서 어려운 것도 쉽게 된다. ​

                                        대저 도(道)라는 것은,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을 하기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든다.

                                        증자(曾子)가 말하기를...

                                        ​"부모께서 사랑하면, 기뻐하며 잊지않고

                                        부모께서 미워하면, 두려워하고 허물하지 말라!"고 했다.

                                        사추(史鰍)가 말하기를... 

                                        ​"임금이 친하고 가까우면, 지극히 공경하고 겸손하며

                                        임금이 멀리하고 소원하면, 공경하고 원망말라!"고 했다.

                                        ​... 그런즉 친하게 하고 소원하게 하는 것은, 그 충성을

                                        이루는데 선택의 여지가 없다.

                                        공자(孔子)는 말하기를...

                                         "스스로 도지개 속에서 놀면서 자신 만을 곧게 하고, 남은

                                         곧게하지 않으며,​ 선이 행해지지 않게 하면서도 근심하지

                                         않는 것은 거백옥(蘧伯玉)​의 행실이다."라고 했다.

                                         ... 그런즉 일으키고 폐하는 것은, 그 선을 이루는 데  선택의

                                         여지가 없다.  

                                         굴후부(屈侯咐)는​ 말하기를...

                                         "어진 이는 알기가 쉽다.

                                         그 부(富)의 분배하는 것과, 꿰뚫어나가는 것과,

                                         궁한데 취하지 않는 것을 본다."고 했다.

                                         ​... 그런즉 궁하고 꿰뚫는 것은, 그 어짊을 이루는 데 선택의 

                                         여지가 없다.

                                         그러므로

                                         '사랑하고, 미워하고, 친하고, 소원한 것과...

                                         쓰러지고, 일어나고, 궁하고, 꿰뚫는 것'은

                                         가히 의(義)를 이루는데 그 기구가 있는 것이다.

                                         환공(桓公)이 ​관중(管仲)을 들어 쓴 것과,

                                         목공(穆公)이 백리해(百里奚)를 들어 쓴 것은

                                         그 덕에 따른 것이다.

​                                         이것은 나라가 심히 후미지고 작으며,

                                         몸이 지극히 비천한데도 천하를 다스린 것이다.​

                                         지금은 의지를 따르는 게 아니라, 용모를 따르고

                                         덕행을 따르는 게 아니라, 작위의 반열을 논한다.

                                         이것 또한 적을 물리치고, 먼 곳을 복종시키는 게

                                         아니다.

                                                   <시자(尸子), 上篇, 권학편(勸學篇)>​

 

                       * 학문(學問)은 어떤 분야를 체계적으로 배워서 익히는 것을 말한다.

                           사람이 학문을 하는 것은 칼을 숫돌에 가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곤오' 지방에서 나는 쇠나 '수보' 지방에서 나는 주석을 가져다가

                           간월의 유명한 대장장이에게 맡겨 칼을 만든다 해도, 칼을 숫돌에

                           갈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찔러도 들어가지 않고, 내리쳐도 물건이 끊어지지 않는다.

                           칼은 숫돌에 갈 때만, 칼 고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돌에 갈면 갈수록 칼은 날래지고, 역할 또한 탁월해진다.       

   

                            배움이란...

                            결국 자신의 몸을 갈고 닦는 숫돌과 같은 것이다.

 ​

                            사용할 기구가 있으면 사람들은 자신의 힘으로 하기 어려운 것을 쉽게 

                            해낼 수가 있다.

                            배움도 마찬가지이다.

                            학문을 몸에 익히면, 날랜 칼과 같이 어떤 곤란한 문제도 풀어낼 수 있다.  

                            평생 배우고 공부해야 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