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정조 어필(御筆)

아라홍련 2014. 11. 20. 04:21

 

            * 어제 신문에 정조(1752~1800)가 원손(元孫)이던 8세 때 쓴 한글 편지에 대한

                기사가 나왔다.   

                                        ​

                                             왕손부터 즉위 후까지 쓴 16점
                                             외숙모에 보낸 안부편지 등
                                             사대부 여성이 한글로 써 영조에 보낸 정치 탄원서도
                                             18세기 왕실 관련 한글 희귀 자료 공개

 

 

       

                <조선의 22대 왕인 정조가 8세 이전인 원손 때 쓴 한글 편지가 최초로 공개됐다.

                      외숙모인 여흥 민씨에 보낸 안부 편지다(사진=국립한글박물관).> 

 

                           '상풍의 긔후 평안O신 문안 아O고져O라오며 뵈완 디 오래오니 섭〃

                            그립O와 OO다니 어제 봉셔 보O고 든〃 반갑O와'

                            (서릿바람에 기후 평안하신지 문안 알고자 합니다.

                             뵌 지 오래되어 섭섭하고 그리웠는데, 어제 편지 보니 든든하고

                             반갑습니다.)

                         필체가 어린이가 쓴 듯 서툴고 행과 열도 들쑥날쑥하다.

                         이 한글 편지를 쓴 주인공은 다름 아닌 조선의 22대 왕인 정조(1752~1800).

                         편지 끝에 원손(元孫)이라 쓴 것을 고려하면 세손 책봉 이전인 1759년 2월

                         이전에 쓴 것으로 보인다는 게 국립한글박물관 고은숙 학예연구사의 설명이다.

                         정조가 여덟살 전에 썼다는 얘기다.

                         이 편지는 어린 정조가 큰 외숙모인 여흥 민씨에게 보낸 안부 편지다.
 

                                                      

                                        

                                             <정조가 1793년 12월 국동 홍참판에 보낸 편지> 

  


                    정조의 어렸을 때 필체를 비롯해 한글로 쓴 편지 묶음이 최초로 공개됐다.

                    16점의 편지가 담긴 정조어필 한글편지첩이다.

                    애초 정조가 쓴 이 편지첩은 3점만 알려졌는데 16점이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정조의 한글 편지 가운데 실물이 남아 있는 것도 <정조어필한글편지첩>이 유일하다.

                    이번에 공개된 정조의 한글편지 묶음 가운데는 세자 시절 및 왕 즉위 후 쓴 편지가

                    포함됐다.

                    정조의 한글 필치 변화상을 그의 나이 변화에 맞춰 볼 수 있고, 왕실 편지의 특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 한데... 나는 이미 일년 반 전인​ 2013624  포스팅한 <어필(御筆)>에서

                  다른 왕들의 어필과 함께, 이미 정조의 한글 글씨를 소개한 바 있다.

                   

 

                                       <어린 시절 정조가 연습한 글씨들>

  

  

 

                                                     <정조의 글씨>


 

 

                                                <영조 어필(고조82-43)>

  

                   

 

                                                 <태조 글씨, 열성 어필>

                                                                            

                                   

                              

                                                       <문종 글씨>

  

 

                               

                                                                <성종 어필>     

 

 

                                                        <한글 편지>                                  

                              

        

                     <정조가 8살 원손(元孫)일 때 외숙모에게 보낸 한글편지>



                       "
상풍에 기후 평안하신지 문안을 알기를 바라며 뵈온 지가 오래되오니
                             섭섭하고 그리웠는데, 어제 봉서(편지)를보고 든든하고 반가우며 
                             할아버님께서도 평안하시다고 하니 기쁩니다."

                             *  (중간에 ~ 표시는 반복되는 글자에 대한 생략 표현이다.

                                          즉 '섭~'은 "섭섭"을, '든~'은 "든든"을 뜻한다)


 

 

                                        

                                         <선조정숙옹주에게 보낸 편지>


 

                            "글월 보았다. (정안 옹주의 얼굴에) 돋은 것은, 그 방이 어둡고 날씨도

                             음(陰)하니 햇빛이 돌아서 들면, 내가 친히 보고 자세히 기별하마.

                             대강 약을 쓸 일이 있어도 의관과 의녀를 들여 대령하게 하려 한다.

                             걱정 마라. 자연히 좋아지지 않겠느냐.
                             만력 31년(선조 36, 1603년) 계묘년 11월 19일 오전 10시경"

 

 

                (이 편지는 세종대왕으로부터 한 세기 반 정도 후인 1603년(선조 36) 선조가

                     정숙 옹주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 무렵 정숙 옹주의 동생인 정안 옹주는 마마(천연두)에 걸려 중에서

                     치료를 받고 있었는데, 그 병세를 걱정하는 언니 정숙 옹주의 편지에 대

                     선조의 답장이다.

                     혼인한 지 얼마 안 되는 어린 딸의 얼굴에 흉한 마마자국이  남으면 어쩌나

                     염려하는 아버지의 안타까운 마음과, 다른 자식들을 안심시키려는 배려가

                     짧은 글속에 담겨 있다.

                     당시 정숙옹주 나이는 17세, 정안옹주 나이는 14세였다.

                     그 뒤 정안옹주는 병이 다 나아 정숙옹주보다 훨씬 더 장수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숙종이 모후인 명성왕후(현종 妃)에게 보낸 한글 편지>


              "밤사이 평안하시옵니까. (대궐을) 나가실 때 “내일 들어오시옵소서” 하였사온데,
                   해창위(海昌尉, 명안공주 남편인 오태주(吳泰周))를 만나 떠나지 못하시는

                   것이옵니까. 아무리 섭섭하셔도 내일은 부디 들어오시옵소서."


           (1680년경에 씌여진 이 편지 봉투에 수신처가 명성 왕후(현종비)가 아닌 '명안공주 방'

              (明安公主房)으로 되어 있는 것은 현종비가 혼인한 지 얼마 안된 셋째 딸 명안공주의

              집에 다니러 가 있었기 때문이다.
              명성 왕후가 누이동생 집에 가서 환궁 기일을 지키지 않자 숙종 임금이 모후의 환궁을

              재촉하는 내용이다.) 

 

 

  
 

 

           <왼쪽부터 선조, 효종, 명성황후(고종 妃), 숙명공주(효종 딸)의 한글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