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청조'의 일전매(一剪梅)

아라홍련 2014. 10. 1. 01:06

 

    

                        

            

                                                                    一剪梅

                                                            (매화 가지)

 

                      紅藕香殘玉簟秋              분홍 연꽃 향만 옥자리에 남은 가을

                  輕解羅裳                     가벼이 비단 치마를 풀고

                  獨上蓮舟                     홀로 목련배에 올라본다

                  雲中誰寄錦書來              저 구름 속 누가 비단편지 부쳐 오나

                  雁字回時                         기러기 돌아오는 시기

                  月滿西樓                          달빛만 서쪽 누각에 가득하네

 

                  花自漂零水自流              꽃은 저절로 떨어지고 물은 홀로 흐르는데

                       一種相思                         같은 그리움

                  兩處閑愁                          두 곳 모두 조용한 근심

                  此情無計可消除              이 그리움 없앨 방법

                  才下眉頭                          겨우 눈썹 끝을 내리면

                  卻上心頭                           도로 마음 한편 올라가네

 

                                                                 ~* 이청조(李淸照, 송대(宋代) 여류 사인(詞人) *~

 

 

    

                                             <수옥(漱玉) 이청조(李淸照)>

      

 

           일전매(一剪梅)는 사패의 형식 중 하나이다.

           때문에 같은 제목의 사패()가 많다.

           사패 또한 넓은 의미에서 악부시에 들어간다.

           그렇다면 악부시(樂府詩)란 무엇인가?...

       일종의 곡조(曲調)가 달린 가사(歌詞)를 말한다.

           사패와 같은 개념이다. 

          사패는 송()나라 때부터 대유행한 곡조(曲調)의 가사로 중국 문학의 한 쟝르이다.

          워낙 사패가 한동안 크게 유행해서 '소동파', '백거이', '이백' 등 뛰어난 시인들 또한

          시와 함께 사패를 썼다.

           때문에 시인(詩人)과 사인(詞人)... 이렇게 엄격히 구분하기가 좀 애매하다. 

 

           하지만, 중국 최고의 여류 문학인으로 꼽히는 수옥(漱玉) '이청조'는 사패만 전문으로 썼다.

           송나라 때 최고의 여류사인으로 이름을 드날렸던 그녀는 사패에 대한 자부심이 매우 커서

           당시 "시인과 사인을 확실히 구분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문학성에 있어 보다 사패를 더 우위에 두는 경향도 있다. 

           이청조와 같은 발군의 여류사인(女流詞人) 덕분이다.

           사패는 운율의 세련됨과 아름다움, 섬세한 표현에 있어 를 압도할 정도로 문학성이

           매우 뛰어나다.

           중국에는 사패를 쓴 유명한 사인들이 많지만, 나는 수옥 '이청조'와 같이 뛰어나고 세련된

           사인(詞人)은 발견하지 못했다.

           단순히 문학인으로서 만이 아닌, 남편 '조명성'과 함께 금석학(金石學)을 연구한 학자의

           면모로서도 역량(力量)이 절등해 기녀 출신이나 다른 저명한 문인들이 쓴 사패와 비교해 

           볼 때, 워낙 깊이와 수준에 있어 월등한 차이가 느껴진다. 

           중국 문학사상 최고의 여류 문학인으로 '이청조'를 꼽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  이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