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난 뒤에 얻은 복이 오래가고, 의문에서 얻은 지식이 참지식이다

아라홍련 2014. 5. 31. 03:15

 

 

 

 

                               一苦一相磨練  極而成福者, 其福始久. 

                               一疑一信相參勘, 勘極而成知者, 其知始眞.

             

                                               ~* 채근담(菜根譚) *~  ​

                                        괴로움과 즐거움을 두루 겪고 

                                그런 단련 끝에 얻어진 행복이 오래가고,

                                의문과 믿음이 엇갈린 가운데

                                따지고 헤아려 얻은 지식이 참지식이다.

 

            *  요즘은 행복(幸福)을 너무 쉽게 얻으려는 경향이 있다.

                    오탁악세(五濁惡世)의 전형적인 폐해이다. ​

                    심지어 행복​의 정의조차 제대로 알지 못한다.

                    행복의 참다운 의미도 모르면서 어찌 진정한 행복을 얻으려고 발버둥 친단

                    말인가?

                    그저 말초적 쾌락만 추구하고, 그것이 행복인 줄 착각한다.

                    때문에 맛집을 찾아 떼를지어 전국을 돌아다니고, 빚을 얻어서라도 연휴

                    때마다 외국을 놀러다니며, 혼자 있는 것을 못 견디어 한다.

                    술과 도박, 약물에 쉽게 의존하고, 트위터나 페이스북, 쇼핑중독에 침혹한다. 

                    늘 분노를 품고 있으면서 세상을 원망하고, 불특정 다수에게 적개심을 가지고

                    삿대질을 하거나 분탕질을 일삼는다. 

                    또 아무런 죄의식 없이 수시로 상대를 바꿔가며 난잡한 섹스를 즐긴다. 

                    찰나적인 쾌락을, 행복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

                                             

                    행복은 결코 그렇게 얻어지지 않는다.

                    행복은 격정(激情)이 아니다.

                    감정의 회오리도 아니다.

                    일방적인 희생도 아니다.​

                    진정한 행복에는 분노나 적개심, 불안, 거짓, 교활함이 자리잡지 못한다.  

                    행복은 강요할 수 없다.

                    또 다른 사람이 만들어 주지도 못한다.

                    온갖 괴로움과 즐거움... 오욕칠정(五慾七情)을 골고루 다 경험한 후에 자아를

                    되찾고, 비로소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할 때 하늘에서 선물처럼 허락하는 것이다.

                    탐욕을 버리고 우주와 자연을 경외하며, 신(神) 앞에서 겸손한 마음을 가질 때,

                    신이 팔 하나를 건네어 손을 잡아주며, 내 마음 속에 오롯이 자리잡아 이윽고

                    고요와 정복(靜福)의 경지에 이르게 해주는 것...

                     ... 그게 바로 행복(幸福)이다.

                    때문에 인간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행복해지려고 하는 굳은 의지와 함께

                    치열한 훈련이 필수적이다.

                

                    마찬가지로...

                    지식(知識)이나 지혜도 쉽게 얻어지는 건, 참된 지식이나 지혜가 아니다.

                    공부하지 않고, 치열하게 경험하지 않으며, 책도 읽지 않고, 인터넷에서 쉽게

                    그때그때 검색해 순간적으로 알 게되는 정보들은 참된 지혜도, 지식도 아니다.     

                    사바세계(娑婆世界)에서 쉽게 얻어지는 세상 모든 것들은 결코 내 것이 아니다.

                    바로 인간세(人間世)의 냉엄한 법칙이다.  

                    항상 의문을 가지고 궁금해 하고, 사람들이 진실이나 정의라고 말하는 것에

                    대해 다각적인 시선으로 접근하며, 냉철하게 검증하고, 또 따지고 헤아려서

                    고난 끝에 얻은 게 바로 온전한 내 지식(知識), 온전한 내 지혜(智慧)이다.

                    그것만이 나의 것이고... 나의 힘이며... 나의 기운... 나의 지식... 나의 지혜...

                    그리고 나의 능력이 된다.

                     세상을 살아가되, 늘 탐구하는 마음으로 치열하게 공부해야 하는 이유이다.

                    그때 비로소 영적인 발전이 가능해져 영성(靈性)이 높아진다. 

  ​                                                  ​

                    의 글에서마련(磨練)이란... '연마' 혹은 '단련한다'는 뜻이다.

                    또 (參勘)​은... "침착하여 깊이 생각하는 것", 또는 "비교해서 자세

                    살피는 것을 말한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