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제5회 Solvay conference 기념사진

아라홍련 2014. 5. 30. 03:02

 

                  * 물리학계의 영원한 Legend 사진(1927년)

  

                                             제5회 Solvay conference 기념사진.

                                                        (장소 : 레오폴드 공원)                                             

                                          

                                                                   (윗줄부터)

   피카르앙리오트에렌페스트헤르젠드 동데르슈뢰딩거버샤펠트파울리하이젠베르크파울브릴루앵
                               디바이크누센브래그크라머르스디랙콤프턴드 브로이보른보어 

                                랭뮤어플랑크퀴리로런츠아인슈타인랑주뱅게이윌슨리처드슨
 
 
           *  뉴턴(Newton)의 고전역학(古典力學)이 뒤로 물러나고, 현대 물리학으로 넘어가는
               시기의 주인공들이 이 사진 속에 모두 모여있다.  
               일명 물리학계의 전설(Legend), 또는 물리학계의 어벤져스(Avengers)라고 불린다.

               특히 내가 이 블로그에서 다룬 인물들도 여럿 보인다.

               바로 과학철학자인 닐스 보어, 파울리,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등이다.

               이 사진 중에 노벨상 수상자가 무려 18명이나 들어있다!

               정말 대단하지 않은가?...

               현대 물리학의 기초를 세운 거목들이 모두 들어있다.

               고전역학이 <일반역학> 임에 반해, 현대물리학은 <상대론>과 <양자역학>이다.   

               그렇다솔베이(Solvay) 회의란 무엇인가?...

               1911년, 물리학과 화학의 중요한 미해결 문제를 위해 개최된 회의를 말한다.

               초청자들로만 구성되며, 3년마다 열렸다.

               현대 물리학으로 넘어가는 시기인 1927년, 제 5차 솔베이 물리학 학술회의(Solvay

               conference)의 주제(主題)는 <전자와 광자(electrons & photons)>였다.

               하지만 실제 회의에서는 '양자역학과 불확정성'에 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졌다. 

               '불확정성'이란 고전역학에서 위치와 운동량으로 모든 것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양자역학에서는 이를 오직 확률로만 표현할 수 있음을 말한다.

               또 두 물리량 중 하나가 거의 정확하게 정해지면, 다른 한가지의 불확정성(不確定性)

               크기가 그만큼 매우 증가한다.   ​

               특히 제5차 솔베이 회의는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과 닐스 보어(Niels  Bohr)의

               양자역학 논쟁으로 유명하다. 

  

               그렇다면 고전역학(古典力學)은 무엇을 말하는가?...

               17세기부터 물리학자들이 거시적 현상을 기술하기 위해 발전시킨 것으로, 뉴턴의

               운동법칙을 기본으로 하는 역학을 말한다.

               '뉴턴의 운동법칙'이란, 입자의 질량은 일정하기 때문에 어떤 시각에서의 위치와
               도를 정하면 입자의 운동을 완전히 결정할 수 있다는 법칙이다. 

               거의 모든 거시적 역할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현재의 상태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 미래의 어떤 사건이 언제 일어날 지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결정론적인 입장을 취한다.

               인과(因果)의 법칙(法則)을 따르고, '우연성'을 배제한다.

               또 물리량을 연속적으로 본다.

               반면에, 양자역학(量子力學)이란...

               원자(原子), 분자(分子), 소립자(素粒子) 등 미시적 대상에 적용되는 역학을 말한다.

               현재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더라도, 미래에 일어나는 사실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확률론적인 입장을 취한다.

               인과법칙보다는 '우연성'을 따른다.

               또 물리량은 양자화(불연속) 되어 있다고 본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