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사랑에 대한 반가사유(半跏思惟)

아라홍련 2014. 5. 21. 05:43

 

 

 

 

                                                      사랑에 대한 반가사유

 

                                          우리가 이 세상에 와서 일용할 양식 얻고

                                          제게 알맞은 여자 얻어 집을 이루었다

                                          하루 세 끼 숟가락질로 몸 건사하고

                                          풀씨 같은 말품 팔아 볕드는 本家 얻었다

                                          세상의 저녁으로 걸어가는 사람의 뒷모습 아름다워

                                          세상 가운데로 편지 쓰고

                                          노을의 마음으로 노래 띄운다

                                          누가 너더러 고관대작 못되었다고 탓하더냐

                                          사람과 사람 사이를 세간이라 부르며

                                          잠시 빌린 집 한 채로 주소를 얹었다

                                          이 세상 처음인 듯

                                          지나는 마을마다 채송화 같은 이름 부르고

                                          풀씨 같은 아이 하나 얻어 본적에 실었다

                                          우리 사는 뒤뜰에 달빛이 깔린다

                                          나는 눈매 고운 너랑

                                          한생을 살고 싶었다

                                          발이 쬐끄매 더 이쁜 너랑 소꿉살림 차려놓고

                                          이 땅이 내 무덤이 될 때까지

                                          너랑만 살고 싶었다

                                                            ~* 이기철 *~

 

          *  반가사(半跏思惟)

              반가(半跏) : 반가부좌의 준말이다.

                                     오른발은 왼쪽 허벅지 위에 얹고, 왼발은 오른쪽 무릎 밑에 넣고 앉는 

                                     좌선법(坐禪法)의 한 가지이다.       

              사유(思惟)  : 철학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                                  

                  ... 때문에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은 불가에서 말하는 '반가(半跏)한 채로 사유하는

                  모습'을 뜻한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국보 83호, 국립중앙박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아름다움의 극치이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국보 78,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