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탁문군(卓文君)의 詩, 백두음(白頭吟)

아라홍련 2014. 5. 14. 04:03

 

 

 

 

                                         白頭吟                                          

                                                                        (백두음)

   

                 皚如山上雪                희기도 하네 산위의 눈처럼...

                 皎若雲間月                밝기도 하네 구름 사이의 달처럼...

                 聞君有兩意                그대 두 마음 품었단 말 듣고

                 故來相決絶                영원히 헤어지자 일부러 갔지

                 今日斗酒會                오늘은 술을 함께 하고

                 明旦溝水頭                날 밝으면 도랑가에 서 있겠지

                 躞蹀御溝上                궁궐 해자변을 걷자니

                 溝水東西流                도랑물도 동서로 나누어 흐르네

                 淒淒復淒淒                처량하고 또 처량해라

                 嫁娶不須啼                혼인 때 눈물 흘리지 않았고

                 願得一心人                한사람 마음 얻고자 했지

                 白頭不相離                백발이 되어도 서로 헤어지지 말자 했는데

                 竹竿何嫋嫋                낚싯대 어찌 그리 연약할까...

                 魚尾何簁簁                고기 꼬리 어찌 그리 팔딱일까...

                 男兒重意氣                남자는 의기를 중히 여기는데

                 何用錢刀爲                어찌 금전을 사용하려 하는가

 

                                                              ~* 탁문군(卓文君) *~            

                                                                                    ​ 

​                                                          

                    

        * 탁문군

         중국의 3대 미인 중 한명이다.

           사천성(四川省) 부호인 탁왕손(卓王孫)의 딸이다.

           17세에 첫 남편과 사별 후, 친정에 와있다가 전한(前漢)의 문인인 사마상여(司馬相如, 

            BC 179~ 117)와 한눈에 사랑에 빠져 야반도주했다. ​

           사마상여의 고향인 촉군(蜀郡) 성도(成都)로 도피했던 두 사람은, 생활고 때문에 수레와

           말을 팔아 임공(臨邛)에서 술집을 차려 생활했다.

 

           '탁문군'의 사랑과 헌신으로, '사마상여'는 당대 최고의 문인으로 명성을 날렸다. ​

           사마상여는 전한시대 문학의 한 장르인 유명한 부(賦)의 명수였고, 거문고 솜씨 또한

           일품이었다.   ​

           문재(文才)를 인정받아 한무제(漢武帝)의 시종관, 효문원령(令)을 역임하는 등...

           승승장구했다.

 자허부(子虛賦), 상림부(上林賦) 등이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남아 있다.  

 작품으로는 29편의 부(賦)와 4편의 산문이 있다.  

           탁문군의 이 詩는, 출세한 사마상여가 무릉의 여자를 첩으로 삼으려 하자 결별을 통보하기

           위해 쓴 詩이다.  ​

           탁문군의 헌신과 희생으로 명예와 존경, 부(富)를 한꺼번에 품은 사마상여는 '말 타면 견마

           잡히고 싶다.'고, 첩을 둘 생각을 품게 됐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탁문군은 충격을 받아 <백두음(白頭吟)> 이라는 詩를 지어 사마상여

           에게 전해주며, 이별을 고했다.

           詩를 읽은 사마상여는 곧바로 자기의 잘못을 깨닫고 후회했다.

  ​         17살 밖에 안 된 여인을 30이 넘어 백수처럼 떠돌던 자신이 유혹해 함께 야반도주 했었고,

           그동안 자신의 뒷바라지에 그토록 고생시켰던 게 퍼뜩 떠올랐기 때문이다.

           또 아내 탁문군이 아버지로부터 유산으로 받은 막대한 재산 때문에 오로지 작품활동에만

           몰두할 수 있었고, 안락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누릴 수가 있었다.

  ​ 

           사마상여는 탁문군에게 간절히 용서를 비는 답신을 연속해서 2장이나 보냈다.

           ​편지를 받은 탁문군은 너그럽게 사마상여를 용서했다.

           그리고 이후, 다시는 그 일을 입에 담지 않았다.

           두사람은 화해한 후, 남은 여생을 동고동락했다.​

        

           중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을 한 사람들로 기록된 '사마상여'와 '탁문군'!...

           당시에는 상상도 하지 못 했던 야반도주까지 대범하게 감행한 두 사람의 열정!...

           2천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중국 최고의 러브스토리로 사랑받고 있다.

           여러 장르의 콘텐츠로 활용되고, 드라마로도 여러 번 만들어질 정도이다.

           몇 년 전엔 우리나라 여배우가 중국 역사극에서 탁문군 역을 맡아 관심을 끌었다.   

                       ​

           위의 詩에서 '낚싯대와 고기'는 <남녀의 사랑>을 가리킨다.

           또 전도(錢刀)는, 당시 통용되던 칼 모양의 <돈>을 말한다. ​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