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William Stafford, 'The Way It Is'

아라홍련 2014. 5. 11. 02:03

 

 

 

                                       

                                              There's a thread you follow. 

                                              It goes among things that change. 

                                              But it doesn't change.
                                              People wonder about what you are pursuing.
                                              You have to explain about the thread.
                                              But it is hard for others to see.

                                              While you hold it you can't get lost.
                                              Tragedies happen; people get hurt
                                              or die; and you suffer and get old.
                                              Nothing you do can stop time's unfolding.
                                              You don't ever let go of the thread.
                                                                        

                                     ~* William Stafford, 'The Way It Is' *~

 

 

                                         네가 따르는 한 가닥 실이 있다.
                                         그 실은 변화하는 것들 사이로 지나간다.
                                         하지만 그 실은 변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네가 무엇을 따라가는지 궁금해할 것이다
                                         너는 그 실에 대해 설명해야만 한다.
                                         그러나 사람들에게는 잘 보이지 않는다
                                         그 실을 붙잡고 있는 한, 너는 길을 잃지 않는다.
                                         비극은 일어나기 마련이고, 사람들은 상처입거나 죽는다.
                                         그리고 너는 고통받고 늙어간다.
                                         시간이 하는 일을 너는 어떻게도 막을 수가 없다.
                                         그래도 그 실을 절대로 놓지 말라!

                                                     ~* 윌리엄 스태포드, <> *~

  

 

                * 윌리엄 스태포드(William Stafford, 1914~1993)

 

                   '윌리엄 ​스태포드'는 미국 작가이다.

                   詩人​이자 반전 운동가이다.

                   삶의 후반기인 48세에 처음 詩를 발표한 후, 활발한 시작(詩作) 활동을 했다. 

 ​

                   William Stafford ... 하면, 당신은 무엇이 생각나는가?

                   작가(作家)에게는 바로 이런 글이 생각날 것이다.

                           작가의 임무는 자신만의 이야기를 깊이 파헤쳐, 모든 사람의

                           이야기를 끌어내는 것이다.

                               

                   작가의 기본과 사명을 얘기하는 명언(名言)이다.    

                   스태포드는 아침 전에 詩 한 편을 쓰는 것을 철칙으로 삼은 것으로 유명하다.

                   사람들이 '어떻게 매일 같이 시 한 편씩을 쓸 수 있느냐고 물어보면, 그는

                   대수롭지 않은 표정으로 이렇게 대답하곤 했다.

                                       

                            간단해요.            

 ​                           자신의 기대치를 낮추면 돼요.

 

                    뿐만 아니다.

                    한번은 기자가 '스태포드'에게 "언제부터 시인이 되고자 결심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그는 이렇게 답했다. 

                            이 세상에 태어난 사람은 누구나 詩人이다.

                            다만 그것을 언제 그만두었는지는 각각의 사람에게

                            물어봐야 한다.  ​

 ​

                    대답이 참 철학적이고, 정말 멋지지 않은가?...​

                    인간이 이 별에 태어났을 때는 영혼이 순진무구하여, 누구든 시인의 감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살아가면서 오욕칠정(五慾七情)에 물들고, 영혼에 때가 끼면서 시인이 될 수

                    있는 능력을 대부분 상실하게 된다. 

                    때문에 그의 대답은 한마디로, 옳은 얘기라고 할 수 있다.          

                    

                 ​   스태포드의 이 詩는 인간의 삶에 대해 예리하게 노래하고 있다. 

                    그의 詩들을 읽어보면... 스태포드는 영혼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삶에 대한

                    통찰력 또한 뛰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위의 詩  <(The Way It Is)> 또한 인생(人生)과 삶에 대한 깊은 성찰과 통찰력이

                    돋보인다.  

                    여기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스태포드는 <도덕경>을 비롯한 동양의 다양한 고전(古典)과 불교, 샤머니즘에 

                    깊이 매료된 시인 로버트 블라이(Robert Bly, 1926~ )와 매우 친밀하게 지냈다.  

                    블라이 詩의 특징은 일관되게 선시(禪詩)적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때문에 그의 영향을 받은 스태포드의 詩 또한, 영혼을 중시하고 매우 철학적이다.

                    그의 詩는 프로스트(Frost, 1874~1963)의 詩와 비견되기도 한다.

 

                    인간(人間)은 일상 속의 작은 사건들과 소소한 비극, 절망을 겪는 '아파하는 영혼

                    (Aching Soul)'이다.

                    사바세계(娑婆世界)의 삶이 본래 그렇다.

                    지구라는 별은 '우주의 학교'이다.

                    우리는 이 별에 와서 많은 경험을 하며, 경험한 만큼의 '영적인 성숙'과 '영혼의

                    발전'을 이루게 된다.

                    사바세계의 삶이 근본적으로 오탁악세(五濁惡世)인 이유이다. 

                    그래서 하루도 지구는 편할 날이 없다.

                    어디에선가는 전쟁을 하고, 어디에선가는 테러가 일어나며, 또 어디에선가는

                    지진이 일어나고, 어디에선가는 산사태가, 어디에선가는 토네이도가 인간의 삶을

                    파괴하고 있다.

                    또 어느 곳에서는 총격전이 일어나고, 어느 곳에서는 사고 때문에 수많은 사람이

                    생명을 잃는 희생자가 발생하며, 어느 곳에서는 장마 때문에 또 어느 곳에서는

                    가뭄 때문에 위기를 맞아 신음하고 있다.

                    한마디로 지구는 지금 영혼과... 참된 삶과... 인생을 깨닫지 못하는 인간에게 神의

                    질서와 지혜를 가르치기 위해 들끓고 있는 중이다.       

 

                    그래서 인생의 비밀을 아는 사람들은 탐욕과 명리(名利), 배금주의(拜金主義)에서

                    벗어나 '영적인 성숙'을 추구한다.

                    인간세(人間世)... 사바세계... 지구의 시스템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지 않고는,

                    이 별에서 제대로 숙제를 하고 갈 수가 없다.

                    자기 성찰과 통찰력에 대한 공부와 훈련이 필요한 이유이다. 

                    자신의 숙제에 대해 단 한번도 생각하지 않고, 오로지 사랑에만 집착하고... 쾌락...

                    방탕... 욕정... 탐욕... 명리(名利)만 추구하는 자들은 이 별에 와서 전혀 숙제를

                    하지 못하고 간다.

                    또 영적인 성숙도 이루지 못하게 된다.

                    결국 이 별에 왔다가 그냥 헛고생만 하다 가는 셈이다.    ​

                              

                    인생은 한마디로 자기 극복의 수행 과정이다. 

                    그리고 누구든 자신이 따라가는 <>이 있다.

                    이 <>을 절대로 놓지 않아야 한다.

                    이 <>을 붙잡고 있는 한, 절대로 길을 잃지 않는다.

                    물론,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 <>이 보이지 않는다. 

                    인간은 자신의 존재와 삶으로 그 <>을 설명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종국엔 자기 자신이 그 <>이어야 한다.

                    이 <>은 인간세(人間世)에서 치열하게 사는 인간을 위로하고, 영혼의 아픔을 

                    치유하며, 또 영적인 성숙을 이룰 수 있도록 이끄는... 자비로운 (神)이 우리의

                    영혼에 드리운 줄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