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순신의 詩 4. 순천운(順天運)

아라홍련 2014. 4. 30. 04:01

 

 

 

 

                                       順 天 運

                                     (천운을 따르라)

 

           窮通只在彼蒼天             가난과 부귀영화는 오직 하늘에 달렸으니
          萬事聊須任自然             모든 일은 모름지기 자연에 맡겨두라
          富貴有時難獨擅             부귀함은 때가 있어 홀로 차지하기 어려우며

          功名無主遞相傳             공명은 임자 없이 번갈아 가며 전해지는 것...

          終當遠到宜徐步             멀리 갈 때는 마땅히 천천히 걷고
          初若先登恐躓顚             시작이 빨랐다면 먼저 넘어질 것을 염려하라
          九陌黃塵前去路             티끌 세상 헤치며 나아가는 길에
          且隧人後莫加鞭             남의 뒤를 가더라도 앞지르려고 채찍질 하지 마라

                                                       ~* 이순신(李舜臣,1545~1598) *~ 

 

 

             *  이 詩는 2009년에 새롭게 발굴된 글이다.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일명 '이순신 전문가'로 불리는  <여해(汝諧) 연구소> 소장인

                 노승석 교수가 찾아낸 충무공(忠武公) 이순신 장군의 귀한 詩이다.

                 이 詩는 일명 '젊은이들에게 전하는 글'로도 알려져 있다.

​                 이순신 장군이 청년들의 청(請)을 받고 써 주신 글이기 때문이다.

                 같은 목적으로 쓰여진 이런 詩가 당시, 두 편이 발굴됐다.

  ​               전도(前途)가 양양한 젊은이들에게 인생의 처세훈(處世訓)을 한 편의 칠언 율시로 

                 만든 이 詩는, 젊은 선비들의 청을 받은 충무공이 문득 자신이 젊은 시절에 원대한

                 목표를 세우고 일심으로 정진하던 시절을 회상하며 쓴 것으로 추측된다. 

                 詩의 내용을 보면, 수천 년 동안 전해 내려온 처세서(處世書)의 교훈들이 그대로

                 담겨 있다. 

                 난... 이 詩를 읽는 순간,  인디언들에게 말로 전해 내려오는 격언과 속담들이

                 생각나서 깜짝 놀랐다.

                 내용이 너무 비슷하기 때문이다.

                 세계의 모든 처세서와 인디언들의 교훈은 아주 흡사하다.

                 이런 비슷함은 이 가르침들이 바로 진리(眞理)이기 때문이다.    

                 진리는 결국 하나로 통하게 돼 있다.

        

                 이 詩는 구구절절 진리와 인생을 달관한 듯한 저자의 심오한 인생관과 깊은 사유

                 (思惟)가 고담하게 잘 표현돼 있다.

                 고달픈 진세(塵世)를 살아가는 사람들 중 이 詩를 읽고 용기와 위로를 얻지 않을 者,

                 누가 있겠는가?...   

                 글을 보면 그 사람의 인격과 성품, 가치관과 우주관, 인생관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문무(文武)를 모두 겸비했던 이순신 장군의 인생에 대한 겸허함과 올곧은 가치관이

                 이 詩에서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문무를 겸비했다는 것은 결국 균형을 이루었다는 뜻이다.

                 또 생각이 어느 한 곳으로 치우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균형'은 한사람의 인성과 인격, 가치관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중요한 요소이다.        ​

                 그래서 조선 제 22대 왕인 정조(正祖​)께서도 문무를 아주 중요하게 강조했다.

                 문(文)에만 치우치면 인간은 나약하거나 심약하고,

                 무(武)에만 치우치면 인간은 자칫 무모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 이는 세계의 역사(歷史)가 증명하고 있다.​

                                   

                  정조는 평소, 문무(文武)는 수레의 두 바퀴새의 두 날개처럼 조화를 이뤄야 한다며

                  문무겸전(文武兼全)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래서 신하들에게 "문장을 아름답게 꾸밀 줄 알면서 활을 쏠 줄을 모르는 것은, 결코

                  문무를 갖춘 재목이 아니다."라고 단정했다.

                  그래서 가장 아끼던 규장각 관원들을 북영(北營)에 잡아놓고 활쏘기 훈련을 시켰다.

                  또 정약용 일행도 북영에 들어간지 열흘 만에야 활 솜씨가 향상된 게 인정돼서 겨우

                  풀려날 수 있었다.   

                  정조의 개방성과 개혁성, 진보성은 바로 이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성품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순신(李舜臣) 장군은​ 문무를 다 갖춘 인물로 평가된다.

                  용맹하고... 지략이 뛰어났으며... 탐욕이 없고... 지혜로우며... 또 인생에 대해 매우

                  겸허하고 진솔했다.

                  그의 국가에 대한 충정이나, 백성을 향한 연민과 사랑, 성숙한 인격은 바로 여기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그가 지금도 충무공(忠武公)으로 추앙받고 불멸의 이순신으로 남은 것은, 문무겸전과

                  아울러 성숙한 인격에서 기인한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