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순신의 詩 3, 한산도야음(閑山道夜吟)

아라홍련 2014. 4. 29. 02:56

 

                                                 閑山島夜吟 
                                              (한산도에서 밤에 읊다)
       
                    水國秋光暮            물의 나라 가을 빛은 저물고
                    驚寒雁陳高            찬 기운에 놀란 기러기 높이 난다.
                    憂心轉輾夜            근심에 뒤척이는 밤...
                    殘月照弓刀            희미한 달빛 만이 활과 칼을 비추네.
 
                                                       ~* 이순신(李舜臣, 1545~1598) *~
 
             충무공(忠武公) 이순신 장군의 감수성이 엿보이는 이 詩의 저작 시기가 밝혀졌다.
                 '이순신 전문가'로 불리는 노승석 <여해(汝諧) 연구소> 소장의 연구 결과 덕분이다.
                 여해(汝諧)는 앞서 언급했듯, 이순신 장군의 號이다.
                 노승석은 앞서 <오늘은 이순신 장군의 탄신일...>이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밝힌 바 

                 있는, 최근 발굴된 이순신 장군이 순찰사 김성일(金誠一)에게 보낸 편지를 발굴해낸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가 찾아낸 바에 의하면, 한산도야음(閑山島夜吟)은 계사년(1593년) 가을에 쓰여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순신과 같은 해에 무과에 급제한 동기생 고상안(高尙顔)의 <태촌집(泰村集)>에서

                 한산도야음(閑山島夜吟)에 관한 기록을 찾아냈기 때문이다.

                 태촌집에는 이 詩에 대해 이런 기록이 남아있다.
 
                            갑오년(1594년) 4월에 무과 별시를 마치고 권율, 이억기, 구사준 등이
                            이순신의 한산도음(閑山島吟)에 화운(和韻)한 詩를 지어 이순신에게
                            주었다.

 

                 화운(和韻)이란... 남이 지은 詩에 운자(韻字)를 써서 답시(答詩)를 적는 것을 말한다.   
                 답시를 1594년 봄에 썼으니, 이순신이 이 詩를 지은 것은 그 전일 게 여반장이다.
                 한데, 이 詩를 읽어보면 가을을 노래하고 있다.                              
 
                                              물의 나라 가을빛은 저물고
                                              찬 기운에 놀라 기러기 높이 난다.
                                              근심에 뒤척이는 밤...
                                              희미한 달빛 만이 활과 칼을 비추네.​
                                                     
                 그러니 화운(和韻)을 한, 전 해인 1593년 가을에 쓴 詩가 분명하다.     
                 당시 조정에서는 이순신 장군에게 삼도(三道) 수군을 한 번에 통제하게 하려고 삼도수군
                 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를 겸직하게 했다.
                 '한산도야음(閑山道夜吟)'을 읽어보면 실제로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앞바다에서 가을의
                 찬 기운을 느끼며, 풍전등화인 나라를 위해 노심초사하는 모습이 엿보인다.
                 ... 학문은 이렇게 만들어가는 것이다.
                 기록으로 찾아내야만 한다. 
                 제아무리 개인적인 사견을 입에 거품을 물고 주장해도, 근거나 기록이 없으면 헛소리에

                 불과할 뿐이다.

                 때문에 진정한 학문에는 음모론이 결코 발붙일 수가 없다.
                 한없이 강직하고...
                 늘 초연하며...
                 전혀 탐욕스럽지 않고...
                 또 권력을 탐하지도 않으며...
                 항상 약자를 더 생각하고...
                 늘 국가를 먼저 생각하며...
                 위급한 난세에 백성을 가장 많이 걱정하고 사랑했던 인물!...

                 ... 말 그대로 불멸의 이순신(李舜臣)이다! 

                 그를 알면 알수록, 조선 제 14대 왕인 선조(宣祖)와 행적이 어떻게 그렇게 정반대인지

                 정말 생각할수록 아리송하기만 하다.

 

                 한데, 최근 발간된 <한국 장애인사>를 보면 선조는 심질(心疾), 즉 정신분열증을 

                 앓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당시에는 이 병을 '마음의 병'으로 생각했으나, 실상 정신분열증은 뇌와 관련된

                 질병이다.

                 실록(實錄)에 나오는 선조(宣祖)의 언행이나 판단력은 도저히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기이한 게 한둘이 아니다. 

                 실록을 읽을 때마다 많은 이들이 머리를 쥐어뜯으면서 짜증스러울 정도로 궁금해

                 하던 부분이, 이 책으로 인해 속 시원하게 해소된 셈이다.

                 <한국 장애인사>는 우리 역사에서 육체적, 정신적 장애를 갖고도 중요한 행적이나

                 업적을 남긴 대표인물 60명을 정리한 책이다. ​

                 기록과 다양한 사료(史料)를 바탕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편찬됐다.   

 

                 현재 충무공(忠武公) 같은 인물이 우리나라에 없다는 게, 지금 대한민국이 혼탁하고

                 무법천지인 가장 큰 이유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