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夫知效一官, 行比一鄕, 德合一君而徵一國者, 其自視也亦若此矣.
而宋榮子猶然笑之. 且擧世而譽之而不加勸, 擧世而非之而不加沮,
定乎內外之分, 辯乎榮辱之境, 斯已矣.
彼其於世未數數然也. 雖然, 猶有未樹也.
夫列子御風而行, 冷然善也, 旬有五日而後反. 彼於致福者, 未數數然也.
此雖免乎行, 猶有所待者也.
若夫乘天地之正, 而御六氣之辯, 以遊无窮者, 彼且惡乎待哉!
故曰, 至人无己, 神人无功, 聖人无名.
<장자(莊子) 내편(內編), 제1편, 소요유(逍遙遊) 6>
지혜(智慧)는 벼슬 하나를 감당할 만하고...
행동(行動)은 한 고을에서 뛰어나며...
덕(德)은 한 임금을 받들기에 적당하고...
능력(能力)은 한 나라의 신임을 받을 만 하지만...
자신을 보는 것은 역시 메추리와 같다.
'송영자'는 그런 사람들을 보며 빙그레 웃으며 비웃었다.
그는 온 세상이 칭찬을 한다 해서 즐거워하는 일이 없었고,
온 세상이 비난한다 해도 결코 기죽는 일이 없었다.
그는 자기 자신과 밖의 구분이 명확하여 분수를 잘 알고,
영예와 치욕의 한계를 잘 알고 있었으므로
세상 일에 대하여 연연하지 않을 수가 있었다.
그렇지만 이 또한 완전한 것이 아니다.
그런데 '열자'는 가볍게 바람을 타고 돌아다니다가 15일이 지난
뒤에야 되돌아오곤 했다.
그러나 바람이 순조롭고 순조롭지 못한 것에 대해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았다.
이 또한 걸어다니는 번거로운 길에서 벗어났을 뿐, 아직도 여전히
'바람'이라는 의지하는 데가 있었다.
만약, 하늘과 땅의 참된 모습을 타고 날씨의 변화를 다스림으로써
그에 따라 무궁함에 노니는 사람이라면,
그는 어느 것에도 의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인(至人)은 자기가 없고...
신인(神人)은 공을 세우지 않으며...
성인(聖人)은 이름을 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