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불광불급(不狂不及), 미쳐야 미친다...

아라홍련 2014. 4. 3. 03:26

 

                  당신의 하루는 어땠는가?...

                  내 하루는...

                  이른 아침 여의도를 갈 때도 전철에서 졸아 몇 정거장을 다시 되돌아와야만 했고, 

                  또 귀가할 때도 버스에서 졸아 몇 정거장을 지나친 탓에 낯선 곳에서 한동안

                  망연자실 서 있어야만 했다.

            ​      결국 한참 동안 버스를 기다리고, 또 걷고 나서야 겨우 집에 도착할 수 있었다.

                  새벽에 꾸벅꾸벅 졸며 포스팅을 할 때는 아주 신물이 나서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블로그를 그만 해야 하는데... 방문자 수가 적은 Daum 블로그 만이라도 중단해야

                  하는데... 이런 생각을 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솔직히 포스팅 할 때마다 매일 이런 생각을 한다.  

                  작가가 무리하게 이런 수고를 하는 게 과연 옳은 일인가, 늘 고민과 갈등을 한다.

                  

                  혹여, 작가가 저 나이에 승용차도 없이 아직도 버스나 전철을 타고 다닌다고

                  안스러운 생각을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난 자동차세를 꼬박꼬박 내고 있다.

                  차가 없어서 버스나 전철을 타고 다니는 게 아니다.

                  하루에 20시간 씩 이몽(異夢)을 쓰기 위해 공부와 작업을 병행하던 시절...

                  어느날 갑자기 운전을 못하게 됐다.

                  아무 이유도 없었다.

                  그냥 갑자기 운전대를 잡을 수가 없었다.

                  그때 이후, 단 한 번도 운전을 한 적이 없다.

                  아마도 지칠대로 지쳐 곤고(困苦)한 생활을 도저히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거의

                  한계치에 달했던 시기였던 것 같다.

                                                      ​

                  이른 아침,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나는 특이한 광경을 목격하곤 한다.

                  차를 기다리면서도 대부분의 사람이 연령 고하를 막론하고 전부 휴대폰에 코를

                  박고 있다.

                  참 쓸쓸한 광경이다.

                  하루의 시작을 휴대폰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버스를 기다리며 오늘 하루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은 없다.

                  주위를 둘러보며 아름답게 핀 꽃과 녹음이 짙어져가는 나무도 구경하지 않는다.

                  그저 전부 휴대폰에 코를 박고 있을 뿐이다.           

                  뿐만 아니다.

                  버스나 전철 안에서 아침부터 게임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다.

                  멀쩡하게 생긴 한 여성이 세련된 오피스 룩을 입고 하이힐까지 신은 채 게임에

                  열중해 있는 걸 보면, 너무 한심해서 다시 한 번 쳐다보게 된다.

                  그런 옷차림에 책이라도 보고 있으면 얼마나 어울리고 참해 보이겠는가?

                  차라리 TV를 보거나 인터넷 검색이라도 할 것이지, 한껏 멋을 낸 정장 차림에 

                  게임에 몰두해 정신줄을 놓고 있는 걸 보면, 절로 개탄스럽다. 

                  심지어 그 붐비는 전철 안에서 휴대폰으로 맞고(고스톱)를 치는 사람도 있다.  

                        

                  부산한 출근길에 환승을 위해 밀물처럼 걸어가는 사람들 속에서 휴대폰을 보며

                  갑자기 걸음을 멈추는 사람들...

                  환승역에서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휴대폰을 들여다 보느라고 느리게 걸어 

                  뒤에 있는 사람들이 제대로 걸어가지 못하게 만드는 사람들...

                  버스에 승차하면서도 휴대폰을 보느라고 승객들의 탑승을 방해해 운전기사를

                  열받게 하는 사람들... ​

                  주차장에서 차를 댈 때 주차선에 맞게 차를 대는 게 아니라, 차 두대를 주차할 공간

                  중간에 떡하니 차를 대서 두개의 주차 공간을 차지하고서는 나 몰라라 하는 사람들...

                  이들은 양심과 죄책감을 전혀 못 느끼고, 질서를 무시하며 아무렇지도 않게 민폐를

                  끼치는 사람들이다.

                  분명한 사실은, 이런 짓은 아무나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이 낮은 사람들이 하는 행동이다.

                  즉 감정의​ 인식(認識)이나 감정의 조절과 통제, 사회적 관계의 형성 등에 문제가 있다.

                  타인을 불편하게 만들거나 손해를 입히고, 상처를 입히는 것에 대해 전혀 불안이나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양심과 죄책감이 없고, 도덕과 질서, 절제, 타인의 감정을 무시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죄책감 없이 온갖 불법과 비리를 저질러 뉴스 메인을 장식하는 사람들 중엔 의외로

                  사이코패스(psychopath)나 소사이오패스(sociopath)가 많다.

                  최근 미국 시사주간지 TIME은 영국 사회심리학자인 '케빈 더튼' 케임브리지대학

                  연구원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가장 많은 사이코패스가 존재하는 직업으로 최고경영자

                  (CEO)가 뽑혔다고 발표했

                  사회 구성원 가운데 사이코패스 성향의 인구는 1% 남짓인데, 기업의 대표나 임원의

                  비율은 3.5%까지 치솟았다는 것이다. 

                  이 비율은 매우 엄격한 잣대를 재서 낮은 통계를 낸 것일 뿐, 일반인들 중 사이코패스나

                  소사이어패스에 해당되는 사람들을 평균 10% 대로 보는 전문가들도 있다. 

                  이렇게 보면 CEO들의 사이코패스 비율은 10명 중 3명 정도로 수치가 올라간다.

                  심각한 일이다.

                  우리나라 재벌이나 기업가들 중에 비리와 불법을 아무렇지도 않게 저지르고,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성관계가 문란해 여러 명의 축첩(蓄妾)을 하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탐욕스럽게 벌며, 온갖 불법과 편법을 모두 사용해 재산을 해외로

                  빼돌리는 것도 바로 사이코패스이거나 소사이어패스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사이코패스나 소사이오패스의 가장 큰 특징은 양심이나 죄책감, 수치감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들의 뇌를 MRI 이나 PET로 촬영을 하면, 편도체의 해마 부분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해마는 인간의 불안이나 죄책감, 양심, 두려움 같은 감정을 관장하는 부분이다.  

                  또 최근에는 편도체와 히포캠퍼스인 해마 사이에 신경 통로가 뚫어져 있음이 발견됐다.

                  이 신경 통로에 문제가 생겨 편도체의 해마 부분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사람은 양심이나

                  죄책감, 불안, 두려움을 느끼는데 장애가 생긴다.

                  때문에 온갖 범죄와 불법과, 악행, 파렴치를 저질러도 전혀 양심에 거리낌이 없고, 또

                  수치감도 느끼지 못한다.

                  왜 재벌들이 온갖 불법과 탈법을 자행하며 '살아있는 권력' 노릇을 하고, 왜 정치꾼들이

                  마치 철새처럼 정당을 옮겨다니면서 게거품을 물고 정의와 민생을 논하는지, 또 왜 

                  고위 공직자들이 돈과 권력 앞에서 그렇게 쉽게 복종하며 강한 자에겐 약하고, 약한

                  자에겐 잔인할 정도로 강한지, 왜 권력자들은 하나같이 여자관계가 더럽고 변태적이며

                  문란한지... 그 이유를 단적으로 설명해 주는 중요한 부분이다.

 

                  다시 미국 시사주간지 TIME의 기사를 살펴보면...

                  CEO의 뒤를 이어 변호사와 방송인, 영업자, 외과의사들 순서로 사이코패스 확률이

                  높았다.

                  또 6위~10위 사이의 직업은 언론인, 경찰관, 성직자, 요리사, 공무원이 차지했다.

                  사회지도층은 모두 해당되는 셈이다.

                  충격적인 일이다...

                  반면에, 사이코패스가 상대적으로 적은 직업 1∼5위는 간병인, 간호사, 치료사, 공예가,

                  스타일리스트 순이었다.

                  그  뒤를 이어 자선가, 교사, 예술가, 의사, 회계사 순이다.
                  이를 보면, 어떤 부류에 사이코패스와 소사이오패스가 집중적으로 많이 모여있는지

                  확연히 알 수가 있다.  
                  그동안 우리가 느끼고 있던 것과 거의 일치한다.

                  우리나라 정치인의 경우, 사이코패스 상위에 랭크된 직업이 모두 합쳐진 총체적인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신념도 명분도 없이 돈과 권력을 위해 이전투구와 이합집산을 계속하는 정치꾼들의

                  평소 언행이 왜 그랬었는지 이제야 일면 수긍이 갈 것이다.​

                  TIME은 사회적으로 성공했다고 평가받는 직업에 사이코패스가 많은 이유로 '객관적인

                  현실 직시와 감정을 배제한 실행력'을 꼽았다.

                  이들은 전후 사정을 감안해 최선의 의사결정을 내리고, 신속하게 실현하는 결단성과

                  매력을 지녔다는 것이다.

                  바로 이런 점이 사회적인 성공을 불러일으킨다고 보고 있다.

                  반면에 간병인과 교사, 의사, 예술가 등은 반드시 그를 상대로 하는 환자나 학생, 독자를

                  다루는 사교성과 풍부한 감성을 필요로 하는 직업인지라 사이코패스가 상대적로 훨씬

                  적다고 설명했다. 
                  TIME은  "약간의 광기와 집중력, 무모함은 성공으로 향하는 덕목일 수도 있다"

                  전했다. 

                  광불급(不狂不及)... 즉 '미치지 않으면 목표를 이룰 수 없다.'는 뜻이다.
                  참 씁쓸한 일이다

 

                  하지만...

                  진정, 

                  이런 인생을 사회적으로 아무리 성공했다 한들, 과연 진정한 의미에서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하늘에서도 그들이 이 별에 와서 숙제를 제대로 하고 갔다고 평가해 줄까?...

                  또 그들의 영혼이 훗날 정말 후회하지 않을 수 있을까?...

                  어림도 없는 일이다.

                  모든 종교에서 가르치듯, 신(神)의 나라에서 그런 일은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불광불급(不狂不及)...!

                  그나저나 섬뜩한 신조어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