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규보 詩, 미인원(美人怨)

아라홍련 2014. 3. 19. 03:00

 

 

 

                                       美人怨

                                                       (미인원)

  

                      腸斷啼鶯春          꾀꼬리 우는 봄날 애간장 타는데
                  落花紅簇地          꽃은 떨어져 온 땅을 붉게 덮었네
                  香衾曉枕孤          이불 속 새벽잠은 외롭기만 하여
                  玉臉雙流淚          고운 뺨엔 두 줄기 눈물만 흐른다

 

                  郞信薄如雲          님의 약속이 믿음 없기는 뜬구름 같고
                  妾情撓似水          내 마음은 일렁이는 강물과 같구나

                  長日度與誰          긴긴 밤을 그 누구와 함께 지내며

                  皺却愁眉翠          수심에 찡그린 눈썹을 펼 수 있을까

                               

                                                                     ~* 이규보(1168~1241) *~

 

              * 이규보(李奎報)

                  중국에 시선(詩仙) 이백(李白)과 시성(詩聖) 두보(杜甫)가 있다면, 우리나라엔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가 있다.

                  이백, 두보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는 대시인이다. ​

                  이규보는 고려 때 우사간, 동지공거, 문하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한​ 문신(文臣)이자

                  명문장가이다.

                  9세 때 이미 신동으로 알려졌고, 14​세 때에는 詩를 잘 지어 기재(奇才)로 불렸다. ​

                  일찍 술을 접하고 자유분방한 생활을 한 탓에 23세가 되서야 진사에 급제했다.

                  하지만 기회를 얻지 못해 개성 천마산에 들어가 백운거사를 자처하고 詩를 지으며

                  한동안 지냈다.   ​

                  32세가 되서야 벼슬길에 올라 한때 유배도 갔지만 그 후 관료로서 승승장구했고,

                  고려의 계관시인(桂冠詩人) 같은 존재로 문학적 영예와 관료로서의 명예를 함께

                  누렸다.   

                  특히 우리 민족에 대해 커다란 자부심을 갖고, 외적의 침입에 대해 단호한 항거

                  정신을 가졌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문학은 자유분방하고 웅장한 것이 특징이다.

                  '이인로(李仁老)' 계열의 문인들이 형식미(形式美)에 매우 치중한 것에 반해서,

                  이규보는 기골(氣骨)과 의격(意格)을 강조하면서 신기(新奇)와 창의(創意)를

                  중시했다.  ​

                  즉 자기 삶의 경험에 입각해서 현실을 인식하고 시대적, 민족적인 문제의식과

                  만날 때 비로소 바람직한 문학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했다.

                  작품으로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과 <백운소설(白雲小說)>, <국선생전

                  (麴先生傳)> 등의 저서와 다수의 시문(詩文)을 남겼다. ​

  ​                <미인원(美人怨)>은 그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에 들어있는 대표적인 詩로,

                  사람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미인원'은 사랑한다는 말만 하고 야속하게 떠나버린 님을 그리는 여인들의 마음이

                  구절구절마다 애절하게 배어있는 詩이다.

                  때문에 중국에도, 조선에도 '미인원'이란 제목의 詩는 많이 존재했다.

                  이규보의 이 詩가 특히 유명한 것은 '미인원'이 바로​ 회문시(回文詩)이기 때문이다.

                  회문시란...​ 첫 글자부터 순서대로 읽어도(順讀:순독) 뜻이 통하고, 제일 끝 글자부터

                  거꾸로 읽기 시작해 첫 자까지 읽어도(逆讀:역독) 뜻이 통하는 詩를 말한다.

                  단지 뜻만 통하는 게 아니라 운자(韻字)도 맞아야 한다.

                  일종의 배체시(俳體詩)이자 유희시(遊戱詩)이다.

                  이런 시를 지으려면 고도의 문학적 재능이 있어야만 가능하다.

                  이규보가 9세부터 신동으로 불린 이유를 증명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회문(回文)이라고 하는 팰린드롬(palindrome)은 앞과 뒤, 처음과 끝을 뒤집어서

                  읽어도 똑같은 문장이나 단어'를 말한다.  

                  따라서 '팰린드롬'이란 단어는 DNA 염기 배열에도 적용된다.   

                  <미인원(美人怨)>을 맨 끝글자부터 순서대로 거꾸로 써서 역독(逆讀)하도록 회문시를

                  만들면 다음과 같은 詩가 된다. 
             
                                             ​

                 翠眉愁却皺           푸른 눈썹은 수심겨워 찌푸려 있는데
                 誰與度日長           누구와 함께 긴긴 밤을 지내어 볼까
                 水似撓情妾           강물은 내 마음인 양 출렁거리고
                 雲如薄信郎           구름은 신의 없는 님의 마음 같구나

                 淚流雙           두 뺨에는 옥같은 눈물이 흐르고
                 孤枕曉衾香           외로운 베개 새벽 이불만 향기롭네
                 地簇紅花落           땅 가득히 붉은 꽃이 떨어지고
                 春鶯啼斷腸           봄 꾀꼬리 우는 소리에 애간장만 탄다

         

                  정말 절묘하지 않은가?...

                  <미인원>을 끝글자부터 역독하면 이렇게 멋진 새로운 詩가 탄생한다.​

                  뜻만 통하는 게 아니라 운자(韻字)마저 맞는다.

                  보통 문학적 재능을 가지고는 결코 만들 수 없는 고도의 문학적 기술이 필요한

                  작품이다.

                  회문시는 시인들이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표현기법을 추구하고자 고심

                  끝에 창조된 쟝르이다. 

                  표의문자(表意文字)인 한자의 특성을 절묘하게 살려서 짓는 회문시(回文詩)는

                  한 수를 갖고 두 수의 뜻을 형상화할 수 있는 아주 경제적인 詩라고 할 수 있다.

​                  한 詩를 지어 두 詩로 아름답게 재창조됐기 때문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