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내 마음을 다스리는 게 가장 어렵다

아라홍련 2014. 3. 15. 03:29

 

 

 

 

                                 天運之寒署易避, 人世之炎凉難除.

                                 人世之炎凉易除, 吾心之氷炭難去.

                                 去得此中之氷炭, 則滿腔皆和氣, 自隨地有春風矣.

 

                                                       <채근담(菜根譚)>

 

                            천지 운행에 의한 추위와 더위는 피하기 쉬워도

                            인간 세상의 더위와 추위는 제거하기 어렵고,

                            인간 세상의 더위와 추위는 제거하기 쉬워도

                            내 마음의 더위와 추위는 제거하기 어렵다.

                            만일 내 마음의 추위와 더위를 제거하기만 한다면,

                            가슴 가득히 다 화기여서 가는 곳마다 절로

                            봄바람이 불 것이다. 

 

                   지구라는 별은 '우주의 학교'이다.

​                      학교(學校)란 무엇인가? 

                      규칙과 질서가 있고... 속박이 있어 자유에 제한이 있으며... 의무적으로 공부해야

                      하고... 자신을 극복하며 많은 것을 훈련해야 하고... 힘든 생활을 견뎌내야 하며...

                      많은 고통과 인내가 필요하고... 또 공부한만큼 성적이 나오는 곳이다.

   ​                   우리는 '학교'라는 단어 하나만으로도 지구의 삶이 근본적으로 어떤 시스템으로

                      움직이고 있는지 단박에 알 수 있다.

                      그래서 지구에서의 삶은 오탁악세(五濁惡世)에 맞서 싸우는 고행에 다름아니다.  ​

                      '영적인 발전'이라는 최종 목표를 위해 우주의 학교인 지구에서 살고있는 우리의

                      현생은(現生)은 그래서 마냥 고달프고 또 결코 녹녹하지가 않다.

                      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잘나면 잘난대로, 못나면 못난대로 누구에게나

                      삶은 신산하고 고통스럽다. 

                      삶을 고해(苦海​)라고 하는 이유이다.

                      '오탁악세'라는 표현에서와 같이 지구에서의 삶은 기본적으로 번뇌를 가지고 살게

                      돼 있다. 

                      영혼의 발전을 위해 훈련하는 학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회적, 정신적, 물질적으로 맑지 못한 혼탁한 세상이다.

                      더군다나 지금은 오탁악세가 절정에 이른 때이다.

                      때문에 세상에 재해가 끊일 날이 없고, 지구 어디에선가는 군사적, 또는 심리전으로

                      하루도 전쟁이 끊일 날이 없으며, 악한 자들이 오히려 득세하고, 실력없는 자들이 

                      자신과 타인을 속이며 뽐내고 다니며 있고, 극단적으로 쾌락을 추구하고, 인간의

                      마음이 살기와 독기를 내뿜고 있다.

                      한마디로 아수라장이다.   

                      그래서 제 정신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이 험한 세상을 살아가는 것을 매우 힘들어

                      한다.

                      탁악세(五濁惡世)에 대해서는 그동안 블로그에서 여러 번 언급했다.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

                      현생의 세상을 다섯 가지의 탁함으로 분류해 불가에서는 오탁악세라고 부른다.

                      오탁악세를 모르고서는 인간도, 세상도, 정치도, 철학도, 문학도 논할 수가 없다.

                      인간의 삶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느냐, 마느냐의 본질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오탁악세의 특징 중 하나는 바로 겁탁(劫濁)이다.

                      는 時代가 탁한 것을 말한다.

                      환난이 그칠 사이가 없어 한 시각이라도 편안하고 즐겁게 지낼 때가 없고, 또

                      사회악이 만연한 지경을 뜻한다.

                      정치, 사회, 종교는 물론 도덕이나 윤리, 가치관이 왜곡되고, 인간의 살벌한

                      심성 때문에 하루도 편할 날이 없는 이 시대는 바로 전형적인 오탁악세이다.  

                      또다른 특징으로 견탁(見濁)을 들 수가 있다.

                      이는 삿되고 악한 사상과 견해를 가진 자들이 세력을 얻어서 몰려다니고, 이때문에

                      올바르고 착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그 틈에서 밀려나는 세상을 말한다.

                      눈을 크게 뜨고 주위를 한번 둘러보라!...

                      탐욕과 권세, 사리사욕, 재물, 명리(名利), 권력에 눈먼 자들이 떼를 지어서 세상을

                      휘젓고 다니고 있다.

                      또다른 특징으로 번뇌탁(煩惱濁)을 들수가 있다.

                      자기 것은 아끼고 남의 물건은 탐내며, 자질과 실력은 돌보지 않고 권세와 영예를

                      욕심내어 갖은 술수를 부리다가, 만일 뜻을 이루지 못하면 상대방을 원망하고 또 

                      다른 사람들을 중상모략하기를 일삼는 무리들이 우글거리는 세상을 말한다.

                      다음으로는 (衆生濁)을 들수가 있다.

                      이는 사람들의 자질과 인성, 심성이 극도로 저하되어 오히려 견탁(見濁)의 세상을 

                      좋아하고, 번뇌탁(煩惱濁)의 세상에 사로잡혀 인간의 올바른 도리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득세하는 세상을 말한다.

                      명탁(命濁)은 말세가 다가와 인간의 탐욕이 낳은 악업이 늘어남에 따라, 사람의 

                      목숨이 점차 짧아져, 백년도 채우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아무리 과학과 의술이 발달해도 인간의 생명은 백년을 채우지 못한다. 

​                      돈 많은 재벌들도 그렇고, 역대 대통령들도 마찬가지이다.

                      온갖 부귀영달을 누린 고위공직자와 정치가들도 사정은 똑같다.

                      서양 고대사에 나오는 수천 년 전의 인물들이 기본적으로 몇 백살에서 많게는

                      천살 가깝게 장수를 누린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

​                       ... 이런 다섯 가지 특징으로 돌아가는 오탁악세가 바로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이다.

                      당신은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무엇이 가장 어려운가?...

                      조금이라도 세상에 대해, 영혼에 대해 생각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면 대부분

                      자신의 마음을 콘트롤하는 것이라고 말할 것이다.

                      마음을 자기 마음대로 자유자재로 조종 또는 조절할 수만 있다면 인간은 수많은

                      고통과 괴로움에서 해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게 잘 안 되기 때문에 인간은 싫증을 자주 내고, 또 모든 감정적인

                      고통을 느낀다. 

                      이는 지구에 인간이 출현하면서부터 사람에게 주어진 과제이자 화두(話頭)이다.

                      그래서 인간의 탄생 이후 수천 년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금과옥조 같은 글들을

                      모아서 만든 처세서들과 경전(經典), 그리고 모든 종교에서는 하나같이 마음의

                      수행을 매우 중요하게 강조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우리를 괴롭히는 게 바로 마음 속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변덕

                      (變德)이다. 

                                        

                      천지의 운행 때문에 생기는 여름의 더위와 겨울의 추위는 그래도 피하기 수월하다.

                      그러나 세상 인정이 더웠다 식었다 하는 변덕은 피하기도 또 견디기도 힘들다.

                      한데 세상 인정의 변화무쌍함은 그나마 견디기 수월한 편이다.

                      인간에게 가장 힘든 것은 바로 자기 마음이 더웠다 식었다를 반복하는 변덕스러움

                      이다.  ​

                      만일 인간이 마음 속에서 변덕스러움만 제거할 수 있다면 <채근담>가르침처럼 

                      온 마음이 화기(和氣)로 가득차게 될 것이다.

                      또 어떤 상황, 어떤 처지에 있다 하더라도 평화와 안정을 느껴 안한(安閑)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마치 따뜻한 봄바람처럼 만물을 자라나게 하며, 또 정복(淨福)을 느껴 평담한 삶을

                      살아가는 게 가능해진다.                     

                      때문에 순간순간 마음 속에 일어나는 변덕스러움을 극복하는 것이야말로 고통을

                      줄이고 삶을 편안하게 만드는 가장 큰 비결이다.   

              

​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