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말을 줄이면, 허물이 적어진다

아라홍련 2014. 3. 12. 04:14

 

 

 

 

                                        人生減省一分, 便超脫一分.

                                        如交遊減便免紛擾, 言語減便寡愆尤,

                                        思慮減則精神不耗, 聰明減則混沌可完.

                                        彼不求日減而求日增者, 眞桎梏此生哉.

 

                                                                 <채근담(菜根譚)>

 

 

                     사람이란 한 푼을 덜어 줄이면, 곧 한 푼을 초월하는 법이다.

                     사귐을 덜면 분란을 면하고, 

                     말을 덜면 허물이 적어지며,

                     생각을 덜면 정신이 소모되지 않고,

                     총명함을 덜면 본성을 보전할 수 있다.

                     사람들이 날로 덜기를 구하지 않고, 오직 더하기를 구하는 건

                     자기 인생을 속박하는 것이다.

 

             *​  지구라는 별에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

                        우주가 돌아가는 일종의 시스템이다.

                        이 법칙이 엄격하게 적용되는 것은 지구가 바로 우주의 학교이기 때문이다.

                        이 법칙을 알면, 사는 게 훨씬 수월하고 숙제하기도 쉽다.

                        한데, 이 법칙을 아무나 깨닫는 게 아니다.

                        누군가는 태어나면서부터 이 법칙을 본능적으로 깨닫는 사람들이 있다.

​                        바로 특별한 목적을 갖고 이 별에 파견됐던 성인(聖人)들이다. 

                         누군가는 치열한 삶을 살아가며 우주의 법칙과 지구가 돌아가는 시스템을 

                        깨달은 현자(賢者)들이다.

                        이들은 마음공부를 열심히 해서 성현들의 자취를 따라가며 다른 사람들이 열심히 

                        숙제할 수 있도록 모범을 보이고 또 길을 안내하는 사명을 갖고 태어난 사람들이다.

                        반면에 누군가는 세상을 떠나는 날까지 이 법칙을 깨닫지도공부하지도 못하고

                        실천하지도 못한 채, 그냥 제멋에 겨워 악다구니로 살다가 간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로 이 부류에 해당한다. ​

                        이 세 가지 부류 중에서 자신이 어디에 속하는지, 이것만 깨달아도 이 별에 온 

                        의미와 보람이 있고, 숙제하기 또한 훨씬 수월해진다.

                        그러나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것을 모르는 한, 실상 인생이나 숙제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

                        아무리 공부를 많이 하고, 좋은 대학을 나오고, 출세를 하고, 부귀영화를 누려도

                        지구와 인간에게 적용되는 이 법칙을 깨닫지 못하고, 꼴리는대로 살다가 간다면,

                        이는 한마디로 실패한 인생이다.

​                        그래서 우주와 지구의 법칙을 제대로 깨닫게 하고, 우주의 학교인 이 별에서

                        제대로 숙제를 하고 갈 수 있게 혜훈(惠訓)을 주는 수많은 훌륭한 고전(古典)과

                        <채근담>이나 <명심보감> 같은 처세서들은 하늘에서 인간에게 선물로 준

                        복음(福音)에 다름아니다.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 욕심을 한 푼 덜어 줄이면, 하늘에서는 이에 상응하는

                        보상을 선물로 준다.

                         ... 바로 덜어낸 만큼, 세속에서 초탈(超脫)하게 된다.

                        또 법정스님의 가르침대로 사람이 여기저기 다니며 이사람 저사람 아무하고나

                        인연을 맺고 다니면, 결국 자신의 진짜 인연은 만나기가 힘들다.

                        아무 쓰잘데 없는, 나중엔 결국 피해만 주는 엉뚱한 사람 때문에 자신의 진정한

                        소울 메이트나 시절인연이 닿아 만난 소중한 도반(道伴)은 알아보지도 못한 채

                        그냥 스쳐 지나가게 된다.  ​

                        이 말은 생각 외로 뜻하는 바가 깊은, 매우 의미가 심장한 말이다.

                        뿐만 아니다.                                               

                        마음이 들떠서 여기저기 괜한 만남을 많이 갖고 다니면, 반드시 분란(紛亂)과

                        구설이 뒤따른다.

                        만남을 줄이면, 당연히 분란과 구설 또한 적어진다.

                        마찬가지로 을 덜하면 그만큼 허물이 적어진다.

                        말이 많은 것은 성경에서 가르치듯 그 자체가 죄악이다.

                        말로 자신을 해하고, 남까지 해하며, 말 때문에 결국 자신의 본색을 드러내고

                        종국엔 밑천이 사람들에게 다 까발려지게 된다.

                        한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사실을 모른다.

                        아니, 믿고싶어하지 않는다.

                        또 생각을 줄이면 정신의 소모도 준다.

                        정신이 많이 소모되면 자신의 숙제는 제대로 하지도 못한 채 기진하게 된다. 

​                        쓸데없이 남들한데 자신의 총명함을 자랑하며 설레발치고 다니면, 종국엔

                        본성을 다치게 된다.

                        그래서 성현들은 총명함이나 헛된 자랑질을 하지 말고, 본성을 잘 보전하라고

                        수천 년 동안 가르쳐왔다.

​                                              

                        금은 오탁악세(五濁惡世)이다.   

                        탐욕을 버리고 은인자중(隱忍自重)하며 살아가야 본성을 잃지 않고, 해를

                        당하지 않으며, 그나마 온전하게 살아갈 수 있다. 

                        한데, 이런 소중한 지혜들은 눈에 보이지도 귀에 들리지도 않고, 오직 제 잘난

                        맛에 세상에 삿대질을 하며 분탕질만 하다가는 결국 자신도 잃고, 숙제도 하지

                        못한 채, 세상과 다른 사람들에게 해만 끼치며 살다가 간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이를 깨닫지 못한 채 계속 더 많이 갖기 위해, 더 많이 갈망

                        하고, 더 탐욕을 부리며, 더 많은 쾌락을 누리기 위해 혈안이 되어 마치 승냥이

                        처럼 이리저리 헤매며 난폭하게 돌아다니고 있다.   

                        이는 정신을 뜻없게 소모하고, 결국 자신의 인생을 속박하는 지름길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