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영원한 처량함보다는 일시적 적막을 택하라!

아라홍련 2014. 3. 7. 03:05

         

 

 

 

                          棲守道德者,寂寞一時.依阿權勢者,凄凉萬古.
                          達人觀物外之物 思身後之身,寧受一時之寂寞,

                          毋取萬古之凄凉.

                        

                                                            <채근담(菜根譚)>

 

 

                           도리를 지키면서 사는 사람은 한 때 적막하지만,

                                  권세에 아첨하여 의지하는 사람은 영원토록 적막하다.  

                                  깨달은 사람은 사물의 밖에 있는 사물을 보며,

                                  자기의 뒤에 있는 자기를 생각한다.

                                  차라리 한 때의 적막함을 겪을지라도,

                                  영원히 처량함을 당하지 말라!     

 

 

                  *  한때, 정권과 실세의 권력에 아첨하고 의지하다가 상대방이 정권을 잃으면 

                      그와 함께 영원토록 적막해지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그동안 정권이 바뀔 때마다 그런 사람들을 수없이 보아왔다. 

                      정치꾼 중에도 있고, 정치꾼 희망자 중에도 있으며, 예술인 중에도, 연예인

                      중에도, 또 고위 공직자들 중에도 그런 사람들이 부지기수이다.

                      이런 행동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의 영혼을 언제나 진실과 정의에 뿌리를

                      두고, 도리를 지키며 올바른 가치관으로 중심을 단단히 잡고 살아야만 한다. 

                      만일, 추악한 탐욕을 버리지 못한 채 권력과 명리, 부귀영달을 위해 아첨꾼이나

                      선동꾼이 되어 부화뇌동과 분탕질만 일삼다가는 종국엔 영원히 처량함을 면치

                      못하게 된다.

                      한때의 적막함을 견디지 못하는 자는 가치관이 왜곡되고, 자신의 삶에 대해서도,

                      또 자신의 영혼에 대해서도 모르는 매우 어리석은 사람이다.

                      때문에 생각없이 여기저기 휩쓸려 다니며 괜한 목소리를 높이고, 또 얕고 천박한

                      재주로 사람들을 홀리면서 이익이나 얻으려 애쓰며, 권력에 빌붙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온갖 안간힘을 쓴다.

                      그래서 무엇보다 권모술수에 강하다.

                      이들은 고독을 무서워하기 때문에 깊은 생각에 침잠(沈潛)하지 못한다.

                      그래서 자신이 누구인지... 왜 이 별에 왔는지조차 생각하지 못한다.

                      오직 돈과 권력, 명예, 명리(名利), 득세(得勢), 그리고 쾌락만 추구한다.

 

                      그러나 세속의 명리보다 영혼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은 그들과 다르다.

                      이들은 영원한 처량함보다는 차라리 일시적 적막을 택한다.

                      또 항상 사물 밖의 사물을 보고, 자기 뒤에 있는 자기를 본다. 

                      때문에 결코 부화뇌동하거나 경거망동하지 않는다. 

                      또 고독을 두려워하지도 않는다.

                      탐욕스럽지도 않다.

                      그래서 쉽게 부화뇌동하는 일이 없고, 정신적으로 고상한 경지를 유지한다.

                      이는 인생관이나 가치관, 우주관이 정립돼 있는 사람들에게만 가능한 일이다.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금 정치권이 동요하고 있다.

                      야합과 권모술수가 판치고, 정치꾼들이 이리저리 부화뇌동하며 패거리로 

                      움직이고 있다.

                      이제 조금만 더 있으면 곧 수많은 정치꾼 희망자들이 드디어 자신의 정체를

                      만천하에 알리며, 본색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그동안 그들이 왜 튀는 행동을하고, 왜 패거리로 몰려다니며, 왜 그토록

                      요란한 언행을 일삼았는지, 그 음흉한 속내를 만천하가 알게 될 날도 그리

                      머지않다.  

 

                      정치인의 가장 큰 덕목은 사리사욕을 향한 탐욕이 없어야만 한다.

                      정치가 개인의 명리(名利)와 부귀영화를 위한 수단이 되어서는 결코 안된다. 

                      진정으로 민초를 위하고 민생을 위하는 마음으로 정치에 나서야만 한다.

                      또 정치가 권력의 도구가 아니라 자신의 어려운 숙제로 생각하는 겸허한

                      마음으로 선택해야만 한다.

                      개인의 명예욕이나 패거리의 득세를 위해 정치를 목적이나 수단화시킨다면

                      이는 한마디로 크나큰 죄악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이런 생각으로 정치에 나선 사람들이 과연 몇이나 되겠는가?

                      만일 이런 정치인이 많았다면 우리나라가 이토록 혼란스럽지는 않을 것이다.

                      정권이 바뀌어도 정국이 늘 혼란한 것은 바로 정치를 하는 자들이 사리사욕과

                      득세를 가장 우선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위의 글에서 서수(棲守)... '도덕적인 삶을 영위한다.'는 뜻이다.

                      (寂寞)이란... '세상에 용납되지 못하는 불우한 상황이나 어려운 역경을

                      말한다.

                      처량(凄凉)이란... '마음이 쓸쓸하고 구슬퍼지는 애처로운 신세'를 의미한다.

                      만고(萬古)는... '한없는 세월'을 말한다.

                      천추(千秋)라고도 한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