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흥선대원군의 욕조, 옥소(玉沼)

아라홍련 2014. 3. 4. 03:09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사용하던 욕조인 옥소(玉沼).

                          운현궁에 있던 것을 서울 역사박물관에서 기증받아

                          현재 소장 중이다.>

 

 

                                                    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    

     與不善人居, 如入鮑魚之肆.

 

선한 사람과 더불어 지내면              

                  마치 난초가 있는 방에 들어가 있는 것과 같고,    

선하지 않은 사람과 지내면              

             마치 절인 생선가게에 들어가 있는 것과 같다.

                  

 

                *   문장은 본래 공자가어(孔子家語)에 나오는 글이다.

                    공자가어란... 공자의 언행 및 문인, 문하생들과의 문답과 논의를 수록한 책을

                    말한다.

                    이 블로그에서는 명심보감(明心寶鑑) 교우편(交友編)에 수록된 글로 이미 소개한

                    적이 있다.

                    선한 사람과 함께 지내면 마치 향기로운 지초나 난초가 가득한 방안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향기가 밴다는 뜻으로, 착한 사람과 교우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감화돼

                    착하게 변한다는 교우(交友)의 중요성을 강조한 글이다. 
                    
마찬가지로...

                    선하지 않은 악한 사람과 지내면 마치 비린내 나는 어물전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나쁜 냄새가 밴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과 교우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영향을

                    받아 나쁜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교제(交際)의 중요성을 강조한 교훈이다.

     

                    위의 사진을 보면, 대리석 욕조의 고급스러움이 왕의 욕조를 능가한다.

                    이는 고종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 운현궁(雲峴宮)에서 목욕통으로 사용하던 

                    수조(水槽)이다.    

                    유럽 황실 황제 욕조의 화려함을 뛰어넘는 대리석 공예의 극치이다. 

                    당시 섭정(攝政)을 하던 흥선대원군의 위상이 王인 고종의 권위를 훨씬 상회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운현궁 마당에 있던 이 대리석 수조는 높이 40cm에 가로. 세로가 86cm인 정사각형

                    모양이다.

                    한데 이 수조에는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1820-1898)이 직접 쓴 

                    글씨와 그림들이 4면에 새겨져 있다.

                    옥소(玉沼)라는 수조 이름은 예서(隸書)로 썼고, 다른 면에는 명심보감의 한 구절인

                    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 (선한 사람과 더불어 지내면 지초나 난초가 있는 방에

                    들어가 있는 일과 같다.) 라는 문장만 떼어 쓴 뒤, 옥소(玉沼)라고 이름붙인 자신의

                    방형(方形) 대리석 욕조 겉에다가 새겼다.

 

                    뿐만 아니다.
                    욕조 다른 면에는 官舍內新鑿小池(관사 안에 새로이 작은 연못을
 파고 쓴 시) 라는

                    중당(中唐)의 대시인 백거이(白居易,772-846)의 詩를 서화(書畵)의 스승인 추사

                    김정희 풍의 행서(行書)로 썼다.

                    나머지엔 난과 대나무 그림이 두 면을 장식하고 있다.

                    흥선대원군 이하응은 추사 김정희가 인정할 정도로 난(蘭) 그림에 특별한 재능을

                    보였던 인물이다. 

                    추사 김정희와 '이하응' 과의 관계는 역사소설 이몽(異夢)에도 소상히 나와있다.

                    두 사람은 먼 친척뻘이 된다.

                    흥선대원군의 난 그림은 그의 호(號)를 따서 석파란(石波蘭)이라고 불릴 정도로

                    당대에 유명했다.

                    이에 비해 대원군이 그린 대나무는 보기가 드물다.

                    그런 면에서 옥소(玉沼)는 흥선대원군의 글씨와 그림을 동시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박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도 여유와 운치를 즐겼던 그의 면모를 확인시켜

                    주는 귀한 유물로 평가된다.

 

                    官舍內新鑿小池는 제목 그대로 '백거이'가 오지(奧地)로 발령나 근무하던 곳의 

                    관사 안에다가 작은 연못을 파고난 뒤, 흥취에 젖어 쓴 詩이다.

                    詩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官舍內新鑿小池

 

                          廉下開小池             처마 아래에 작은 연못 마련하니   

                                      盈盈水方積              넘실대는 물이 이제 가득 차네

                                      中底鋪白沙               연못 바닥엔 흰 모래 깔고

                                      四隅甃靑石              사방에는 푸른 돌로 꾸몄네

                                      勿言不深廣              깊고 넓지 않다고 말하지 말게나

                                      但取幽人適              숨어사는 사람의 한적함만 맛보려 하네   

                                      微雨朝              이른 아침 가랑비에 출렁이고

                                      泓澄明月石              저녁 무렵 밝은 달엔 더욱 밝으니

                                      豈無大江水              흰 물결 하늘에 닿을 

                                      波浪連天白              큰 강물 어찌 없겠느냐만

                                      未如牀席間              평상자리 사이로 보이는

                                      方丈深盈尺              연못에 뜬 한 조각 가을 달만 못하지

                                      淸淺可狎弄              맑고 얕아 마음대로 놀 수 있어

                                      昏煩聊漱滌              어지럽고 번거로운 일들을 애오라지 씻어버리네

                                      最愛曉暝時              무엇보다 이른 새벽과 어둑한 때에

                                      一片秋天碧              한조각 가을 하늘의 푸름이 가장 좋다네

                                         

 

                    이 시구(詩句)를 행서로 쓴 뒤, 이하응은 '노석도인(老石道人)이 쓰다.'라고 적었다.
                    노석도인은 말할 것도 없이 흥선대원군 자신을 지칭하는 말이다.
            
                    

                                           <1869년(고종 6년)에 그려진 흥선군 초상화>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