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실수만 없어도 성공이고, 원망만 없어도 은덕이다

아라홍련 2014. 2. 11. 03:35

 

       

 

 

 

                                       處世不必邀功, 無過便是功.

                                       與人不求感德, 無怨便是德. 

 

                                             <채근담(菜根譚)>

 

                                                  

                        세상을 살아감에 성공만을 바라지 마라!

                             원망만 없어도 성공이다.  

                             남에게 베풂에 감사해 하기를 바라지 마라!

                             원망만 하지만 않아도 그것이 바로 은덕이다. 

 

 

                 *  인간은 각자 자신이 선택한 숙제를 가지고 이 세상에 태어났다.

                          우주의 학교인 이 별에 와서 영적인 발전을 많이 이루고 가려는 목적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이라면, 삶이 다른 이들에 비해 치열할 것이다.

                          그러나 그보다 적은 영혼의 발전을 목적으로 가지고 태어났다면, 삶이

                          부귀영화를 누리며 무난해 보일 것이다.   

                          고래로부터  '삶이 영화롭다 하더라도 그 행운을 이 별에서 다 까먹고

                          가서는 안된다.'는 말이 전해 내려오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숙제의 내용에 따라 사바세계(娑婆世界)에서는 인간의 눈으로 볼 때는

                          성공처럼 보이기도 하고, 때론 실패처럼 보이기도 한다.

                          또 때론 행복처럼 보이기도 하고, 때론 불행처럼 보이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성공이나 실패, 행복이나 불행이 아니다.

                          자신의 영혼이 선택한 숙제를 얼마나 잘 인지하고 있으며, 또 어떻게

                          수행하고 있느냐이다.

 

                          그러나 사바세계에서 산다는 것은...

                          성공한 것처럼 보이건, 실패한 것처럼 보이건,

                          행복한 것처럼 보이건, 불행한 것처럼 보이건,

                          삶은 누구에게나 고해(苦海)이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선택한 숙제를 가지고 태어나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잘하고 있느냐, 아니냐의 문제만 있을 뿐이다.

                          이 별에 올 때 자신의 영혼이 선택한 숙제를 수행해나가는 과정이 바로 

                          우주의 학교인 이 별에서의 삶이다.

                          사바세계의 삶이 오탁악세(五濁惡世)인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공과 실패, 행복과 불행은 그 원천과, 자신의 영혼, 숙제를

                          생각하며 스스로 판단해야만 한다. 

                          이게 바로 정체성(正體成, identity)이다.

                          때문에 다른 이들과 비교해서 자신의 성공이나 행복을 결코 논할 수가 없다.

                          다른 이들의 삶이 행복해 보여 그런 삶을 흉내 내고자 평생 탐욕을 버리지

                          못한 채, 부귀영화를 위해 줄달음질 치는 것은 불행으로 치닫는 일이다.

                          채근담(菜根譚)의 가르침처럼 인간은 이 별 사바세계에서 자신의 숙제를

                          수행하면서 실수만 하지 않아도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탐욕이 많을수록, 자신의 숙제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을수록, 실수가 이와

                          비례해서 벌어지기 때문이다.

    

                          또 남을 위해 내가 수고하고 적선을 했다 해도, 사람들로부터 대가나 

                          칭송을 받으려고 애쓰다가는 괜히 마음만 다친다.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거나 고맙다는 말을 듣고 싶어 생색낼 필요조차

                          없다.

                          선(善)은 하늘에 쌓는 것이다.

                          인간에게 쌓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적선(積善)이라고 부른다.

                          인간의 마음은 변화무쌍해서 변덕이 죽 끓듯 한다.

                          하루에도 수십 번, 수백 번씩 하늘과 땅을 번개처럼 스치며 사방 팔방으로 

                          돌아다니며 마음이 변한다.

                          그런 어리석고 변덕스러운 게 바로 인간의 마음이다.

                          한데 무슨 칭찬을 받으려 애쓰고, 무슨 고마운 소리를 듣기 위해 애쓰는가?...

                          오히려 원망만 듣지 않고 살아도 은덕(恩德)으로 생각해야만 한다.

                          그런 생각을 가져야 비로소 오탁악세(五濁惡世)에서 초연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

                          때문에 인간은 마음의 본질을 깨닫고 중심을 바로잡아 여일(如一)하게 언행을

                          할 수 있도록 수양을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위의 글에서 감덕(感德)은... '고맙게 여기다', '감사해 마지 않다', 또는

                          '은혜에 감사하다'는 의미이다.

                          또 변시(便是)는... '다른 것이 아니라 이것이 곧'이란 뜻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