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백거이의 사패, 장상사(長相思)

아라홍련 2014. 1. 23. 04:21

 



 

                                                     長相思

                                                 (끝없는 그리움)                                    

 

             汴水流                           변수가 흐르고

             泗水流                           사수도 흐르고

             流到瓜州古渡頭              흘러 흘러 과주 옛 나루터에 이르면

             呉山點點愁                     오나라 산들도 점점이 수심에 잠겨있네

 

             思悠悠                           생각이 아득하고

             恨悠悠                           한도 아득하고

             恨到歸時方始休              사람이 돌아올 때 한이 비로소 풀리겠지만

             月明人倚樓                     달 밝은데 누가 누각에 기대어 서있네

 

                                                             ~* 백거이(白居易, 772~846) *~

                                                                           

                                                                     

                                                                 <백거이 초상화>

 

 

              *  장상사(長相思)는 詩가 아닌 사패(詞牌)이다.

                      무엇을 보면 알 수 있는가?...

                      형식에 있어 詩처럼 딱딱하지 않아, 형식만으로도 詩와 사패(詞牌)의 분간이

                      가능하다.

                      사패이다보니 <장상사>란 이름으로 작품을 남긴 시인들이 많다.

                      수옥 '이청조'처럼 전문 사인(詞人)은 아니지만, 이백(李白)도 <장상사>라는

                      사패를 여러 편 남겼다.

 

                      장상사(長相思)는 주로 남녀, 혹은 친구 사이에 오랫동안 이별하여 절절이 그리워

                      하는 내용들이 많다.

                      '장상사'는 사(詞, 곡조)의 한 형식으로, 36자의 쌍조 평운이다.

                      낙천(樂天) 백거이(白居易)의 '장상사'는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유명한 작품이다.

                      당나라의 대표적 시인인 '백거이'에 대해서는 그동안 블로그에서 여러 번 작품을

            소개하며 해설을 올렸다.

                      그 유명한 <장한가(長恨歌)><비파행(琵琶行)> 역시 그의 작품이다.

                      서유럽에서는 '장한가'와 '비파행'을 류트송(Lute Song)으로 부르면서 문학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항주자사와 소주자사, 형부상서 등을 역임한 '백거이'는 항주(杭州)와 소주(蘇州)를

                      매우 사랑해서, 이곳과 관련된 詩를 여러 편 남긴 것으로도 유명하다.  

                      중국에서 강남(江南)... 하면, 장강(長江) 이남의 땅을 말한다.

                      주로 '소주'와 '항주'를 일컫는 말이다.

                      중국에서는 '장강'보다 북쪽에 위치한 회수(淮水)를 건너면 '귤이 탱자가 된다.'

                      말이 있을 정도로, 강남은 온화한 날씨로 유명하다. 

                      바로 上有天堂 下有蘇杭(하늘에는 천당이 있고, 땅에는 항주와 소주가 있다.)이라고

                      중국이 자랑하는 아름다운 곳이다.

 

                      위의 사패 <長相思>에서 변수(汴水)는 수나라의 2대 황제인 수양제(隋煬帝)인 양광

                      (楊光)이 개착(開鑿)한 대운하의 일부분을 말한다.

                      수양제는 수나라의 초대 황제인 수문제(隋文帝) 양견(楊堅)의 둘째 아들로 황위를

                      이어받았던 인물이다.  

                      이 운하의 강물은 회하(淮河)로 흘러들어 간다.

                      사수(泗水)는 산동성에서 시작해 곡부를 지나 대운하로 합쳐지는 강을 말한다.

                      과주(瓜州)는 감숙성의 지역명이다.

                      양자강 북안의 강소성 양주시 과주진(瓜州鎭)을 말한다.

                      바로 대운하가 양자강과 만나는 지점이다.

                      오산(吳山)은 오나라의 산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남쪽 지방의 산을 가리킨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수문제(隋文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