寒溪
(한계)
嗚咽寒溪水 오열하는 한계수
空山日夜流 빈산에 밤낮으로 흐르네
不能隨俊乂 인걸들을 따를 수도 없어
且可任優休 또 멈추어 쉼에 몸을 맡기네
地僻雲牙淨 땅이 궁벽하니 운지 버섯 깨끗하고
潭淸石髮柔 소가 맑으니 물이끼 부드럽다
夢魂歸未得 꿈속의 넋도 돌아가지 못하고
飄轉實堪愁 방랑으로 떠돌며 실로 시름만 견디네
~* 김시습(金時習, 1435~1493) *~
* 김시습은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이다.
조선 시대,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자 벼슬을 버림으로써 절개를
지킨 여섯 신하 중 한 명이다.
號는 매월당(梅月堂), 승려 시절의 법호(法號)는 설잠(雪岑)이다.
조선의 '역사 철학자'로 불리우는 인물이다.
어려서부터 '조선의 천재', '五歲 신동', '오세(五歲)'로 불렸다.
그러나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을 내쫓고 왕위를 찬탈해 조선 제7대 왕 세조
(世祖)로 즉위하던 날, 21살의 나이로 지조의 삶을 위해 속세를 버리고 출가했다.
출가한 곳은 설악산의 오세암(五歲庵))...
그 후 경주 남산에서 7년간 칩거하며, 우리나라 최초 소설인 <금오신화>를 썼다.
일명 '산림처사'로도 불리운다.
그의 재능을 아낀 조선 제 9대 왕인 성종(成宗)이 여러 차례 상경을 명했으나,
끝내 부름에 응하지 않고 절개를 지켰다.
1481년(성종 12년) 승복을 벗고 환속했다가 2년 후, 다시 집을 떠나 방랑생활을
시작했다.
9년의 만행기간 동안, 탕유관서록(宕遊關西錄)과 탕유호남록(宕遊湖南錄),
탕유관동록(宕遊關東錄) 등을 정리했으며, 1468년에는 산거백영(山居百詠)을,
1476년에는 '산거백영 후지'를 썼다.
충남 부여의 무량사(無量寺)에서 생을 마쳤다.
학문과 기개가 높고 절개가 곧은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아서, 1782년(정조 6년)에
이조판서로 추증됐다.
김시습은 승려이면서도 유교이념을 바탕으로 한 유불선(儒佛仙) 사상에 모두
통달했다.
바로 이 부분에서 당신은 무슨 생각이 나는가?...
김시습, 최치원, 함석헌, 류영모, 법정 스님, 또 동서고금의 훌륭한 철학자들과
사상가들은 어느 특정 종교나 사상에 치우치지 않고, 이와 대척점에 있는 다른
종교나 사상, 교리, 의식에 대해서도 방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바로 <의식의 확장> 때문이다.
이는 큰 나무의 줄기 하나만 달랑 보는 게 아니라, 나무 전체를 다각적인 방향에서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데... 보통 사람들은 이런 능력이 되지를 않는다.
때문에 교리를 독선적으로 잘못 받아들여 광신도가 되거나, 특정 사상에 매몰돼
편협한 이론을 고수하고, 또 신앙인임에도 영적인 발전을 이루어나가지 못한 채
비신앙인보다도 훨씬 더 비종교적으로 살아간다.
그러나,
김시습과 최치원은 유교와 불교, 도교에 두루 통달했다.
우리나라의 위대한 사상가로 불리우는 함석헌(咸錫憲)은 여러 종교와 사상, 철학에
두루 광달한 지혜와 지식이 있었다.
동서양의 정신문화를 회통하는 사상과 철학을 지녔던 위대한 사상가로 꼽힌다.
우리나라의 사회 운동가이자 기독교 종교인이었던 '함석헌'은 독자적 사관(史觀)
으로 체계적 통사(通史)를 쓴 최초의 인물이기도 하다.
특히 장자(莊子) 해석에 일가견이 있었다.
다석 류영모(柳永模)는 함석헌과 함께 20세기 한국기독교 사상계를 이끈 인물이다.
기독교와 유교, 불교, 노장사상(老莊思想)을 넘나들며 동서고금의 다양한 사상과
철학, 종교를 공부했고 또 금욕적인 삶을 실천했다.
법정 스님은 불교 성직자이면서도 기독교와 타 종교에 두루 깊은 이해와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고, 또 동서양의 철학과 사상, 종교와 문학에 해박한 지식과 지혜가
있었다.
김수환 추기경님도 타 종교나 사상, 철학에 대해 적대적인 모습을 보인 적이 없다.
우리나라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꼽히는 이유이다.
걸출한 문인과 철학, 사상가들이 유독 많은 중국에서 지금도 '최치원'을 훌륭한
사상가와 문장가로 인정하고 있는 것은, 그가 의식이 확장된 영적 수준이 높은
인물이었음을 알아보았기 때문이다.
... 위에서 언급한 인물들은 하나같이 어느 특정 종교와 깊은 연관이 있으면서도,
타 종교와 사상, 철학, 경전, 교리에 이르기까지 두루 해박하고 이해가 깊었으며,
'서로 다름'에 결코 차별을 두지 않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 이들 모두 보통사람들과는 의식의 차원이 다르고, 영적 수준 또한 훨씬 높았다.
우리는 이런 사람들을 '선각자(先覺者)' 또는 '선구적 지식인'이라고 부른다.
김시습은 조선의 계급체제와 지배 이념, 불교의 기복화와 정치 권력화에 대해서
줄곧 비판적인 견해를 유지했다.
이는 그가 현실주의적 사상을 갖고 있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산림에 은거해 있을지라도, 국정에 대한 경륜(經綸)을 품고 있어야 하는 건
지식인의 임무이다.
평소 도연명(陶淵明)을 좋아한 '김시습'은 자연(自然)에 깊은 의미를 부여했다.
그의 모든 詩는 속세를 떠난 자신의 삶처럼, 자연의 공간과 깊은 연관성을 보인다.
위의 詩에서 한계(寒溪)는 강원도에 있는 '한계령 계곡'을 말한다.
준예(俊乂) 는 '아주 뛰어난 재주'를 가진 준재(俊才)나, 매우 뛰어난 인재인
인걸(人傑)을 의미한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