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漢詩, 규정(閨情)

아라홍련 2014. 1. 7. 03:47

 

            

 

 

 

                                                                      閨情

                                                            (마음 변한 당신에게)

 

 

                              贈君同心結           저는 님에게 동실겸을 맺어 드렸고

                        貽我合歡扇           님은 저에게 합환선을 주시었지요

                        君心竟不同           님의 마음 마침내 달라지셔서

                        好惡千萬變           날 사랑하고 싫어함이 천만 번 변하니

                        我歡亦何成           내 기쁨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憔悴日夜戀           밤낮으로 그대 그리워 야위어만 가요

 

                        棄捐不怨君           절 버리셨어도 그대 원망 안해요 

                        新人多婉戀           젊고 아름다운 여인 맞이하셨지만

                        婉孌能幾時           그 고움 얼마나 갈까요

                        光陰疾於箭           세월은 화살보다 빠른 것을

                        焉知如花人           꽃 같은 저 여인이 어찌 알겠어요 

                        亦有欺皺           얼굴에 주름질 날 있을 줄을...

 

                                                                     ~* (李達衷, ?~1385) *~

 

 

                  *  혹여, 시인의 이름을 보고 놀라지 않았는가?...

                      이 詩를 읽고, 누가 남자가 썼다고 상상이나 했을까?

                      사랑을 잃은 여인의 마음을 애절하게 표현한 이 詩의 내용만 본다면,

                      분명 젊은 여인에게 정인(情人)을 빼앗기고 슬픔에 겨운 여인이 쓴 규방가사

                      (閨房歌辭) 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하지만, 이 詩는 고려 때 관리인 이달충(李達衷)의 작품이다.

                      규정(閨情)은 그의 문집인 제정집(霽亭集)에 실려 있다.

 

                      이달충의 본관은 경주이다.

                      字는 지중(止中), 號는 제정(霽亭)이다.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문과에 급제한 뒤, 공민왕(恭愍王) 때 전리판서(典理判書)와

                      감찰대부(監察大夫)를 역임했다.

                      1359년(공민왕 8년)엔 호부상서(戶部尙書)로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가 되었다.

                      그러나 팔관회(八關會) 때 왕의 노여움을 사서 파면됐다.

                      1366년(공민왕 15년)에 다시 등용되어 밀직제학(密直提學)으로 임명됐다.

                      공민왕 때 권력을 틀어쥔 승려 신돈(辛旽)의 전횡 시절, 공석에서 그의 면전에다

                      대고 "이제 주색(酒色)을 그만 삼가라"고 직언했다가 파면됐다.

                      1371년 신돈이 주살된 후에는 계림부윤(鷄林府尹)이 되고, 1385년(우왕 11)에는 다시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다.

                      문집에 제정집(霽亭集)이 있다.

 

                      제정 '이달충'의 이력 면면을 살펴보면, 한마디로 남자 중에도 상남자이다.

                      용기가 있어 직언도 서슴치 않고, 충직하고 거침없는 성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詩의 내용처럼 내면엔 여리고 감성적인 면도 있었던 듯, 사랑을 빼앗긴

                      여인의 절절한 심정을 아름답고 유려하게 詩로 표현했다.

                      '이달충'은 문무를 다 갖춘 훌륭한 진신대부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어떤 연유로 그가 젊은 여인에게 정인을 빼앗기고 슬픔에 젖은 여인의 절절한

                      심정을 노래하는 이런 애잔한 詩를 썼는지, 그 이유가 자못 궁금하다. 

                                           

                      역사를 오랫동안 공부한 사람으로서 '신돈(辛旽)'에 대해서는 다각적인 면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도 처음엔 개혁을 꿈꾸었다.

                      하지만, 권력을 틀어잡고 한꺼번에 부귀영달을 누리게 되자 승려의 신분임을

                      망각한 채, 주색에 빠져 방탕했던 것 또한 사실이다.

                      물론 그가 처음부터 권력을 차지하려고 꼼수를 부렸던 건 아니다. 

                      그러나 '신돈'이 술과 여자, 무엇보다 권력의 맛에 빠져 방탕한 생활을 했던 것

                      또한 거짓없는 사실이다.

                      그의 불행은 승려인 자신의 신분과 본분을 망각한 채, 권력의 끝을 잡고 탐욕의

                      노예가 된 것에서 기인한다.

                       

                      인간은 권력의 정점에 있을 때, 자칫 한 발자국만 잘못 딛어도 바로 낭길에서

                      떨어져 곤두박질 친다.

                      권력 중독 뒤에 따르는 수순이다. 

                      우리나라에 최고 권력자의 자리에 있다가 존경받으며 좋게 내려오는 사람이

                      단 한 명도 없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모든 것을 다 가졌다고 오만이 광자(狂恣)하고, 그래서 세상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착각하는 바로 그 순간, 판단력을 잃고 낭길에서 떨어진다.

                      권력에 중독됐기 때문이다.

 

                      한데, '신돈'은 그걸 몰랐다.

                      아니... 모른게 아니라, 권력의 달콤한 맛에 빠져 판단력을 잃었다.

                      그래서 적당한 선에서 손을 놓고 떠나는 유종의 미를 거두지 못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권력을 탐하는 자들은, 권력을 쥐었을 때 가장 벗어나기 힘든 유혹을 받는다.

                      더!... 더!... 좀 더!

                      한마디로, 악마의 유혹이다.

                      때문에 권력의 끝을 잡아보려고 끝까지 덤비고 몸부림친다.

                      결코 적당한 선에서 멈추는 법이 없다.

                     

                      그러나 하늘은 이를 허락하지 않는다.

                      이 별... 사바세계(娑婆世界)에서는 용납되지 않는 일이다.

                      아무리 유명하고, 아무리 권력을 많이 쥐고, 아무리 좋은 대학에서 공부를 하고,

                      아무리 많은 것을 가졌다 하더라도, 그들의 언행과 살아가는 방식이 오만하고

                      악취가 진동하며, 권력에 빌붙기 위해 거짓말을 밥먹듯 하고, 비루한 행동과

                      술수도 서슴치 않는다면, 이들은 인생 공부가 전혀 돼 있지 않다는 걸 의미한다.

                      아무리 그럴듯하게 미사어구를 사용하며 반지르르하게 말장난을 해도, 결국

                      그들이 권력과 탐욕 앞에서 보인 언행이 바로 그사람의 영혼의 수준임은 숨길 

                      수가 없다. 

                      결코 감출 수도 없고, 또 감추어지지도 않는다. 

 

                      위의 詩에서 동심결(同心結)은 '실로 두 고를 내고 맞죄어 매는 매듭'을 말한다.

                      실과 같이 길게 인연을 맺어 떨어지지 말고 잘 살자는 뜻이다.

                      여인이 '사랑의 서약'과 정표(情表)로 정인(情人)에게 만들어 주었다.

                      또 남자가 여인에게 만들어 준 합환선(合歡扇)은, 대나무 얇은 살의 양쪽에 종이를

                      붙인 부채를 말한다.

                      종이가 양쪽에 붙어 하나의 부채가 되듯, 남녀가 서로 합해져 하나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두사람은 서로 동심결을 주고, 합환선을 받았다...

                      그리고 영원한 사랑의 약속을 했다...

                      한데, 남자가 젊은 여인에게 빠져 사랑을 거두고 변심했다...

                      이 詩에서 사랑의 고통이 절절하게 느껴지는 이유이다.

                      그러나 시를 읽어보면 위트도 들어있다.

 

                                            젊고 아름다운 여인 맞이하셨지만

                                            그 고움 얼마나 갈까요?

                                            세월이 화살보다 빠른 것을  

                                            저 여인이 어찌 알겠어요.

                                            얼굴에 주름질 날 있을 줄을... 

 

                      그래서 규정(閨情)... 이 詩에서는 해학(諧謔)도 느껴진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