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사람의 욕망은 채울 수 없다

아라홍련 2013. 12. 30. 04:10

 

 

 

 

                                    天雨七寶   欲猶無厭   樂少苦多   覺者爲賢

                                  

                                <법구경(法句經), 불타(佛陀品) 8, (186)>

 

 

                            하늘이 칠보를 비처럼 내려도

              사람의 욕망은 다 채울 수 없다.

              즐거움은 잠깐이요,

              괴로움은 많다는 것을

              지혜 있는 사람들은 깨달아 안다.

               

    

       *  욕망의 쾌락과 즐거움의 끝은 고통과 괴로움 뿐이다.

             그러나...

             어리석은 자들은 욕망의 끝이 언제나 괴로움을 동반한다는

             사실을 모른다.

             아니, 믿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바세계(娑婆世界)에는 분명한 진실 하나가 있다.

             욕망의 즐거움은 잠깐이요,

             뒤따르는 고통의 시간은 아주 길다는 사실이다.          

   

             이런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 한

             인생은 한없는 고달픔과 신산함의 연속이다.

             때문에,

             현명한 사람은 욕망을 버리고, 사물에 집착하지 않기 위해

             쉴새없이 노력하고 훈련한다.

             욕망에 사로잡혀 있는 한,

             그가 어떤 명리(名利)를 갖고 있건 간에

             영적으로는 그저 한갖 탐욕과 쾌락의 노예에 불과한

             어리석고 불쌍한 인생일 뿐이다.

 

             공부하고...

             생각하고...

             깨닫고...

             그래서 자신과, 세상과, 사물에 대한 생각을 바꾸는 것만이

             이 별에 왔다가 자신의 숙제를 잘하고 가는 유일한 길이다.

             그 외에는 어떤 지름길도 존재하지  않는다.

             <야운비구 자경문(野雲比丘 自警文)>에는 이런 글귀가 있다.

 

                   百年貪物一朝塵, 三日修心千載寶. 

                                                (백년을 탐한 재물, 하루 아침 티끌이요,

                                                 삼일 동안 닦은 마음, 천 년의 보배이다.) 

 

             공부하지 않고,

             생각하지 않고,

             노력하지 않고,

             평생 깨닫지 못한 채, 

             즐거움과 쾌락, 탐욕과 애욕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이를 찾기 위해 세상을 온통 헤매다가

             결국,

             부나방처럼 불구덩이로 뛰어드는 행위는

             한마디로...  

             인생의 낭비이다.

             어리석고 불쌍한 인생일 뿐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