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나치게 꾸짖지 말고, 너무 고상하게 타이르지 마라!

아라홍련 2013. 12. 27. 03:13

 

 

 

 

                                                    攻人之惡毋太嚴  要思其堪受.   

                                          敎人以善毋過高  當使其可從.

 

                                  <채근담, 취고당검소, 소창유기 

 

 

                           남의 잘못을 꾸짖을 때는 너무 엄하게 하지 마라.

                           그가 받아들여 감당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야 한다.

                           좋은 말로 남을 타이를 때는 너무 고상하게 하지 마라.

                           그가 알아듣고 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위의 교훈은 훌륭한 처세서(處世書) 세 군데에나 나오는 유명한  문장이다.

                      그 외에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와 같은 교훈이 많이 전해지고 있다.

                      특히 교육학, 심리학, 행동주의의 행동수정(行動修正)에서도 이와 같은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이는 위의 가르침이 그만큼 심오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효과 또한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누군가의 잘못을 꾸짖을 때는 상대방이 감당할 수 있을만큼의 수위에서만 해야 

                      한다.

                      그 도를 지나치면 상대방이 반발하던지, 아니면 쉽게 무너져 내린다.

                      때문에 잘못을 지적할 때는, 미리 상대방의 장점을 먼저 칭찬하거나 부각시킨 뒤 

                      인의(仁義)로써 잘못을 지적하는 게 좋다.

                      그래야 상대방이 큰 반발없이 납득하고, 잘못에 대한 지적 또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오만함으로 비판하던지, 비아냥거리든지, 또는 비판을 위한 비판을 해서는 안된다.

                      그럴 경우, '비난'이 되기 때문이다.

                      비난이 되면 반발만 일으킬 뿐, 상대방을 결코 납득시킬 수가 없다.

                      상대방을 위해서, 또는 상대방이 잘 되기를 바라는 진심어린 마음으로 단점을

                      지적하거나 꾸짖으면, 상대방도 쉽게 납득한다. 

 

                      이와 반대로 좋은 말로 남을 타이를 경우에는 기준이나 일관성이 없어서는 안된다.

                      또 위엄이 없어서도 안된다.

                      자칫 장난처럼 들릴 수도 있고, 양심의 가책이나 죄책감을 느끼지 못해 꾸짖음이나

                      질책에 대해 소기의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좋은 말로 남을 타이를 때는 반드시 위엄과 신뢰를 갖추고 잘못을 지적해야 한다.

                      그때 비로소 말뜻을 제대로 알아듣고, 행동수정 또한 가능하다.  

 

                       위의 글에서 (무)자는 (모)字가 아니다.

                       이 두 한자를 착각해 "아! '모'字를 '무'字로도 읽는구나."...

                       이렇게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두 글자는 비슷한 것 같지만, 전혀 다른 글자이다.

                       모(母)는 '어미 모'字이고, 무(毋)는 '~ 하지 말 무'字이다.

                       때문에 위의 글에 나오는 (毋) 字는 '하지 마라', '~ 해서는 안된다'는 뜻이다.  

                       (嚴) 字는 '준엄하다', '호되다', '매섭다'는 의미이다.

                       (其) 字는 여기서는 '다른 사람', 즉 '인(人)'을 뜻한다.

                       감수(堪受)는 '받아서 견딜 수 있다', 즉 "감당할 수 있다."는 말한다.

                       과고(過高)는 '너무 높다', '지나치게 높다'는 의미이다.

 

 

                          *  이 글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